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 협상제외 10만인 서명운동 전개”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6-22 10:16:21      ·조회수 : 2,642     

“감귤 협상제외 10만인 서명운동 전개”
한·미FTA 대책위원회 만장일치 결의…7월10일 2차 본협상 전까지 총력투쟁
제민일보 6/21 좌용철 기자
한·미FTA 협상에서 감귤류를 협상 대상품목에서 제외해달라는 ‘10만인 서명운동’이 범도민적으로 전개된다.
한·미FTA협상 대응 감귤특별대책위원회는 21일 오전 10시 제주도청 회의실에서 제3차 회의를 갖고, “감귤류가 협상품목에 포함될 경우 제주감귤산업은 붕괴될 수밖에 없다”면서 만장일치로 ‘감귤 협상대상품목 제외’를 위한 10만명 서명운동을 전개하기로 결의했다.
이와 함께 다음달 10일부터 서울에서 시작되는 2차 본협상까지 총력투쟁기간으로 정해, 공청회 조직적 참가 등 감귤 예외품목 지정을 위한 가능한 수단을 총동원하기로 했다.
최용규 ㈔세계농정연구회장은 “현 단계에서는 ‘감귤을 협상대상에 포함하는 것 자체를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다’는 형태로 가야 한다”면서 “2차 본협상이 개시되기 전까지 정부를 최대한 압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또 정부가 협정문 초안이나 지난 5∼9일 미국에서 열린 1차 본협상 결과를 공개하지 않는 것과 관련해 ‘밀실행정’이라는 비난도 터져 나왔다.
고경휴 위원은 “1차 협상이 끝났으면 당연히 협정문 초안이나 협상내용을 해당 자치단체나 관련 기관·단체 공개해야 하는 것 아니냐”면서 정부의 밀실행정을 비난했다.
참가자들은 또 “지금까지 정부에 3차례나 ‘감귤 협상품목 제외’를 건의했지만 정부의 반응은 없다”면서 “정부에 ‘건의’만 할 것이 아니라 다음달 2차 본협상 전까지 서명운동 등을 통해 더욱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대책위원회는 7월10일 2차 본협상 개시에 앞서 다음달 4일 제주대 국제교류회관에서 농림부 관계자를 초청, ‘한·미FTA와 제주감귤산업의 미래’주제의 심포지엄을 개최키로 했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827 [와이드] 실패한 농정,예산낭비 악순환 기획정보과 2007-01-25 2293
826 공항 출국장 면세점 지역특산물 외면 기획정보과 2007-01-25 2852
825 관세철폐시 美오렌지 수입 갑절 증가 기획정보과 2007-01-25 2811
824 고품질 감귤생산위해 토양피복사업 전개 기획정보과 2007-01-25 2411
823 크린영농조합법인 광센서 이용 고소득 기획정보과 2007-01-25 2885
822 소포장 출하'완전 정착' 기획정보과 2007-01-25 2512
821 당.산도 균일 감귤 출하 기획정보과 2007-01-24 2054
820 맛 좋은 감귤위해 간벌 기획정보과 2007-01-24 2089
819 노지감귤 유통비용이 48% 차지 기획정보과 2007-01-24 2595
818 [열린마당]감귤경쟁력이 무기는 기획정보과 2007-01-24 2106
817 썩는 저장감귤 엄청나다 기획정보과 2007-01-24 2442
816 감귤 제값받기 감벌사업 기획정보과 2007-01-24 2421
815 제주 감귤,당근北으로 기획정보과 2007-01-24 2921
814 [감귤 100년 위기를 기회로](4)판매연합조직 기획정보과 2007-01-23 2747
813 간벌참여는 감귤 경쟁력 키우는 일 기획정보과 2007-01-23 2931
812 북한 보낼 감귤 어디 없나요? 기획정보과 2007-01-23 2435
811 제주감귤 잘 나간다 기획정보과 2007-01-23 2600
810 [기사]뚱뚱한 사람에겐 귤보다 껍질이 '보약'! 기획정보과 2007-01-22 2826
809 감귤이 세계 과일과 경쟁할 수 있는 힘은 간벌 관리자 2007-01-22 2608
808 상승세 감귤가격 변수는 저장물량 관리자 2007-01-22 2254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