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 비파괴 광센서 도입 시급”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4-27 09:50:03      ·조회수 : 2,457     

“감귤 비파괴 광센서 도입 시급”
어제 감귤국제학술세미나서 제기    

크기 등 외관중심서 품질로 승부해야
4/27일 한라일보 고대용 기자

 감귤품질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선과과정에 효율적인 비파괴 광센서를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제주감귤협의회(회장 강희철)와 제주대 생명자원대학 산업응용경제학과(고성보 교수)는 26일 제주대 국제교류회관에서 감귤농가, 농협임직원, 도·시·군 및 농업기술원 관계자, 학계 등이 참석한 가운데 ‘비파괴 광센서 도입과 감귤의 생산·유통혁신’이라는 주제로 국제학술세미나를 공동 개최했다.

 이날 세미나는 소비시장의 고객만족을 위해서는 감귤의 고품질화를 통한 경쟁력 확보가 중요하게 되는데다 감귤의 외관 및 크기보다는 당도와 산도 등 내부품질에 의한 품질등급화가 매우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에서 개최돼 의미가 크다.

 세미나에서 권영길 박사(일본 사이가기술연구소 연구관)는 근적외 분광법을 이용한 비파괴 광센서 선과방법에 대해 주제발표를 했다. 비파괴 광센서 선과는 안정된 광원에서 발생된 빛을 과실로 비추어 과실에서 투과나 반사돼 나온 빛을 검출기에서 수집하여 전기신호로 바꾸어 해석한 후 과실의 당도나 산도를 판정하는 기법이다.

 주제발표에 이어 일본, 이탈리아 등 2개국 4개업체에서 비파괴 광센서 선과기를 소개했다.

 종합토론에서는 고정삼 제주대 교수의 사회로 난지농업연구소 최영훈 박사, 크린영농조합법인 송상순 대표, (주)통통 박지웅 대표가 토론자로 나서 제주실정에 맞는 비파괴 광센서 도입방안을 놓고 열띤 토론을 벌였다.

 토론에서는 과일크기 등 외관중심에 따라 선과되는 기존 드럼식선과기에서 내부품질(당도·산도) 중시의 감귤 생산유통으로 탈바꿈하여 품질신뢰성 확보는 물론 브랜드화 및 시장교섭력을 향상시켜야 한다는데 공감대를 형성했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967 "감귤 가공제품 다양화해야" 기획정보과 2007-03-20 2940
966 노지감귤 막판 고공행진 기획정보과 2007-03-20 3376
965 25년후 감귤재배 최적지 30배 확대 기획정보과 2007-03-19 3134
964 “감귤 협상품목 예외없인 한미FTA도 없다" 기획정보과 2007-03-19 2507
963 19~21일 한·미 고위급 회담, 감귤류 계절관세로 가나 기획정보과 2007-03-19 3713
962 감귤류 협상 궁금증 증폭 기획정보과 2007-03-19 2989
961 간벌 목표 이달 중 완료한다 기획정보과 2007-03-19 3047
960 감귤류 협상품목 제외 막판 ‘총력’ 기획정보과 2007-03-19 2344
959 제주농협 ‘감귤나무 농장주’ 모집 기획정보과 2007-03-19 3223
958 감귤선과장 구조조정 본격화 기획정보과 2007-03-15 3448
957 감귤원 폐원하면 뭐하나 기획정보과 2007-03-15 3120
956 서귀포시, 감귤원 간벌 ‘탄력’ 기획정보과 2007-03-14 3641
955 "감귤 협상품목 제외,끝까지 노력" 기획정보과 2007-03-14 2706
954 '비가림 감귤,한번 맛보세요' 기획정보과 2007-03-14 2876
953 1/2간벌에 군장병도 앞장선다 기획정보과 2007-03-14 2857
952 [제민포럼]한라봉의 거듭나기를 기대하며 기획정보과 2007-03-14 3335
951 [기고]간벌후 입체적 간벌을 다시해야 기획정보과 2007-03-14 2825
950 선과장 40% "고품질 출하 부적합" 기획정보과 2007-03-14 2912
949 제주감귤축제 산지-소비지 병행 개최 검토 기획정보과 2007-03-14 3047
948 감귤류 결국 개방되나 기획정보과 2007-03-14 2471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