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기획] 관광·감귤 등 주력산업 경쟁력 강화 급선무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7-01-17 19:15:39      ·조회수 : 2,427     

<p></p>
<b><font size="5">[기획] 관광·감귤 등 주력산업 경쟁력 강화 급선무</font></b>

<font size="4" color="blue">제주일보, 제주도민 사회의식 조사 </font>

<font size="3">제주일보 1/15 김태형 기자

제주특별자치도의 미래에 대해 도민들은 다소 긍정적인 기대감을 갖고 있으나 대다

수는 확실하게 낙관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돼 보다 피부에 와닿는 비전 및 실천방

안 제시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갈수록 다양화, 첨예화되고 있는 사회적 갈

등을 심각하게 인식하는 도민도 많은 것으로 나타나 이를 합리적으로 풀어나갈 제도

적 장치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제주도 미래 전망=지난해 7월 출범한 제주특별자치도의 미래상에 대해 ‘밝다’는

긍정적 인식(30.7%)이 ‘어둡다’는 부정적 인식(20.4%)보다 많았다. 하지만 ‘그저 그

렇다’(43.0%)와 ‘잘 모르겠다’(5.8%)는 응답이 전체의 절반 가까이 달했다.

이는 1998년 기대감을 갖고 출발한 제주국제자유도시 건설이 더디게 이뤄지면서 아

직까지 뚜렷한 성과를 보여주지 못한데다 지역경제도 장기 침체되면서 미래를 낙관

할 수 없는 불확실한 인식이 반영된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미래상에 대한 긍정적 인식은 ‘서귀포시’(34.3%), ‘남성’(32.5%), ‘20대’(42.5%), ‘공

무원’(40.9%) 등에서 비교적 높았으며 부정적 답변은 ‘30대’(26.1%)와 ‘40대’

(23.3%), ‘사무·전문직’(29.4%), ‘서비스직’(23.1%) 등에서 상대적으로 많았다.

제주도 미래를 밝다고 보는 원인(이하 중복응답)에 대해서는 ‘관광산업 재도약’

(29.2%), ‘국내·외 민자유치 활성화’(39.5%), ‘교육·의료 등 신 성장산업 육성’

(35.4%) 등의 순이었으나 직업별로 뚜렷한 인식차를 보였다.

‘사무·전문직’은 ‘신성장산업 육성’(53.3%)을, ‘공무원·교사’는 ‘민자유치 활성화’

(77.8%)를, ‘서비스직’은 ‘관광산업 재도약’(84.6%)을 제주도 미래를 견인할 주요 동

력이자 육성 과제로 인식했다.

반면 제주도 미래를 어둡게 보는 원인에 대해서는 ‘지역산업 경쟁력 부족’(49.6%)이

1순위로 지적됐으며 ‘관광산업 부진 장기화’와 ‘취약한 자치재정 기반’, ‘FTA에 따른

1차산업 붕괴’(이상 32.6%), ‘제주도의 정책 부재’(21.7%), ‘무분별 개발 및 환경 파

괴’(17.1%), ‘지역내 갈등 심화’(9.3%) 등이 뒤를 이었다.

직업별로는 ‘사무·전문직’이 ‘지역산업 경쟁력 부족’(46.7%)을, ‘공무원·교사’는 ‘취약

한 자치재정 기반’(100%)을, ‘서비스직’은 ‘관광산업 부진 장기화’(45.5%)를, 1차산

업 종사자는 ‘FTA에 따른 1차산업 붕괴’(52.4%)를 우려하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

았다.

향후 미래 발전을 위해 필요한 요인으로는 ‘관광 개발 및 관광객 유치 확대’(54.6%),

‘감귤 등 1차산업 육성’(42.8%), ‘지역간 균형 발전’(22.4%), ‘IT·BT 등 신성장산업 육

성’(20.3%), ‘교육.의료시장 개방’(19.5%) 순으로 기존 주력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

고 새로운 전략산업 육성을 바라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사회적 갈등 인식=특별자치도 출범과 다변화 사회 흐름에 맞춰 현안으로 떠오른

사회적 갈등 수준에 대해서는 ‘심각하다’(41.3%)는 응답이 ‘심각하지 않다’(20.0%)보

다 갑절 가까이 많아 부정적 인식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심각하다’는 인식은 ‘제주시’(41.9%), ‘여성’(41.9%), ‘50대’(46.5%), ‘자영업’(51%)

등에서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그저 그렇다’는 응답은 ‘20대’(44.3%)와 ‘30대’(36%)

‘공무원.교사’(40.9%) 등에서 비교적 많았다.

