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농가들, ‘공생’ 생각할 때다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4-28 09:49:53      ·조회수 : 2,156     

감귤농가들, ‘공생’ 생각할 때다

한라일보 2006년 04월 28일
감귤원 간벌 실적이 저조하다. 간벌 참여 농가들을 위해 각종 인센티브까지 내걸고 있지만 제주도와 시·군이 정한 간벌 목표량에 크게 못미치는 상황이다. 뭔가 크게 잘못돼 가고 있는 것이다.

 올해 2분의 1 간벌 계획 면적은 도 전체적으로 1천70ha다. 하지만 추진 실적은 6백여ha에 불과하다. 시·군별 추진실적도 55∼58% 수준으로 거의 비슷하다. 어느 특정지역을 탓할 상황이 아닌 것이다.

 당국은 간벌 실적이 이처럼 저조한 이유가 지난 2년간 감귤가격이 비교적 좋았던 관계로 올해에도 그러지 않겠느냐는 기대심리 때문으로 분석하고 있다. 그런 측면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게 전부는 아닐 것이다.

 당국이 먼저 솔직해져야 한다. 자치단체가 펼치는 정책에 농가가 따르기만 하면 제값을 받을 수 있는 것인지 답할 때가 됐다는 뜻이다. 한계가 있다면 그 한계를 가감없이 드러내야 한다. 그래야 농가들이 자구책을 마련할 것이 아닌가.

 감귤은 생명산업이므로 무조건 살리겠다고 말만 앞세울 일이 아니다. 자치단체가 할 수 있는 일과 불가능한 일을 분명히 구분짓고 농가의 몫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도 전달해야 하는 것이다.

 당국이 일방적으로 감산 목표를 정해놓고 실적이 부진하면 농가 탓으로 돌리는 풍토도 개선해야 한다. 희생도 공평한 부담일 때 설득력이 있는 것이다. 무임승차 농가가 있다면 그에 따른 불이익이 더 크다는 것을 실제적으로 보여주는 과감함도 필요하다.

 이번 기회에 간벌을 비롯한 관주도의 감귤생산량 감축 정책에 농가들의 전폭적인 신뢰가 따르지 않는 이유를 정확히 진단하고 감귤정책 전반을 다시 한번 점검해야 한다. 자치단체가 감귤가격을 전적으로 책임지지도 않는 현실 아닌가.

 농가들도 이제는 고통을 함께 분담하고 과실도 더불어 누리는 ‘공생’을 생각해야 한다. 당국의 일이 있고, 농가가 할 일이 있다. 감귤의 위기는 끝나지 않았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947 감귤문제 합의점 찾지 못해 아쉬움 기획정보과 2007-03-14 2156
946 제주감귤농협 수도권 만감류 판촉행사 기획정보과 2007-03-14 3002
945 김 지사 "제주감귤 민감성 알려나가겠다" 기획정보과 2007-03-14 2692
944 감귤 등 농업분야 고위급 회담으로 기획정보과 2007-03-14 2793
943 소규모.영세 선과장 전체 86% 차지 기획정보과 2007-03-14 2849
942 도의회 “한미FTA중단 촉구” 기획정보과 2007-03-14 2820
941 ‘감귤아가씨 선발대회 없앤다’ 기획정보과 2007-03-14 3073
940 ‘감귤’ 고위급 회담에 달렸다 기획정보과 2007-03-12 2381
939 ‘감귤’ FTA 쟁점 부상 기획정보과 2007-03-12 2484
938 경찰-FTA저지 상경투쟁단 공항서 충돌 기획정보과 2007-03-12 2978
937 위기의 제주감귤, 간벌도 좋지만… 기획정보과 2007-03-12 2504
936 '감귤운명' 쇠고기에 달렸다 기획정보과 2007-03-12 2699
935 [농사메모]감귤 간벌에 적극 참여합시다 기획정보과 2007-03-12 3203
934 제주감귤 막바지 몸부림 기획정보과 2007-03-12 2695
933 "감귤류 협상품목 제외,강력 요청" 기획정보과 2007-03-09 2783
932 “제주 감귤 보호의지 확고하다” 기획정보과 2007-03-09 2820
931 한·미 FTA 제주 ‘대재앙’ 우려 기획정보과 2007-03-09 2619
930 제주감귤 막바지 몸부림 기획정보과 2007-03-09 2584
929 감귤산업 경쟁력 강화 총력 기획정보과 2007-03-09 2446
928 “감귤 못지키면 농업 몰락” 기획정보과 2007-03-09 2486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