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 우량품종 갱신사업 참여 저조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6-16 10:47:58      ·조회수 : 3,152     

감귤 우량품종 갱신사업 참여 저조
농가 “재식거리 너무 넓고 경영 부담” 기피
농민신문 6/16 강영식 기자


제주도가 FTA 기금 지방자율사업으로 추진 중인 감귤 우량품종 갱신사업에 농가들의 참여가 저조해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지난해부터 시행하는 감귤 우량품종 갱신사업은 노쇠한 감귤나무를 우량 품종으로 갱신함으로써 FTA(자유무역협정)에 대비한 고품질 감귤 생산기반 구축을 목적으로 품종 갱신 농가의 부담을 덜기 위해 묘목 대금과 재식비 등 1㏊당 사업비의 50%를 보조하는 사업이다.

그러나 도의 지난해 사업량은 45.63㏊로 목표인 198㏊의 25%에도 미치지 못했다. 그나마 올해는 지난해보다 사업 계획량이 더 줄어 35.13㏊에 불과한 실정. 이는 선정 기준이 되는 묘목 재식거리가 4m×1.5m로, 묘목 간격이 너무 넓어 농가들이 참여를 꺼리기 때문이다.

특히 수확을 포기하면서까지 기존 성목을 뽑아내고 10년 이상 키워야 할 묘목을 심는 데 대한 농가들의 부담이 만만치 않다는 것이다. 과수원 면적을 나눠 품종 갱신을 할 수 있는 대농에 비해 소농들은 사업 참여에 엄두도 못 내는 형편이다. 사업 신청을 했다가 포기한 농가들 사이에서는 “품종 갱신을 한다하더라도 수확할 때까지 손가락만 빨고 있어야 하느냐”는 불만이 터져 나오고 있다.

감귤 농가 오광식씨(39·남제주군 남원읍 한남리)는 “재식거리가 3m×50㎝ 정도가 충분한데도 도의 기준은 융통성이 아예 없다”며 “농가의 경제적 측면도 배려해 참여를 활성화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한 도는 과거 ‘밀식 재배 등으로 인한 공급 과잉’ 전철을 다시 밟지 않겠다는 강경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도의 관계자는 “올해 사업량이 줄어든 이유는 1년생에서 2년생 묘목으로 단가를 맞췄기 때문”이라며 “과수원 면적을 나눠서 묘목을 심는 등 농가들이 운영의 묘를 살리면 충분히 참여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987 “감귤, 쌀과 동등하게 협상해야” 기획정보과 2007-03-29 2918
986 “감귤 개방 안 된다”…삭발 투쟁 기획정보과 2007-03-29 2546
985 사채에 짖눌린 ‘제주농가’ 기획정보과 2007-03-29 3028
984 감귤, 한미 FTA 협상 ‘벼랑끝’ 기획정보과 2007-03-29 2956
983 올 감귤 계약출하 확대 기획정보과 2007-03-29 3277
982 제주농협 한라봉 차별화 ‘시동’ 기획정보과 2007-03-29 2979
981 감귤원 간벌 목표량 조기달성 박차 기획정보과 2007-03-22 2532
980 화훼 등 시설농가 영농비 ‘비상’ 기획정보과 2007-03-22 2667
979 FTA 저지 단식농성 확산 기획정보과 2007-03-22 2895
978 감귤원 간벌 마무리 위해 예산 긴급 지원 기획정보과 2007-03-22 2424
977 감귤 경쟁력 강화 사업 확대 기획정보과 2007-03-22 2828
976 한미FTA 협상 중단 촉구 단식농성 기획정보과 2007-03-22 2802
975 FTA 타결 모색, 감귤 분수령 기획정보과 2007-03-22 2552
974 노지감귤 값 막판 고공세 기획정보과 2007-03-20 3494
973 패드(fad)의 추방 기획정보과 2007-03-20 2972
972 감귤 협상 제외 ‘살얼음판’ 기획정보과 2007-03-20 2992
971 노지감귤값 강세 지속…만감류도 동반 상승 기획정보과 2007-03-20 2787
970 <나의의견>제주감귤산업은 반드시 지켜져야 한다 기획정보과 2007-03-20 2777
969 노지감귤 출하 조절 '이번 만큼만' 기획정보과 2007-03-20 2647
968 감귤류 보호 불투명 기획정보과 2007-03-20 3030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