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 협상 예외품목 이외 대안 없다”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6-23 09:54:37      ·조회수 : 2,628     

“감귤, 협상 예외품목 이외 대안 없다”
한라일보 6/23
한미 FTA가 발효돼 감귤류에 대한 관세가 철폐되면 도내 감귤산업 피해액이 10년 동안 최대 2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됐다. 감귤산업 발전방안 용역을 시행중인 제주대학교의 분석이다. 충격적인 보고서다. 감귤에 국한된 것도 아니다. 일반농업, 관광 등 타산업도 함께 몰락해 제주경제가 붕괴될지 모른다는 경고를 용역팀은 하고 있는 것이다.

 이제 제주도 당국이 선택할 수 있는 카드는 자명해졌다. 뭔가를 하는 것처럼 시늉만 낼 단계가 아닌 것이다. 제주경제의 사활이 걸린 중대 사안이다. 우선 감귤을 협상 예외품목으로 관철시켜야 한다. 달리 대안이 없다. 정부와 적당히 타협할 생각은 접는 게 좋다. 정부가 미국에 한국의 농업을 일방적으로 양보하지 않도록 도 당국이 앞장서서 경각심을 줘야 한다. 뜻을 같이 하는 지방자치단체가 없지 않을 것이다.

 이른바 ‘민감품목’에 감귤이 지정되더라도 엄청난 피해가 불가피한 것으로 예측되고 있지 않은가. 감귤 뿐만 아니라 다른 농작물과 축·수산업 개방 피해도 정확한 분석과 예측이 시급하다. 감귤만 갖고 제주 농촌경제를 지탱할 수는 없다. 열 손가락 깨물어 아프지 않은 손가락은 없다.

 도가 그제 발표한 ‘감귤산업 육성 로드맵’도 장밋빛 전망이 아닌 지 면밀히 재검검해볼 일이다. 감귤 조수입을 2010년에 1조원으로 늘리겠다는 구상을 농가들이 얼마나 현실성 있는 계획으로 받아들일는지 의문이다. 그렇게 발전시키는 것이 당연한 일이겠지만 검증되지 않은 발표로 자칫 FTA 대응에 초점이 흐려지지 않을까 우려된다.

 도가 특히 잊지 말아야 할 것은 1차산업 발전대책을 마련함에 있어 감귤 따로, 일반농업·축산업·수산업 따로 제 각각 분산해 논의하기보다 제주의 농·수·축산업을 한 묶음으로 통합해 종합적인 발전전략을 수립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야 작물간 산업간 우선순위가 보다 명확해지고 이에 따라 산업의 재배치가 가능해진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969 노지감귤 출하 조절 '이번 만큼만' 기획정보과 2007-03-20 2912
968 감귤류 보호 불투명 기획정보과 2007-03-20 3432
967 "감귤 가공제품 다양화해야" 기획정보과 2007-03-20 3310
966 노지감귤 막판 고공행진 기획정보과 2007-03-20 3782
965 25년후 감귤재배 최적지 30배 확대 기획정보과 2007-03-19 3480
964 “감귤 협상품목 예외없인 한미FTA도 없다" 기획정보과 2007-03-19 2913
963 19~21일 한·미 고위급 회담, 감귤류 계절관세로 가나 기획정보과 2007-03-19 4106
962 감귤류 협상 궁금증 증폭 기획정보과 2007-03-19 3368
961 간벌 목표 이달 중 완료한다 기획정보과 2007-03-19 3473
960 감귤류 협상품목 제외 막판 ‘총력’ 기획정보과 2007-03-19 2577
959 제주농협 ‘감귤나무 농장주’ 모집 기획정보과 2007-03-19 3537
958 감귤선과장 구조조정 본격화 기획정보과 2007-03-15 3858
957 감귤원 폐원하면 뭐하나 기획정보과 2007-03-15 3407
956 서귀포시, 감귤원 간벌 ‘탄력’ 기획정보과 2007-03-14 4320
955 "감귤 협상품목 제외,끝까지 노력" 기획정보과 2007-03-14 3027
954 '비가림 감귤,한번 맛보세요' 기획정보과 2007-03-14 3206
953 1/2간벌에 군장병도 앞장선다 기획정보과 2007-03-14 3150
952 [제민포럼]한라봉의 거듭나기를 기대하며 기획정보과 2007-03-14 3624
951 [기고]간벌후 입체적 간벌을 다시해야 기획정보과 2007-03-14 3155
950 선과장 40% "고품질 출하 부적합" 기획정보과 2007-03-14 3220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