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개화상황 조사결과, 생산예상량 48만~51만9000톤 전망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8-05-30 17:17:03      ·조회수 : 2,939     

올해 노지감귤 많이 열려야 52만톤!
감귤개화상황 조사결과, 생산예상량 48만~51만9000톤 전망
작년 71% 수준…착과율 향상 위한 새순솎기·방제 철저 당부



올해산 노지감귤은 많이 열려야 52만톤을 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감귤관측조사위원회(위원장 강지용)와 제주도 농업기술원이 합동으로 올해 감귤생산예상량 관측조사 결과, 48만5000~51만9000톤 정도 생산될 것으로 관측됐다.

지난해 1차 관측조사 발표 때는 최소 56만8000톤에서 최대 60만6000톤으로 발표됐다.

이번 조사는 꽃이 핀 정도를 통해 이뤘다. 조사대상 감귤원에 2그루를 선정해 동서남북 4방향 가지의 꽃수와 묵은 잎 수를 세어 화엽비를 조사했다.

조사결과, 화엽비는 0.58개(적정 0.7개)로 집계됐는데, 이는 전년도 0.81개, 평년 0.80개보다 각각 71.6%, 72.5% 수준에 머물렀다.

이처럼 꽃이 적은 요인은 지난해 풍작과 늦은 수확에 따른 나무의 힘(수세)이 약해진데다 올 들어 1~2월 추운 날씨가 많아 조기낙엽과 꽃눈이 감소한데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

앞으로 2차례에 걸친 생리적 낙과와 장마철 기상여건 등에 따라 생산량은 변동이 있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감귤 착과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6월 상순까지 새순 솎기, 농약 살포, 병해충 방제 등을 중점적으로 실천해야 할 것으로 감귤당국은 당부했다.

이와 관련 강지용 감귤관측조사위원장은 “올해 개화 상황은 과수원과 나무별로 꽃핀 양이 극히 적거나 남아 뚜렷한 양극화 현상이 나타난 것이 큰 특징”이라며 “착과율 향상을 위한 농가에서의 새순 솎기와 병해충 방제 등의 자구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농업기술원은 오는 8월 하순에 감귤 착과율을 조사한 후 제2차 감귤생산예산량을 발표할 예정이다.<제주의소리>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969 노지감귤 출하 조절 '이번 만큼만' 기획정보과 2007-03-20 2891
968 감귤류 보호 불투명 기획정보과 2007-03-20 3415
967 "감귤 가공제품 다양화해야" 기획정보과 2007-03-20 3291
966 노지감귤 막판 고공행진 기획정보과 2007-03-20 3755
965 25년후 감귤재배 최적지 30배 확대 기획정보과 2007-03-19 3451
964 “감귤 협상품목 예외없인 한미FTA도 없다" 기획정보과 2007-03-19 2884
963 19~21일 한·미 고위급 회담, 감귤류 계절관세로 가나 기획정보과 2007-03-19 4077
962 감귤류 협상 궁금증 증폭 기획정보과 2007-03-19 3338
961 간벌 목표 이달 중 완료한다 기획정보과 2007-03-19 3435
960 감귤류 협상품목 제외 막판 ‘총력’ 기획정보과 2007-03-19 2544
959 제주농협 ‘감귤나무 농장주’ 모집 기획정보과 2007-03-19 3502
958 감귤선과장 구조조정 본격화 기획정보과 2007-03-15 3826
957 감귤원 폐원하면 뭐하나 기획정보과 2007-03-15 3374
956 서귀포시, 감귤원 간벌 ‘탄력’ 기획정보과 2007-03-14 4292
955 "감귤 협상품목 제외,끝까지 노력" 기획정보과 2007-03-14 2995
954 '비가림 감귤,한번 맛보세요' 기획정보과 2007-03-14 3181
953 1/2간벌에 군장병도 앞장선다 기획정보과 2007-03-14 3118
952 [제민포럼]한라봉의 거듭나기를 기대하며 기획정보과 2007-03-14 3602
951 [기고]간벌후 입체적 간벌을 다시해야 기획정보과 2007-03-14 3132
950 선과장 40% "고품질 출하 부적합" 기획정보과 2007-03-14 3185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