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단감 값 40% 뜀박질… 이상기온으로 출하량 줄어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0-11-11 09:01:38      ·조회수 : 2,868     

감귤, 단감 등 제철과일들이 공급 부족으로 귀한 몸이 되고 있다. 대체과일인 사과 가격도 덩달아 뛰고 있다. 10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10월 감귤(노지온주) 도매가격(상품기준 10㎏)은 2만4737원으로 지난해 10월(1만5028원)보다 65%나 높았다. 11월 상순(1~9일)에도 감귤 가격은 1만5465원으로 지난해 11월(1만515원)보다 39% 높게 나타났다. 가격이 강세를 보이는 것은 잦은 비로 일조량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실제 10월 출하량은 지난해보다 53% 적었다. 11월에도 30%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또 당도와 산도가 모두 낮아 ‘새콤달콤’한 맛도 지난해보다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

감귤이 주춤한 사이 11월 오렌지 수입량은 2007년 이후 가장 많은 수준인 1000t 내외가 될 것으로 보인다. 연구원은 최근 수입 오렌지 가격이 높게 형성되고 감귤 생산량은 크게 감소해 수입량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단감은 주산지인 전남·경남 지역에서 발생한 서리 때문에 품질은 좋지 않고 가격은 높을 것으로 전망됐다.
10월까지 출하량은 지난해보다 21%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매가격(상품기준 10㎏)도 지난해보다 15% 높았다. 11월 상순 가격은 1만789원으로 지난해 같은 때보다 40% 높게 형성됐다. 연구원은 “서리 피해를 입은 단감은 조기 수확해야 해 당도도 낮고 색도 좋지 않을 것으로 보이며 크기나 중량도 평년보다 작고 가벼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감귤, 단감 등의 반입량이 줄면서 사과(후지) 가격도 동반 상승하고 있다. 11월 사과 평균 도매가격(상품기준 15㎏)은 3만3000~3만6000원 선으로 지난해보다 20% 높을 것으로 전망됐다. 출하량은 지난해보다 3% 많지만 사과 수요 대체과일인 감귤과 배의 출하량이 적기 때문이라고 연구원은 설명했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808 상승세 감귤가격 변수는 저장물량 관리자 2007-01-22 2311
807 "감귤도 보고 마라톤도…" 관리자 2007-01-22 2464
806 감귤류 향방 여전히 ‘불투명’ 관리자 2007-01-22 2006
805 노지감귤값 최고가 행진 관리자 2007-01-22 2633
804 "한라봉 명성 되찾자" 기획정보과 2007-01-19 2554
803 노지감귤가격 강세 지속 기획정보과 2007-01-19 2256
802 감귤FTA협상품목 제외 난항 기획정보과 2007-01-19 2123
801 [기고]감귤, 맛으로 도전하자 기획정보과 2007-01-19 2240
800 기상이변에 품질 하락 ‘복병’ 등장 - 감귤값 상승 ‘발목’ 우려 관리자 2007-01-18 2078
799 [사설]감귤만은 끝까지 지켜내야 관리자 2007-01-17 2320
798 [열린마당]한라봉을 감귤최고의 브랜드로 만들자 관리자 2007-01-17 2454
797 농산물 민감품목 논의 본격화 관리자 2007-01-17 2160
796 감귤시험장 7월 출범...전문가 배치 절실 관리자 2007-01-17 2783
795 친환경 농업 비료라더니… 관리자 2007-01-17 2820
794 감귤류 FTA 협상 제외 촉구키로 관리자 2007-01-17 3063
793 [기획] 관광·감귤 등 주력산업 경쟁력 강화 급선무 관리자 2007-01-17 2531
792 특별자치도, 1/2 간벌 추진 총력전 관리자 2007-01-17 2860
791 올 감귤분야 488억원 투자 관리자 2007-01-17 2279
790 농업분야 쟁점…감귤 ‘분수령’ 관리자 2007-01-17 2316
789 2003년 이후 감귤 품질 만족도 ‘양호’ 관리자 2007-01-17 2450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