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비상품 ‘한라봉’ 유통 단속 강화를”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5-15 10:24:36      ·조회수 : 2,878     

“비상품 ‘한라봉’ 유통 단속 강화를”
농민신문 5/15 강영식 기자
제주 관광지서 버젓이 판매… 도 홈페이지 항의글 ‘빈번’


감귤 조례에 의해 비상품 〈한라봉〉 단속이 올해 처음 실시되는 가운데 제주도 내 유명 관광지를 중심으로 비상품 〈한라봉〉이 버젓이 판매되며 여전히 유통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본격 관광철에 들어선 3일 서귀포시의 한 관광지 입구. 과일 노점상에게 다가가 〈한라봉〉 가격을 물었다. 대답은 시중가의 절반 수준인 3㎏ 한상자가 1만원. 주로 누가 사가느냐는 질문에 노점상은 “수학여행온 학생들이 선물용으로 많이 사간다”는 것. ‘맛있다’는 노점상의 말에 한 상자를 사서 먹어보니 신 맛이 강해 먹기가 힘들 정도의 비상품 〈한라봉〉이었다.

이처럼 직접 확인한 사례 외에도 농가와 산지 관계자 등에 따르면 유명 관광지 주변 노점상들이 관광객, 특히 수학여행 학생들을 대상으로 맛없는 비상품 〈한라봉〉을 선물용으로 판매해 이미지를 떨어뜨리는 것은 물론 잠재 소비자들에게 나쁜 영향을 주고 있다는 지적이다.

최근 제주도청 홈페이지 자유게시판에도 불만을 터뜨리는 학생들의 글이 여러 건 올라왔다. 한 학생은 ‘숙소 앞까지 차에 싣고 와 팔기에 〈한라봉〉을 샀는데 열어보니 상품 가치가 전혀 없었다’’며 불만을 털어놨다. 다른 학생은 ‘상자를 열어보니 감귤보다 작고 말라 비틀어진 〈한라봉〉이 들어 있어 사기당한 기분’이라고 적었다.

특히 〈한라봉〉은 생산량의 40~50%가 도 내에서 유통되는 실정이라 단속 강화가 시급한 실정이다. 그러나 올해 단속 실적은 5건이고 그나마 경고 수준에 그쳤다. 제주도청 관계자는 “도와 4개 시·군 공무원 62명이 단속 중”이라며 “홍보와 지도 방향으로 단속을 펼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한라봉〉 농가 김종우씨(48·서귀포시 효돈동)는 “비상품 〈한라봉〉 유통 단속을 강화해야 한다”며 “장기적으로 ‘〈한라봉〉은 맛있는 과일’이라는 이미지를 소비자에게 심어줘야 함께 잘 살 수 있다는 마음가짐이 아쉽다”고 강조했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989 감귤원 간벌 막판 총력전 기획정보과 2007-03-29 2972
988 감귤업무 유통체계 개선에 초점 기획정보과 2007-03-29 2934
987 “감귤, 쌀과 동등하게 협상해야” 기획정보과 2007-03-29 3361
986 “감귤 개방 안 된다”…삭발 투쟁 기획정보과 2007-03-29 2897
985 사채에 짖눌린 ‘제주농가’ 기획정보과 2007-03-29 3495
984 감귤, 한미 FTA 협상 ‘벼랑끝’ 기획정보과 2007-03-29 3320
983 올 감귤 계약출하 확대 기획정보과 2007-03-29 3652
982 제주농협 한라봉 차별화 ‘시동’ 기획정보과 2007-03-29 3375
981 감귤원 간벌 목표량 조기달성 박차 기획정보과 2007-03-22 2863
980 화훼 등 시설농가 영농비 ‘비상’ 기획정보과 2007-03-22 2929
979 FTA 저지 단식농성 확산 기획정보과 2007-03-22 3300
978 감귤원 간벌 마무리 위해 예산 긴급 지원 기획정보과 2007-03-22 2689
977 감귤 경쟁력 강화 사업 확대 기획정보과 2007-03-22 3126
976 한미FTA 협상 중단 촉구 단식농성 기획정보과 2007-03-22 3072
975 FTA 타결 모색, 감귤 분수령 기획정보과 2007-03-22 2719
974 노지감귤 값 막판 고공세 기획정보과 2007-03-20 3828
973 패드(fad)의 추방 기획정보과 2007-03-20 3458
972 감귤 협상 제외 ‘살얼음판’ 기획정보과 2007-03-20 3290
971 노지감귤값 강세 지속…만감류도 동반 상승 기획정보과 2007-03-20 3049
970 <나의의견>제주감귤산업은 반드시 지켜져야 한다 기획정보과 2007-03-20 3084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