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농가들, ‘공생’ 생각할 때다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4-28 09:49:53      ·조회수 : 2,132     

감귤농가들, ‘공생’ 생각할 때다

한라일보 2006년 04월 28일
감귤원 간벌 실적이 저조하다. 간벌 참여 농가들을 위해 각종 인센티브까지 내걸고 있지만 제주도와 시·군이 정한 간벌 목표량에 크게 못미치는 상황이다. 뭔가 크게 잘못돼 가고 있는 것이다.

 올해 2분의 1 간벌 계획 면적은 도 전체적으로 1천70ha다. 하지만 추진 실적은 6백여ha에 불과하다. 시·군별 추진실적도 55∼58% 수준으로 거의 비슷하다. 어느 특정지역을 탓할 상황이 아닌 것이다.

 당국은 간벌 실적이 이처럼 저조한 이유가 지난 2년간 감귤가격이 비교적 좋았던 관계로 올해에도 그러지 않겠느냐는 기대심리 때문으로 분석하고 있다. 그런 측면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게 전부는 아닐 것이다.

 당국이 먼저 솔직해져야 한다. 자치단체가 펼치는 정책에 농가가 따르기만 하면 제값을 받을 수 있는 것인지 답할 때가 됐다는 뜻이다. 한계가 있다면 그 한계를 가감없이 드러내야 한다. 그래야 농가들이 자구책을 마련할 것이 아닌가.

 감귤은 생명산업이므로 무조건 살리겠다고 말만 앞세울 일이 아니다. 자치단체가 할 수 있는 일과 불가능한 일을 분명히 구분짓고 농가의 몫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도 전달해야 하는 것이다.

 당국이 일방적으로 감산 목표를 정해놓고 실적이 부진하면 농가 탓으로 돌리는 풍토도 개선해야 한다. 희생도 공평한 부담일 때 설득력이 있는 것이다. 무임승차 농가가 있다면 그에 따른 불이익이 더 크다는 것을 실제적으로 보여주는 과감함도 필요하다.

 이번 기회에 간벌을 비롯한 관주도의 감귤생산량 감축 정책에 농가들의 전폭적인 신뢰가 따르지 않는 이유를 정확히 진단하고 감귤정책 전반을 다시 한번 점검해야 한다. 자치단체가 감귤가격을 전적으로 책임지지도 않는 현실 아닌가.

 농가들도 이제는 고통을 함께 분담하고 과실도 더불어 누리는 ‘공생’을 생각해야 한다. 당국의 일이 있고, 농가가 할 일이 있다. 감귤의 위기는 끝나지 않았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867 [제민포럼] 감귤 품질향상 간벌로 시작하자 기획정보과 2007-02-06 2934
866 감귤 날씨 덕에 "표정관리중" 기획정보과 2007-02-06 2444
865 비상품 한라봉 ‘뒷북 단속’ 기획정보과 2007-02-06 2436
864 노지감귤 가격 ‘고공행진’ 기획정보과 2007-02-06 2566
863 한라봉 가격 ‘침체 늪’ 벗어나나 기획정보과 2007-02-05 3232
862 "감귤마라톤 참여 기대" 기획정보과 2007-02-05 2416
861 ‘평화의 섬’ 감귤·당근, 북녘으로 기획정보과 2007-02-05 2249
860 FTA기금사업 대상자 확정 기획정보과 2007-02-02 2464
859 간벌 비협조 예산지원 보류 기획정보과 2007-02-02 2135
858 [농민신문]설 저장과일값 어떻게中..감귤 기획정보과 2007-02-01 2565
857 [수입오렌지]“오렌지 값 너무 비싸”… 국산 과일 ‘싱글벙글’ 기획정보과 2007-02-01 3886
856 맛좋은 감귤 영원한 숙제 기획정보과 2007-02-01 3142
855 일년에 1인당 감귤 674개 소비 기획정보과 2007-02-01 2674
854 [백록담]경계해야 할 중국산 감귤 기획정보과 2007-02-01 3090
853 <나의의견>2007년 노지감귤, 간벌로 시작하자 기획정보과 2007-02-01 2818
852 [포토뉴스]“제주감귤 드세요” 기획정보과 2007-02-01 2229
851 감귤 선호도 사과·배에 밀린다 기획정보과 2007-02-01 2379
850 [포토뉴스]노형동 감귤원 간벌 박차 기획정보과 2007-02-01 2250
849 '탑프루트' 감귤 인기 최고 기획정보과 2007-01-31 2492
848 감귤 러시아수출 전망 밝다 기획정보과 2007-01-31 2242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