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 등 불법반입 식물 급증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6-22 10:18:47      ·조회수 : 2,662     

감귤 등 불법반입 식물 급증
한라일보 6/22 고대용 기자
올들어 464건 적발…병해충 위험도 높아 타격 우려

 올들어 원화강세가 지속되면서 수출감소로 인한 수출입 식물검역실적이 줄어든 가운데 제주감귤에 치명적인 타격을 줄 수 있는 외국산 감귤 등 불법반입 식물은 크게 늘어났다.

 국립식물검역소 제주지소에 따르면 5월말 현재 제주지역 수출입 검역실적은 1천6백18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2천4백38건에 비해 33.6% 감소했다.

 검역실적이 줄어든 것은 원화강세로 대일 수출물량이 감소하면서 검역건수가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주요 수출품목은 감귤, 양배추, 파프리카, 무 등 7천6백16톤이며, 주로 일본·캐나다·중국·괌 등에 수출됐다.

 또 수입식물에 대한 검역건수는 3천7백17건으로 지난해 4천4백88건보다 17.2% 감소했다.

 주요 수입품목은 모래, 자갈, 참깨 등이 32만9천3백18톤이고, 심비디움묘목, 슈가애플묘목 등이 96만3천개이다. 주요 수입국은 일본·중국·대만.

 지속적인 홍보로 휴대식물 검역건수는 감소했으나 골프장 조성용 모래 수입이 늘어나면서 검역물량은 증가했다.

 수입식물 가운데 반입금지 식물로 분류돼 적발된 건수는 4백64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2백55건에 비해 82% 증가했다. 적발된 주요 품목은 감귤·사과·배 등 휴대 열대과실류가 대부분을 차지했다.

 특히 중국은 국내에서 유입을 가장 우려하는 금지 병해충인 귤과실파리, 오이과실파리 등 다수의 과실파리와 코드린나방 등이 분포하고 있어 이들 과실류는 금지 병해충의 기주식물로 수입이 원천적으로 금지돼 있다.

 이들 과실류는 수입이 가능한 일반 식물에 비해 병해충 위험도가 매우 높아 자칫 도내에 금지 병해충이 유입될 경우 감귤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907 농가참여 저조한 감귤원 1/2간벌 기획정보과 2007-02-27 2322
906 한라봉 이미지 회복...생산자 단체 나선다 기획정보과 2007-02-26 2873
905 감귤소득 기대 못미쳐 기획정보과 2007-02-26 2711
904 한라봉`품질인증제 도입 시급하다 기획정보과 2007-02-26 3780
903 농협, 명품 ‘한라봉’ 대대적 홍보 기획정보과 2007-02-26 3153
902 간벌 실적 부진 비상 기획정보과 2007-02-26 2823
901 감귤상자 디자인 개선 주문 기획정보과 2007-02-23 2749
900 ‘감귤류 협상품목 제외’ 건의키로 기획정보과 2007-02-22 2312
899 제주은행 감귤작목주주제 ‘호응’ 기획정보과 2007-02-22 2868
898 올 노지감귤 전망 불안 기획정보과 2007-02-22 2614
897 감귤박물관에 아열대식물원 기획정보과 2007-02-20 2876
896 "제주감귤 민감성 전달" 기획정보과 2007-02-20 2979
895 “감귤류 협상품목 제외 역량 결집할 것” 기획정보과 2007-02-16 2783
894 감귤류 ‘계절관세’ 도입 검토 기획정보과 2007-02-16 2901
893 감귤이용 건강제품 기술 이전 기획정보과 2007-02-16 2581
892 감귤사수 '살얼음판' 기획정보과 2007-02-15 2460
891 한라봉 가격 3개월만에 오름세 기획정보과 2007-02-15 2875
890 감귤류 향방 ‘최고위급’서 결정 기획정보과 2007-02-15 2404
889 도 친환경농축산국 등 간벌 일손돕기 전개 기획정보과 2007-02-14 2467
888 관광산업 병폐 ‘고쳐야 산다’ 기획정보과 2007-02-14 2485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