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나의의견>제주감귤산업은 반드시 지켜져야 한다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7-03-20 09:28:04      ·조회수 : 2,693     


<b><font size=5>
<나의의견>제주감귤산업은 반드시 지켜져야 한다
</font>
2007년 03월 20일 (화) 제주일보 <font size=3>

이용민 제주농협 지역본부 감귤팀장

지난해 2월 3일 한미 FTA협상이 공식 선언되면서 국내 농업계의 거센 반대와 극심한 국론 분열 양상을 보이는 가운데 8차에 걸친 협상이 진행됐다.

한미 양측이 첨예한 입장차를 보이고 있는 농산물 분야는 고위급 회담에서 마무리할 것으로 가닥이 잡히면서 감귤을 비롯한 우리 농업은 큰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한미 FTA가 체결될 경우 국내 농축산물의 가격 하락과 생산액 감소로 인한 ‘탈농’ 등 농업 포기 현상에서 빚어지는 손실액은 추정이 불가능할 정도로 막대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경제 단체에서는 한미 FTA로 농업의 선진화를 이룩하자는 논리를 펴고 있어 답답하고 걱정스러운 마음을 금할 수 없다.

농업을 경제원리의 잣대로만 재단할 수 없는 이유 중 하나가 농업기반은 한번 무너지면 소생이 거의 불가능하다는 점 때문이다.

특히 우리 제주도에서의 감귤산업은 지역경제를 지탱하는 근간산업이다. 한 마디로 지역경제의 뿌리와 같다. 도민들의 심리적인 요인까지 감안하면 감귤산업의 비중은 말로 표현할 수 없다.

따라서 근간산업의 붕괴는 제주도민의 생존권과 직결되므로 공산품을 위해 농산물을 내주는 한.미FTA협상에서 감귤을 지켜야 하는 당위성이 여기서 비롯된다.

1995년 세계무역기구(WTO) 출범과 함께 시작된 오렌지와 감귤시장 개방이 우리에게 준 시련과 고통은 감귤산업에만 국한되지 않고 제주농업 전반에 휘몰아 치면서 깊은 생채기를 내고 있다.

감귤산업을 구조조정하는 가운데 폐원된 농지에 채소작물이 재배되면서 나타나는 현상은 생산비에도 못 미치는 가격형성과 판로난의 악순환이다. 이 같은 상황은 앞으로 더욱 심화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 대부분의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이러한 우리 농업현실 앞에서 우리 협상단과 정부는 미국과 대등한 입장에서 체결하는 FTA를 진정 수용해야 하는지 깊이 성찰해야 한다.

한미 FTA협상에서 감귤을 지켜 내기 위해 제주도민들은 감귤특별대책위원회를 구성, 감귤을 쌀과 대등한 지위에서 협상해 줄 것을 정부 관계부처에 강력하게 건의하는 한편 감귤농가의 애타는 심정을 담은 서명부를 전달하기도 했다.

김태환 제주특별자치도지사도 한미 FTA 4차 협상부터 민간 합동 방문단을 구성해 국내와 미국 협상장을 방문, 미국측 협상단에게 제주감귤의 민감성과 제주도민의 염원을 대변하면서 협상 제외품목으로 다뤄 주도록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이 같은 일련의 활동과 노력들이 수포로 돌아가지 않도록 우리 제주도민들은 한마음이 돼 한미FAT를 지켜 볼 것이다. 또 우리의 뜻이 반영되지 않는 한미 FTA 협상 결과에 대해서는 인정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밝히고 싶다.

최근 한미 FTA협상이 막바지에 이르면서 정치권의 주요 인사들까지 나서 한미 FTA협상의 중단을 촉구하는 목소리에 힘을 싣고 있다. 특히 언론보도에 따르면 노무현 대통령도 지난 13일 국무회의에서 한미 FTA 협상과 관련해 “철저하게 실익 위주로 협상하고 합의하라”는 지시를 내렸다고 한다. 따라서 정부와 우리 협상단은 한미 FTA협상에서 제주도민의 실익과 생존권을 고려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887 비상품 한라봉 유통행위 적발 기획정보과 2007-02-14 2357
886 '주먹구구식' 간벌 집중 질타 기획정보과 2007-02-14 2291
885 감귤류 향방 ‘최고위급’서 결정 기획정보과 2007-02-14 2212
884 2006년산 노지감귤 유통명령 조기 해제 기획정보과 2007-02-13 2075
883 감귤 한 상자 기획정보과 2007-02-13 2619
882 한·미FTA 7차협상 美國 워싱턴서 12일 개막 기획정보과 2007-02-12 2750
881 미숙감귤 기능성물질 추출 기획정보과 2007-02-12 2771
880 감귤 양허안 향방 ‘촉각’ 기획정보과 2007-02-12 2112
879 감귤유통명령 조기해제 안된다 기획정보과 2007-02-12 2385
878 감귤유통명령 조기 해제 ‘논란’ 기획정보과 2007-02-12 2144
877 관광홍보 업체들이 직접 기획정보과 2007-02-08 2639
876 중국 감귤, 제주 감귤 발목 잡나 기획정보과 2007-02-08 3067
875 감귤유통명령제 단속 "엉망진창" 기획정보과 2007-02-08 2271
874 서귀포 감귤명령제 단속 허술 기획정보과 2007-02-08 2682
873 ‘친환경 감귤 메카’ 만든다 기획정보과 2007-02-07 2764
872 북한 보낼 감귤물량 확보 ‘비상’ 기획정보과 2007-02-07 2226
871 "한미FTA 대비 지원책 수립할때" 기획정보과 2007-02-07 2411
870 <나의의견>감귤하우스 정전피해 예방을 위한 제언 기획정보과 2007-02-07 2452
869 서귀포시 저급 한라봉 유통행위 집중단속 기획정보과 2007-02-07 2360
868 설맞아 감귤-오대쌀 직거래 기획정보과 2007-02-06 5287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