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농가들, ‘공생’ 생각할 때다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4-28 09:49:53      ·조회수 : 2,154     

감귤농가들, ‘공생’ 생각할 때다

한라일보 2006년 04월 28일
감귤원 간벌 실적이 저조하다. 간벌 참여 농가들을 위해 각종 인센티브까지 내걸고 있지만 제주도와 시·군이 정한 간벌 목표량에 크게 못미치는 상황이다. 뭔가 크게 잘못돼 가고 있는 것이다.

 올해 2분의 1 간벌 계획 면적은 도 전체적으로 1천70ha다. 하지만 추진 실적은 6백여ha에 불과하다. 시·군별 추진실적도 55∼58% 수준으로 거의 비슷하다. 어느 특정지역을 탓할 상황이 아닌 것이다.

 당국은 간벌 실적이 이처럼 저조한 이유가 지난 2년간 감귤가격이 비교적 좋았던 관계로 올해에도 그러지 않겠느냐는 기대심리 때문으로 분석하고 있다. 그런 측면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게 전부는 아닐 것이다.

 당국이 먼저 솔직해져야 한다. 자치단체가 펼치는 정책에 농가가 따르기만 하면 제값을 받을 수 있는 것인지 답할 때가 됐다는 뜻이다. 한계가 있다면 그 한계를 가감없이 드러내야 한다. 그래야 농가들이 자구책을 마련할 것이 아닌가.

 감귤은 생명산업이므로 무조건 살리겠다고 말만 앞세울 일이 아니다. 자치단체가 할 수 있는 일과 불가능한 일을 분명히 구분짓고 농가의 몫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도 전달해야 하는 것이다.

 당국이 일방적으로 감산 목표를 정해놓고 실적이 부진하면 농가 탓으로 돌리는 풍토도 개선해야 한다. 희생도 공평한 부담일 때 설득력이 있는 것이다. 무임승차 농가가 있다면 그에 따른 불이익이 더 크다는 것을 실제적으로 보여주는 과감함도 필요하다.

 이번 기회에 간벌을 비롯한 관주도의 감귤생산량 감축 정책에 농가들의 전폭적인 신뢰가 따르지 않는 이유를 정확히 진단하고 감귤정책 전반을 다시 한번 점검해야 한다. 자치단체가 감귤가격을 전적으로 책임지지도 않는 현실 아닌가.

 농가들도 이제는 고통을 함께 분담하고 과실도 더불어 누리는 ‘공생’을 생각해야 한다. 당국의 일이 있고, 농가가 할 일이 있다. 감귤의 위기는 끝나지 않았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987 “감귤, 쌀과 동등하게 협상해야” 기획정보과 2007-03-29 2898
986 “감귤 개방 안 된다”…삭발 투쟁 기획정보과 2007-03-29 2528
985 사채에 짖눌린 ‘제주농가’ 기획정보과 2007-03-29 3022
984 감귤, 한미 FTA 협상 ‘벼랑끝’ 기획정보과 2007-03-29 2941
983 올 감귤 계약출하 확대 기획정보과 2007-03-29 3273
982 제주농협 한라봉 차별화 ‘시동’ 기획정보과 2007-03-29 2974
981 감귤원 간벌 목표량 조기달성 박차 기획정보과 2007-03-22 2527
980 화훼 등 시설농가 영농비 ‘비상’ 기획정보과 2007-03-22 2655
979 FTA 저지 단식농성 확산 기획정보과 2007-03-22 2887
978 감귤원 간벌 마무리 위해 예산 긴급 지원 기획정보과 2007-03-22 2413
977 감귤 경쟁력 강화 사업 확대 기획정보과 2007-03-22 2807
976 한미FTA 협상 중단 촉구 단식농성 기획정보과 2007-03-22 2801
975 FTA 타결 모색, 감귤 분수령 기획정보과 2007-03-22 2551
974 노지감귤 값 막판 고공세 기획정보과 2007-03-20 3488
973 패드(fad)의 추방 기획정보과 2007-03-20 2959
972 감귤 협상 제외 ‘살얼음판’ 기획정보과 2007-03-20 2973
971 노지감귤값 강세 지속…만감류도 동반 상승 기획정보과 2007-03-20 2774
970 <나의의견>제주감귤산업은 반드시 지켜져야 한다 기획정보과 2007-03-20 2773
969 노지감귤 출하 조절 '이번 만큼만' 기획정보과 2007-03-20 2641
968 감귤류 보호 불투명 기획정보과 2007-03-20 3016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