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왁스코팅 논란 "이제 그만"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8-09 09:54:56      ·조회수 : 2,746     

감귤왁스코팅 논란 "이제 그만"

제주타임즈 8/9 김용덕 기자
감귤왁스코팅에 대한 소모적 찬반 논란에 종지부를 찍고 고품질 감귤 생산을 위한 대책마련에 더 힘써야 한다는 지적이다.
제주감귤협의회는 최근 농협제주본부에서 열린 임시총회를 통해 ‘왁스코팅 감귤 출하금지’를 규정한 제주도감귤생산 및 유통에 관한 조례 시행을 유보하는 것에 합의, 이를 제주도와 제주도의회에 건의할 방침이다.
감귤협의회는 도 조례 제정시부터 논란이 많았고 선과기 구조문제, 시장여건상 왁스사용 전면 금지는 감귤의 상품성을 약화시키고 감귤농가의 소득과도 직결되는 사항이기 때문에 당장 시행은 어렵다는 입장을 정리, 시행 유보 및 개정방안을 건의할 계획이다.
고두배 제주자치도 친환경농축산국장은 “조례 제정 목적이 자연상태의 신선한 감귤 출하로 소비자의 신뢰를 회복하는 것에 있기 때문에 오히려 홍보를 강화, 시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선과기 구조개선 등의 문제로 지난 2004년 제정된 조례는 시행기간을 2년 유보, 2006년 7월 1일 시행토록 했으나 선과기 구조개선은 커녕 최근 이뤄지고 있는 왁스코팅 감귤 출하에 따른 어떠한 단속도 이뤄지지 않고 있다. 한마디로 직무유기다.
제주도는 특히 조례를 시행하려니 농가들의 반발이 예상되고 시행을 유보하려니 행정불신이 우려되는 등 사실상 눈치보기에 급급한 상태다.
제주자치도의회는 시행도 해보기 전에 조례를 유보하는 것은 있을 수 없다는 입장이다. 조례 제정 취지를 살려 시행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국농업경영인제주도연합회도 최근 성명을 통해 조례 시행을 강력 촉구했다.
반면 감귤협의회 강희철 위원장은 “조례 시행으로 단속에 들어가면 마찰이 불가피, 민원이 발생하고 물 세척을 하지 않은 감귤이 소비자에게 제공되면 이를 문제삼을 경우 어떻게 대처할 것이냐”면서 “시행 이전에 농가에게 피해를 줘서는 안되며 농가지도가 우선돼야 한다”고 말했다.
주변에선 이 같은 소모적 찬반논란에 종지부, 최근 한미FTA협상 대응책 마련과 고품질 감귤생산을 위한 노력에 중지를 모아야 한다는 지적이 팽배하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907 농가참여 저조한 감귤원 1/2간벌 기획정보과 2007-02-27 2297
906 한라봉 이미지 회복...생산자 단체 나선다 기획정보과 2007-02-26 2851
905 감귤소득 기대 못미쳐 기획정보과 2007-02-26 2677
904 한라봉`품질인증제 도입 시급하다 기획정보과 2007-02-26 3741
903 농협, 명품 ‘한라봉’ 대대적 홍보 기획정보과 2007-02-26 3128
902 간벌 실적 부진 비상 기획정보과 2007-02-26 2791
901 감귤상자 디자인 개선 주문 기획정보과 2007-02-23 2715
900 ‘감귤류 협상품목 제외’ 건의키로 기획정보과 2007-02-22 2288
899 제주은행 감귤작목주주제 ‘호응’ 기획정보과 2007-02-22 2848
898 올 노지감귤 전망 불안 기획정보과 2007-02-22 2577
897 감귤박물관에 아열대식물원 기획정보과 2007-02-20 2832
896 "제주감귤 민감성 전달" 기획정보과 2007-02-20 2941
895 “감귤류 협상품목 제외 역량 결집할 것” 기획정보과 2007-02-16 2752
894 감귤류 ‘계절관세’ 도입 검토 기획정보과 2007-02-16 2872
893 감귤이용 건강제품 기술 이전 기획정보과 2007-02-16 2568
892 감귤사수 '살얼음판' 기획정보과 2007-02-15 2445
891 한라봉 가격 3개월만에 오름세 기획정보과 2007-02-15 2846
890 감귤류 향방 ‘최고위급’서 결정 기획정보과 2007-02-15 2367
889 도 친환경농축산국 등 간벌 일손돕기 전개 기획정보과 2007-02-14 2435
888 관광산업 병폐 ‘고쳐야 산다’ 기획정보과 2007-02-14 2453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