현재 가장 우려되는 갈등 요인(이하 복수 응답)으로는 ‘환경보존-개발간 갈등’

(39.2%)이 ‘빈부 등 계층간 갈등’(38.7%)보다 근소하게 앞서 1990년대 제주도개발특

별법 이후 이어져온 개발과 보존을 둘러싼 갈등 인식이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

다.

이어 ‘도내 지역간 갈등’(23%), ‘도내-도외 출신간 갈등’(27.1%), ‘선거 등 정치 갈등’

(23%), ‘보수-진보 등 이념적 갈등’(14.8%) 순으로 조사돼 지역·출신간 잠재된 갈등

이 정치·이념 갈등보다 후유증 면에서 우려감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갈등 유발 원인에 대해서는 ‘지역간 이기주의 심화’(31.3%)에 이어 ‘행정 책임성·조

정정책 부재’(29.3%)가 근소한 차이로 뒤이어 위험수위로 치닫고 있는 지역이기주

의를 원만하게 조정할 행정 역할론이 고려돼야 할 것으로 조사됐다.

이어 ‘나 아니면 안된다는 개인주의 행태’(28.5%), ‘선거 관련 줄서기 행태’와 ‘무분

별 비난과 헐뜯기 행태’(각 22.7%), ‘권위주의 의식 팽배’(19.4%), ‘도의회 조정기능

미흡’(16.1%), ‘시민단체의 일방적 반대’(11.2%), ‘언론의 대안없는 비판’(6.3%) 등

의 순이었다.

도민 갈등 해소를 위한 최우선 중재.조정 역할 주체로는 ‘지자체 등 행정’(30.9%)이

1순위로 꼽혔으며 이어 ‘도의회’(22.5%)와 ‘시민사회단체’(16.9%), ‘갈등 이해당사자’

(16.4%), ‘언론’(11.5%) 등의 순이었다.

또 도민 갈등을 풀어내기 위한 가장 합리적인 방안으로는 ‘도지사의 확고한 리더십

‘(31.7%)와 ‘도민의 자발적인 인식 전환’(29.9%)이 우선순위로 꼽힌 반면 ‘시민단체.

언론의 건전한 대안 제시’(13.4%)와 ‘사회 통합 조직.기구 설치’(9.3%), ‘지역 원로들

의 조정 중재’(6.8%), ‘의회 조정기능 강화’(6.5%)는 상대적으로 낮아 대조를 보였

다.
</font>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925 감귤 중요성 인식만 강조 기획정보과 2007-03-08 2275
924 감귤 등 국내산 과일값 호조 기획정보과 2007-03-08 2736
923 “감귤 보호의지 확고” 기획정보과 2007-03-08 2490
922 농협중앙회 FTA 대책위 탈퇴하라” 기획정보과 2007-03-08 2907
921 [기고]노지감귤 출하를 마무리하며… 기획정보과 2007-03-07 2586
920 [사설]감귤원 간벌 남의 일인가 기획정보과 2007-03-06 2777
919 쌀 개방대상서 제외될듯 기획정보과 2007-03-06 2514
918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8차 협상 전망]쌀개방 제외 감귤류는 ? 기획정보과 2007-03-06 2773
917 감귤원 간벌 설득 분주 기획정보과 2007-03-06 2413
916 감귤 4·5번과 경락가 최고 기획정보과 2007-03-06 2691
915 비현실적 감귤제도 개선 감감 기획정보과 2007-03-05 2444
914 올해산 노지감귤 풍작 예상 기획정보과 2007-03-05 2734
913 감귤꽃눈 분화율 적정수준 넘어 기획정보과 2007-03-05 3193
912 FTA민간지원委 ‘얼빠진 홍보’ 기획정보과 2007-03-05 2571
911 한미 FTA 감귤지위 향방 ‘촉각’ 기획정보과 2007-03-05 2532
910 한라봉재배, 심기일전 새로운 마음으로 기획정보과 2007-03-05 2611
909 노지감귤 조수입 5400억 ‘사상최대’ 기획정보과 2007-03-05 2612
908 ‘감귤로 번 돈 빚부터 갚고 보자’ 기획정보과 2007-03-05 2719
907 농가참여 저조한 감귤원 1/2간벌 기획정보과 2007-02-27 2289
906 한라봉 이미지 회복...생산자 단체 나선다 기획정보과 2007-02-26 2821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