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FTA 농산물 개방수준 촉각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6-23 09:52:54      ·조회수 : 2,628     

FTA 농산물 개방수준 촉각
내달 본협상서 감귤류 양허제외 강구해야
제주일보 6/23 김태형 기자
한·미 FTA(자유무역협정) 발효시 감귤산업은 물론 지역경제 전반에 막대한 타격이 우려되는 가운데 향후 양국간 협상에 있어 농산물 양허수준이 최대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22일 제주도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등에 따르면 다음달 예정된 한·미 FTA 2차 본협상부터 농산물에 대한 품목별 양허 협상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돼 대비책 마련에 비상이 걸렸다.

이번 농산물 협상에서는 전체 협상 대상품목 중 개방 정도 수위를 가늠할 양국간 양허 수준이 정해질지 여부에 최대 관심이 쏠리고 있다.

통상적인 FTA 협상 과정상 양국은 품목별로 양허 수준을 정하고 관세철폐 이행기간과 양허 제외 등의 양허 방식을 정하는 수순을 밟게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여기에서 양허 수준이 높으면 그만큼 관세 철폐 품목이 많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일례로 한·칠레 FTA에서 우리나라는 전체 농산물의 70%를 자유화했으며 한·싱가포르 FTA에서는 66.7%를 양허 수준으로 정한 바 있다.

이에 따라 한·칠레 FTA에서는 쌀·사과·배 등 21개 품목이 양허 대상에서 제외돼 보호받았으며 한·싱가포르 FTA에서도 쇠고기·돼지고기·닭고기 등이 양허 제외 품목으로 분류됐다.

정부는 한·미 FTA 협상에서 쌀 등 민감품목을 양허 대상에서 제외시킨다는 입장이어서 양국간 양허 수준 향방에 따라 위기에 처한 감귤 향방도 좌우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미국은 쇠고기와 함께 감귤류 등 주요 과실 품목을 양허 대상에 포함시켜 관세 인하나 철폐를 요구할 것으로 알려져 불안감도 커지고 있다.

이로볼때 한·미 FTA에 따른 감귤산업의 도미노 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최소한 민감품목과 함께 양허 제외 품목 지정을 동시에 요구하는 전략적 방안이 검토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909 노지감귤 조수입 5400억 ‘사상최대’ 기획정보과 2007-03-05 2892
908 ‘감귤로 번 돈 빚부터 갚고 보자’ 기획정보과 2007-03-05 3003
907 농가참여 저조한 감귤원 1/2간벌 기획정보과 2007-02-27 2626
906 한라봉 이미지 회복...생산자 단체 나선다 기획정보과 2007-02-26 3226
905 감귤소득 기대 못미쳐 기획정보과 2007-02-26 3073
904 한라봉`품질인증제 도입 시급하다 기획정보과 2007-02-26 4222
903 농협, 명품 ‘한라봉’ 대대적 홍보 기획정보과 2007-02-26 3495
902 간벌 실적 부진 비상 기획정보과 2007-02-26 3197
901 감귤상자 디자인 개선 주문 기획정보과 2007-02-23 3068
900 ‘감귤류 협상품목 제외’ 건의키로 기획정보과 2007-02-22 2636
899 제주은행 감귤작목주주제 ‘호응’ 기획정보과 2007-02-22 3148
898 올 노지감귤 전망 불안 기획정보과 2007-02-22 2923
897 감귤박물관에 아열대식물원 기획정보과 2007-02-20 3254
896 "제주감귤 민감성 전달" 기획정보과 2007-02-20 3533
895 “감귤류 협상품목 제외 역량 결집할 것” 기획정보과 2007-02-16 3235
894 감귤류 ‘계절관세’ 도입 검토 기획정보과 2007-02-16 3371
893 감귤이용 건강제품 기술 이전 기획정보과 2007-02-16 2865
892 감귤사수 '살얼음판' 기획정보과 2007-02-15 2779
891 한라봉 가격 3개월만에 오름세 기획정보과 2007-02-15 3196
890 감귤류 향방 ‘최고위급’서 결정 기획정보과 2007-02-15 2738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