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산업 ‘한·미 FTA’ 충격파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5-09 10:03:57      ·조회수 : 2,422     

감귤산업 ‘한·미 FTA’ 충격파
발효시 10년간 조수입만 1조 감소
제주일보 5/9 김태형 기자
한·미 FTA(자유무역협정) 발효로 10년에 걸쳐 수입오렌지 관세가 완전 철폐될 경우 이에따른 감귤 조수입의 직접 피해액이 무려 1조원을 웃돌 것으로 추산됐다.

제주도 의뢰로 ‘한·미 FTA 협상 등에 따른 감귤산업의 영향분석’을 용역 중인 고성보 제주대 교수는 8일 도청에서 열린 감귤특별대책위원회 제2차 회의에서 이같이 내용의 중간 용역 결과를 밝혔다.

중간 조사 결과 한·미 FTA 협상이 타결, 발효돼 현재 50%와 54%인 오렌지와 농축액 수입 관세가 10년에 걸쳐 완전 감축될 경우 10년간 순수 감귤 조수입 피해액은 1조 1249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이기간 도내 감귤 재배면적은 2만 2000㏊에서 1만 5000㏊로 32% 줄어들고 신선 오렌지와 농축액 수입 물량은 15만 4000t, 3만 9000t에서 38만t, 7만t으로 각 147%, 79% 폭증할 것으로 전망됐다.

용역 연구책임자인 고성보 교수는 “한·미 FTA가 2008년부터 발효돼 2017년 관세가 없어지는 시나리오에서는 감귤 농가 판매가도 40% 이상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또 오렌지와 농축액 수입 관세 철폐 시한이 5년으로 앞당겨질 경우 발효 이후 10년간 감귤 조수입 피해액은 1조 6878억원으로 눈덩이처럼 불어날 것으로 추산됐다.

아울러 관세 철폐 시한이 15년과 20년으로 늦춰질 경우 피해액은 각 7686억원, 5833억원으로 다소나마 완화되지만 연간 감귤 조수입에 이르는 피해가 예상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더욱이 이번 잠정 피해 예상치에는 감귤관련 서비스업과 제조업, 가공업, 유통업 등의 연관산업 피해는 물론 고용 분야의 영향 분석이 포함되지 않아 실제 피해 규모는 더욱 클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허인옥 제주대 명예교수는 “제주인 경우 산업구조상 다른 지역과 달리 한·미 FTA로 실업자로 전락할 감귤산업 고용 인력을 수용할 수 있는 업종이 없다는 게 문제”라고 피해의 심각성을 지적했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907 농가참여 저조한 감귤원 1/2간벌 기획정보과 2007-02-27 2338
906 한라봉 이미지 회복...생산자 단체 나선다 기획정보과 2007-02-26 2893
905 감귤소득 기대 못미쳐 기획정보과 2007-02-26 2739
904 한라봉`품질인증제 도입 시급하다 기획정보과 2007-02-26 3791
903 농협, 명품 ‘한라봉’ 대대적 홍보 기획정보과 2007-02-26 3171
902 간벌 실적 부진 비상 기획정보과 2007-02-26 2860
901 감귤상자 디자인 개선 주문 기획정보과 2007-02-23 2783
900 ‘감귤류 협상품목 제외’ 건의키로 기획정보과 2007-02-22 2342
899 제주은행 감귤작목주주제 ‘호응’ 기획정보과 2007-02-22 2888
898 올 노지감귤 전망 불안 기획정보과 2007-02-22 2656
897 감귤박물관에 아열대식물원 기획정보과 2007-02-20 2919
896 "제주감귤 민감성 전달" 기획정보과 2007-02-20 3008
895 “감귤류 협상품목 제외 역량 결집할 것” 기획정보과 2007-02-16 2822
894 감귤류 ‘계절관세’ 도입 검토 기획정보과 2007-02-16 2914
893 감귤이용 건강제품 기술 이전 기획정보과 2007-02-16 2592
892 감귤사수 '살얼음판' 기획정보과 2007-02-15 2465
891 한라봉 가격 3개월만에 오름세 기획정보과 2007-02-15 2911
890 감귤류 향방 ‘최고위급’서 결정 기획정보과 2007-02-15 2414
889 도 친환경농축산국 등 간벌 일손돕기 전개 기획정보과 2007-02-14 2482
888 관광산업 병폐 ‘고쳐야 산다’ 기획정보과 2007-02-14 2510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