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한·미 FTA, 건너서는 안되는 강”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10-23 15:48:49      ·조회수 : 2,989     

<p></p>
<font size="5">“한·미 FTA, 건너서는 안되는 강” </font>

<font size="3" color="blue">강인선 제주도농업인단체협의회장 특별기고 </font>

<font size="3">제주일보 10/23 기고문

한·미 FTA 협상이 농업 등 1차 산업은 물론 사회 전반에 걸쳐 서민들의 삶을 파탄에

이르게 할 것이 불 보듯 뻔하다. 김태환 지사가 제4차 협상 제주 개최 확정과 관련

해 기자회견을 갖고 “한·미 FTA 협상단에게 제주지역 감귤의 어려움을 평화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기회로 삼자”고 도민들에게 호소한 것을 보면 정말로 제주감귤에 타

격이 많기는 많은 모양이다.

며칠 전, 홍영표 대통령직속 한·미 FTA체결지원단장은 감귤을 민감품목으로 지정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감귤의 ‘예외품목’지정은 이미 물 건너갔다는 얘기와 다

를 바 없다. 감귤의 민감품목 지정은 감귤시장을 완전 개방하겠다는 것하고 같은 말

이다.

협상 이전부터 미국에게 알아서 기겠다는 것이다. 제주감귤 농가들이 원하는 것은

민감품목이 아니라 예외품목이다. 얼마 전에도 김종훈 FTA협상 수석대표가 민감품

목을 언급한 적이 있다.

서로들 돌아가면서 민감품목 운운하는 것이 아무래도 시작 전에 예외품목은 포기한

듯 싶다. 감귤의 보호장벽이 무너진다는 것은 제주경제의 무너짐을 의미한다. 물론

대부분의 농작물들이 많은 피해를 보겠지만 감귤의 피해는 제주경제에 직격탄을 가

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사안이라고 할 수 있다.

그동안의 행태로 볼 때, 농업에 대한 정부의 시각은 이렇다. 한국은 우루과이라운드

(UR)의 강과 한·칠레 FTA강도 건넜으니 한미 FTA 농업개방이라는 강을 충분히 건

널 수 있다고 한다.

쌀을 제외할 경우 경쟁력 없는 품목의 비중은 2%에 불과한 만큼 충분한 지원대책을

세우면 겁낼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경쟁력 있는 품목이나 경쟁력 없는 품목이 대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예시하지도 않으면서 쌀을 가장 큰 쟁점으로 몰고 가 쇠고기

와 과일 등 미국의 요구를 희석시키려 한다는 의구심만 든다.

이미 학자들은 한·미 FTA로 인한 농업피해는 농업에 대한 국가폭력이라고 말하고

있다. 농민들은 경쟁력 없는 품목이 2%가 아니라 경쟁할 수 있는 품목이 2%도 안된

다고 본다. UR의 강을 건널 때 농가부채는 4배로 늘었고 농민은 절반만 남았다. UR

보다 더한 한·미 FTA는 우리가 결코 건너서는 안 되는 강이다. 잘못된 협상 때문에

농민이, 국민이 돌이킬 수 없는 강을 건널 수는 없는 것이다.
</font>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869 서귀포시 저급 한라봉 유통행위 집중단속 기획정보과 2007-02-07 2717
868 설맞아 감귤-오대쌀 직거래 기획정보과 2007-02-06 5720
867 [제민포럼] 감귤 품질향상 간벌로 시작하자 기획정보과 2007-02-06 3211
866 감귤 날씨 덕에 "표정관리중" 기획정보과 2007-02-06 2717
865 비상품 한라봉 ‘뒷북 단속’ 기획정보과 2007-02-06 2731
864 노지감귤 가격 ‘고공행진’ 기획정보과 2007-02-06 2959
863 한라봉 가격 ‘침체 늪’ 벗어나나 기획정보과 2007-02-05 3631
862 "감귤마라톤 참여 기대" 기획정보과 2007-02-05 2665
861 ‘평화의 섬’ 감귤·당근, 북녘으로 기획정보과 2007-02-05 2501
860 FTA기금사업 대상자 확정 기획정보과 2007-02-02 2730
859 간벌 비협조 예산지원 보류 기획정보과 2007-02-02 2366
858 [농민신문]설 저장과일값 어떻게中..감귤 기획정보과 2007-02-01 2753
857 [수입오렌지]“오렌지 값 너무 비싸”… 국산 과일 ‘싱글벙글’ 기획정보과 2007-02-01 4185
856 맛좋은 감귤 영원한 숙제 기획정보과 2007-02-01 3528
855 일년에 1인당 감귤 674개 소비 기획정보과 2007-02-01 2925
854 [백록담]경계해야 할 중국산 감귤 기획정보과 2007-02-01 3435
853 <나의의견>2007년 노지감귤, 간벌로 시작하자 기획정보과 2007-02-01 2996
852 [포토뉴스]“제주감귤 드세요” 기획정보과 2007-02-01 2406
851 감귤 선호도 사과·배에 밀린다 기획정보과 2007-02-01 2534
850 [포토뉴스]노형동 감귤원 간벌 박차 기획정보과 2007-02-01 2499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