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소비자는 불량 감귤에 속지 않는다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9-10-21 11:08:08      ·조회수 : 2,904     


▲ 도 불구하고 비상품 감귤 유통행위가 매년 끊이지 않으면서 감귤가격 안정 노력에 찬물을 끼얹고 있다.


소비자는 불량 감귤에 속지 않는다
기획=돈 버는 감귤을 만들자 <상>비상품 출하는 공멸행위
비상품 유통행위 매년 되풀이…올해도 32건 적발 증가세 보여
"고품질로 높은 가격 받아야"…농가·상인단체 자구노력 절실


기획=돈 버는 감귤을 만들자 <상>비상품 출하는 공멸행위

매년 되풀이되는 비상품 감귤유통 행위가 올해도 기승을 부리면서 가격안정 노력에 찬물을 끼얹고 있다. 열매솎기 등 고품질 생산노력에 땀을 흘리는 가운데 일부 몰지각한 농가·생산자단체의 비상품 출하가 그치지 않으면서 올해산 가격전망을 어둡게 하고 있다. 가격폭락을 경험한 지난 2007년처럼 비상품 유통행위는 감귤산업을 무력화시키는 가공할 위력을 발휘한다. 때문에 고품질 출하로 소비자 신뢰를 얻는 농가·생산자단체의 자구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소탐대실=자살행위

극조생 온주밀감이 출하되면서 단속반을 피해 소비자를 속이기 위한 비상품 유통행위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주사회가 감귤생산유통조례를 제정하면서 미숙감귤(덜 익은 감귤) 및 결점과·병해충과·상처과·부피과 등의 비상품을 소비자에게 판매하지 않겠다는 약속도 무용지물화 위기에 놓여 있다.

자치법규(조례)를 제정하면서 소비자에게 상품만을 팔겠다고 약속했지만 비상품을 유통시키려다 적발된 행위가 지난 9일 5건에서 18일 32건으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비상품 유통행위는 제주도감귤출하연합회 회원으로 가입한 상인단체에 집중, 반성이 시급한 실정이다.

제주도의 분석 결과 상인단체의 비상품감귤 유통행위 적발건수는 26건으로 전체 37의 70%를 차지하고 있다.

감귤산업이 붕괴되면 상인들도 몰락하는 만큼 상품만을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등 감귤출하연합회 회원으로서 감귤산업 발전을 위한 역할이 요구되고 있다.

△비상품은 소비지에서 퇴짜

비상품을 상품으로 둔갑시킨 몰지각한 행태는 단속반은 피할 수 있지만 소비자를 속이지는 못한다.

비상품 유통행위가 극성을 부렸던 2007년에도 단속반을 피해 출하된 감귤들이 소비자들에게 퇴짜를 맞았다.

과잉생산과 함께 비상품유통행위가 극에 달했던 2007년산 노지감귤은 생산량이 67만8000t으로 적정량 58만t을 초과한 가운데 비상품 유통행위도 825건이 적발되는 등 2003년 602건, 2004년 450건, 2005년 400건, 2006년 523건, 2008년 661건에 비해 많았다.

결국 도매시장에서 거래된 2007년산 노지감귤의 상품 경락가격은 10㎏당 7101원으로 2006년 1만3026원, 2008년 1만2700원 보다도 낮게 형성되면서 농가 소득도 하락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제주도의 분석 결과 2007년산 농가소득은 kg당 371원으로 2006년 827원, 2008년 789원 보다 낮는 한편 생산비 500원에도 미치지 못하면서 '밑지는 농사'로 마무리됐다.

서울 가락동 도매시장 관계자는 "소비자들의 과일 구매 수준이 높아지면서 비상품은 설 자리가 없다"며 "전국 도매시장에서의 비상품 출하를 금지시키는 유통명령제가 발령되더라도 농가·상인단체들이 고품질 출하를 실천하지 않으면 가격폭락은 불을 보듯 뻔하다"고 철저한 선별·유통을 부탁했다.


▲ 도 불구하고 비상품 감귤 유통행위가 매년 끊이지 않으면서 감귤가격 안정 노력에 찬물을 끼얹고 있다.


