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전통 농·축식품유통공사 설립 필요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1-05-03 08:58:16      ·조회수 : 2,457     

전통 농·축식품유통공사 설립 필요

양세완 21세기영농조합법인 대표

최근 A방송사에서 방송한 제주 10대 대안산업 중 청정 유기농산업은 필자가 2001년부터 언론을 통해 주장해 온 전통농업과는 내용이 일부 다르지만 공감하는 바가 많았다.

제주 전통 농식품은 유기농 식품과는 가치적으로 다르기 때문에 방송사에서 건강산업 기획 으로 방영 된 것으로 보인다. 제주 전통 농식품은 연간 매출액 5000억원 규모의 기업을 유치하는 것보다 효과적인 것은 물론 이에 따른 지역경제 효과는 1차 산업 개념으로는 재단하거나 계량할 수 없을 정도로 크기 때문에 제주 청정 경제 발전 모델이 되어야 할 것이다.

제주올레가 체육기능 관광이라면 제주 전통농업은 체육 기능농업이 될 것이다. 시대와 시장 변화에 따른 차별화 정책이 반드시 필요하다. 백년대계를 위한 제도 마련과 함께 제도 운영을 위한 가칭 ‘제주 전통 농·식품 유통 공사’ 설립을 우근민 도정에게 주문한다. 이것이 농축식품국 직제 개편에 따른 정책 방향이고 향토산업을 육성하는 바른 길이 아닌가 싶다.

제주감귤이 고유의 맛과 향이 떨어지는 이유는 건강한 환경과 토양이 건강한 과수를 키우고 건강한 과수가 건강한 과일을 만든다는 자연의 순리를 무시한 결과이다.

선거 때 절반의 정치행동만 있었어도 지금 약자(농민·서민)의 고통을 덜 수가 있었을 텐데 유감스럽다. 녹색 없는 녹색성장, 동행 없는 동반성장, 공평 없는 공정사회, 순환 없는 상생, 복리 없는 복지 정책 등이 난무하고 있다.

작고 아름다운 제주 전통 농촌 풍경과 전통 농식품 문화가 제주의 품격과 경관에 보탬이 될 텐데 관심 부족이 아쉽다. 제주 감귤산업이 실패가 두려워 변화에 도전하지 못하고 남의 길만 따라가면 제주 농업인은 감귤을 생산하고도 대자본의 유통 마케팅에 놀아나는 결과를 자초할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907 농가참여 저조한 감귤원 1/2간벌 기획정보과 2007-02-27 2338
906 한라봉 이미지 회복...생산자 단체 나선다 기획정보과 2007-02-26 2893
905 감귤소득 기대 못미쳐 기획정보과 2007-02-26 2745
904 한라봉`품질인증제 도입 시급하다 기획정보과 2007-02-26 3802
903 농협, 명품 ‘한라봉’ 대대적 홍보 기획정보과 2007-02-26 3171
902 간벌 실적 부진 비상 기획정보과 2007-02-26 2873
901 감귤상자 디자인 개선 주문 기획정보과 2007-02-23 2785
900 ‘감귤류 협상품목 제외’ 건의키로 기획정보과 2007-02-22 2355
899 제주은행 감귤작목주주제 ‘호응’ 기획정보과 2007-02-22 2890
898 올 노지감귤 전망 불안 기획정보과 2007-02-22 2663
897 감귤박물관에 아열대식물원 기획정보과 2007-02-20 2923
896 "제주감귤 민감성 전달" 기획정보과 2007-02-20 3011
895 “감귤류 협상품목 제외 역량 결집할 것” 기획정보과 2007-02-16 2824
894 감귤류 ‘계절관세’ 도입 검토 기획정보과 2007-02-16 2923
893 감귤이용 건강제품 기술 이전 기획정보과 2007-02-16 2594
892 감귤사수 '살얼음판' 기획정보과 2007-02-15 2465
891 한라봉 가격 3개월만에 오름세 기획정보과 2007-02-15 2925
890 감귤류 향방 ‘최고위급’서 결정 기획정보과 2007-02-15 2429
889 도 친환경농축산국 등 간벌 일손돕기 전개 기획정보과 2007-02-14 2487
888 관광산업 병폐 ‘고쳐야 산다’ 기획정보과 2007-02-14 2515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