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기사]뚱뚱한 사람에겐 귤보다 껍질이 '보약'!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7-01-22 11:02:23      ·조회수 : 2,795     

<b>귤은 뚱뚱한 사람에겐 '독'이 될 수 있다고? </b>

<b>스포츠서울닷컴 2007년 01월 20일 (토) 07:51:51 메디컬투데이 mdtoday.iamdoctor.com</b>


겨울에 가장 인기 있는 과일은 귤이다. 귤은 감기예방과 피로회복에 효과적이며 흔하게 구할 수 있어 서민들의 대표적인 과일이라 할 수 있다.

한방에서 보는 은 잎, 껍질, 씨를 모두 약재로 쓰고 꽃을 차의 재료로 이용할 만큼 하나도 버릴 것이 없는 과일이다.

특히 귤 껍질은 한방에서 중요한 약재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 귤껍질은 좋다는 걸 알면서도 농약오염의 불안감으로 인해 버리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잘만 관리해서 활용하면 훌륭한 보약이 된다.

◇ 뚱뚱한 이에게 귤은 ‘독’일수도

귤에는 구연산이라는 물질이 들어있어 스트레스와 피로회복에도 도움을 주며, 비타민이 풍부해서 눈에 좋으며 피부와 점막을 튼튼하게 한다.

동맥경화와 고혈압 예방에 효과가 있고, 잇몸이나 혈관을 튼튼하게 해 상처를 빨리 낫게 할 뿐 아니라 활발한 장운동도 도와 노폐물의 축적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최근에는 대장암 예방이나 유방암의 세포의 증식을 막아준다는 연구 보고도 있다.

하지만 뚱뚱한 사람에게 귤은 좋지 않을 수 있다. 대전대 대전 한방병원 소화기내과 이연월 교수는 귤은 겨울에 나는 과일로 찬 성질을 갖고 있어 소화가 잘 안되며 담을 생성할 수 있다고 충고한다.

한방에서 담이란 소화가 안될 때 생길 수 있는 노폐물을 말하며 소화기능이 약할 대 생긴다. 반면 몸이 마르고 화가 많은 사람에게 귤은 수분을 보충해 주고 갈증을 없애는데 효과적이다.

◇ 잘 익은 껍질 ‘진피’는 훌륭한 약제

귤껍질은 귤보다 더 훌륭한 약효를 갖고 있다.

동국대 일산한방병원 한방재활의학과 김호준 교수에 따르면 귤껍질은 귤과 반대로 맵고 쓴 맛에 따뜻한 성질이 있다.

귤 껍질 중 채 익지 않은 것을 청피(靑皮), 잘 익은 것을 진피(陳皮), 껍질 안쪽의 흰 부분만 제거한 나머지 부분을 귤홍(橘紅)이라 하여 각각의 부분을 다르게 활용할 정도로 쓰임새가 많다.

특히 진피는 기운을 소통시켜 주고, 몸에 쌓인 불필요한 수분을 제거하는 효능이 있다. 또 위장기능을 활발하게 해 소화를 촉진 시키고, 구역질, 구토, 딸꾹질을 막고 땀을 내 기침과 가래를 줄여 준다.

또, 물고기와 바닷게의 독을 풀고 비린내를 없애는데 효과적이며, 생선가시가 목에 걸렸을 때 씹으면 씻은 듯이 내려가게 한다.

또, 파란색으로 덜 익은 귤껍질인 청피는 기를 흩어버리는 성질이 강해 스트레스 과다로 인해 옆구리가 결리고 아픈 경우와 뱃속의 덩어리를 풀어주는데 좋다.

◇ 식초에 담갔다 맑은 물에 헹궈야 먹어야 안전

하지만 귤껍질은 그냥 먹기엔 농약재로 인해 위험하다. 한약재로 사용되는 귤껍질은 특수한 처리를 거친 것이지만 일반적인 귤은 껍질을 우려먹기엔 좋지 않다.

김호준 교수는 농약의 위험성을 줄이려면 흐르는 맑은 물에 여러 번 씻은 후 약간의 식초를 탄 물에 잠시 담가 두었다 헹궈 통풍이 잘되는 그늘에서 말려두었다가 사용할 것을 권한다.

한약재로 사용되는 귤껍질은 오래 보관한 것일수록 효과가 크다. 먹을 때는 차로 우려먹는 것이 좋다. 또, 입욕제로 활용하면 피로회복과 감기예방, 피부미용에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반면, 체내에 열을 일으키고, 땀을 내는 작용이 있으므로 허열이 많거나 기운이 약해 땀을 많이 흘리는 사람은 피하는 것이 좋다고 전한다.

또, 몸에 음기가 부족해 가래 없이 마른 기침을 자주하거나 기운이 약하고 너무 마른 사람에게는 맞지 않으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907 농가참여 저조한 감귤원 1/2간벌 기획정보과 2007-02-27 2297
906 한라봉 이미지 회복...생산자 단체 나선다 기획정보과 2007-02-26 2832
905 감귤소득 기대 못미쳐 기획정보과 2007-02-26 2656
904 한라봉`품질인증제 도입 시급하다 기획정보과 2007-02-26 3722
903 농협, 명품 ‘한라봉’ 대대적 홍보 기획정보과 2007-02-26 3128
902 간벌 실적 부진 비상 기획정보과 2007-02-26 2772
901 감귤상자 디자인 개선 주문 기획정보과 2007-02-23 2715
900 ‘감귤류 협상품목 제외’ 건의키로 기획정보과 2007-02-22 2278
899 제주은행 감귤작목주주제 ‘호응’ 기획정보과 2007-02-22 2848
898 올 노지감귤 전망 불안 기획정보과 2007-02-22 2569
897 감귤박물관에 아열대식물원 기획정보과 2007-02-20 2825
896 "제주감귤 민감성 전달" 기획정보과 2007-02-20 2919
895 “감귤류 협상품목 제외 역량 결집할 것” 기획정보과 2007-02-16 2752
894 감귤류 ‘계절관세’ 도입 검토 기획정보과 2007-02-16 2855
893 감귤이용 건강제품 기술 이전 기획정보과 2007-02-16 2559
892 감귤사수 '살얼음판' 기획정보과 2007-02-15 2436
891 한라봉 가격 3개월만에 오름세 기획정보과 2007-02-15 2828
890 감귤류 향방 ‘최고위급’서 결정 기획정보과 2007-02-15 2348
889 도 친환경농축산국 등 간벌 일손돕기 전개 기획정보과 2007-02-14 2417
888 관광산업 병폐 ‘고쳐야 산다’ 기획정보과 2007-02-14 2435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