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불량감귤 열매솎기 뒷북대응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9-01 14:09:51      ·조회수 : 3,997     

불량감귤 열매솎기 뒷북대응
도, 추진시기 놓치고 뒤늦게 나서
제민일보 8/31 현민철 기자
제주특별자치도가 노지감귤 생산 예상량 2차 조사결과 발표후 부랴부랴 불량감귤 열매솎기 추진 계획을 발표, 뒷북 행정이란 지적이다.
매년 불량감귤 열매솎기가 7월이후 수확기 이전까지 추진되는데 반해 올해는 1개월이상 늦게 추진돼 늑장대응이란 비난이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도는 최근 농업기술원의 2차 관측조사 결과 올해산 노지감귤 생산 예상량이 최대 59만t에 이를 것으로 조사됨에 따라 극대과와 극소과, 상처과 등 소비자 기호에 맞지 않는 불량감귤을 위주로 열매솎기를 추진키로 했다.
도는 이에 따라 제주시 1만4000t과 서귀포시 2만6000t 등 모두 4만t을 불량감귤 열매솎기 추진목표로 설정했다.
도는 이를 위해 농가자율 실천 운동과 함께 농업인 단체 및 유관기관 단체 위주의 일손돕기 지원과 참여농가 가공용 우선수매 등 감귤 시책사업을 추진키로 했다.
그런데 올해 불량감귤 열매솎기 추진 시기가 예년보다 늦어 도가 느긋한 입장을 보이다 뒤늦게 열매솎기에 나선 것이 아니냐는 비난이 일고 있다.
지난 5월 1차 관측 조사결과 최대 59만t 생산이 예상돼 불량감귤 열매솎기가 시급하다는 의견이 제시됐으나 도가 이를 무시하다 추진 시기만 놓치고 뒤늦게 추진계획을 수립하는 등 늑장대응을 벌이고 있는 것.
특히 일부 농가들은 감귤 수확기가 다가오면서 불량감귤 열매솎기에 소극적으로 참여할 가능성이 높아 과잉생산 등도 우려되고 있다.
제주도 관계자는 “2차 관측 조사결과 과잉생산이 우려된 만큼 감귤 제값 받기 차원에서 열매솎기를 추진키로 했다”고 말했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029 [기고]감귤의 경쟁력은 고품질이다 기획정보과 2008-05-23 3580
1028 [연합뉴스]귤 껍질이 암세포 죽인다 기획정보과 2007-11-12 4414
1027 [제민일보][사설]유통명령, 감시수단일 뿐이다. 기획정보과 2007-10-26 3926
1026 [제주의소리]감귤 미숙과 에션션오일,화장품 원료 '특허출원' 기획정보과 2007-10-26 4519
1025 [제주의소리]"비상품유통은 감귤산업 죽이는 중범죄 행위" 기획정보과 2007-10-26 3859
1024 [제주일보]감귤 유통명령 발령 확정 기획정보과 2007-10-24 4141
1023 [제주일보]비상품감귤 출하 차단 비상 기획정보과 2007-10-24 3789
1022 [제민일보]감귤 선과장별 공무원 담당제등 시행 기획정보과 2007-10-24 3180
1021 [제주의소리]가공용감귤 수매단가 kg당 80원 확정 기획정보과 2007-10-24 3488
1020 [제주일보]다른 과일과 경쟁해도 승산 ‘충분’ 기획정보과 2007-10-11 2939
1019 [한라일보]<사설>이젠 감귤농가 스스로 해결할 때 기획정보과 2007-10-11 3591
1018 [제주타임스][사설] 불량 감귤 과감한 퇴출만이 살길 기획정보과 2007-10-09 3457
1017 [제주일보]비상품 감귤 유통 차단 '사활' 기획정보과 2007-10-09 3067
1016 [제주의소리]제주시 불량감귤솎기 기획정보과 2007-10-09 3933
1015 [미디어제주]비상품감귤 지도단속반 출정식 기획정보과 2007-10-08 3513
1014 [제주타임스][기고]"제주감귤, 잘 나갈 때 대비해야 합니다" 기획정보과 2007-10-04 3095
1013 [제주일보]감귤 유통명령 발령 촉각 기획정보과 2007-10-04 2777
1012 [한라일보]"감귤사랑 함께 해요" 기획정보과 2007-10-04 3956
1011 [한라일보]감귤 유통명령 재도입 중순쯤 결정 기획정보과 2007-10-04 3127
1010 [한라일보]감귤원 면적 10년새 16% 감소 기획정보과 2007-10-02 3674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