소비자는 불량 감귤에 속지 않는다
기획=돈 버는 감귤을 만들자 <상>비상품 출하는 공멸행위
비상품 유통행위 매년 되풀이…올해도 32건 적발 증가세 보여
"고품질로 높은 가격 받아야"…농가·상인단체 자구노력 절실

2009년 10월 19일 (월) 19:13:37 박훈석 기자 hss9718@hanmail.net


기획=돈 버는 감귤을 만들자 <상>비상품 출하는 공멸행위

매년 되풀이되는 비상품 감귤유통 행위가 올해도 기승을 부리면서 가격안정 노력에 찬물을 끼얹고 있다. 열매솎기 등 고품질 생산노력에 땀을 흘리는 가운데 일부 몰지각한 농가·생산자단체의 비상품 출하가 그치지 않으면서 올해산 가격전망을 어둡게 하고 있다. 가격폭락을 경험한 지난 2007년처럼 비상품 유통행위는 감귤산업을 무력화시키는 가공할 위력을 발휘한다. 때문에 고품질 출하로 소비자 신뢰를 얻는 농가·생산자단체의 자구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소탐대실=자살행위

극조생 온주밀감이 출하되면서 단속반을 피해 소비자를 속이기 위한 비상품 유통행위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주사회가 감귤생산유통조례를 제정하면서 미숙감귤(덜 익은 감귤) 및 결점과·병해충과·상처과·부피과 등의 비상품을 소비자에게 판매하지 않겠다는 약속도 무용지물화 위기에 놓여 있다.

자치법규(조례)를 제정하면서 소비자에게 상품만을 팔겠다고 약속했지만 비상품을 유통시키려다 적발된 행위가 지난 9일 5건에서 18일 32건으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비상품 유통행위는 제주도감귤출하연합회 회원으로 가입한 상인단체에 집중, 반성이 시급한 실정이다.

제주도의 분석 결과 상인단체의 비상품감귤 유통행위 적발건수는 26건으로 전체 37의 70%를 차지하고 있다.

감귤산업이 붕괴되면 상인들도 몰락하는 만큼 상품만을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등 감귤출하연합회 회원으로서 감귤산업 발전을 위한 역할이 요구되고 있다.

△비상품은 소비지에서 퇴짜

비상품을 상품으로 둔갑시킨 몰지각한 행태는 단속반은 피할 수 있지만 소비자를 속이지는 못한다.

비상품 유통행위가 극성을 부렸던 2007년에도 단속반을 피해 출하된 감귤들이 소비자들에게 퇴짜를 맞았다.

과잉생산과 함께 비상품유통행위가 극에 달했던 2007년산 노지감귤은 생산량이 67만8000t으로 적정량 58만t을 초과한 가운데 비상품 유통행위도 825건이 적발되는 등 2003년 602건, 2004년 450건, 2005년 400건, 2006년 523건, 2008년 661건에 비해 많았다.

결국 도매시장에서 거래된 2007년산 노지감귤의 상품 경락가격은 10㎏당 7101원으로 2006년 1만3026원, 2008년 1만2700원 보다도 낮게 형성되면서 농가 소득도 하락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제주도의 분석 결과 2007년산 농가소득은 kg당 371원으로 2006년 827원, 2008년 789원 보다 낮는 한편 생산비 500원에도 미치지 못하면서 '밑지는 농사'로 마무리됐다.

서울 가락동 도매시장 관계자는 "소비자들의 과일 구매 수준이 높아지면서 비상품은 설 자리가 없다"며 "전국 도매시장에서의 비상품 출하를 금지시키는 유통명령제가 발령되더라도 농가·상인단체들이 고품질 출하를 실천하지 않으면 가격폭락은 불을 보듯 뻔하다"고 철저한 선별·유통을 부탁했다.

제민일보 10/19 박훈석 기자 hspark@jemin.com

소비자는 불량 감귤에 속지 않는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2047 노지감귤 거래 단위 ‘관’ 농가는 손해 1 기획정보과 2023-12-07 1834
2046 베트남 MZ들, 제주 감귤 수확 '한창'…고령농가 일손돕기 '큰 힘' 1 기획정보과 2023-12-06 1456
2045 제철맞은 ‘국민 비타민’ 제주감귤 사랑해주세요 1 기획정보과 2023-12-06 1168
2044 2023 제주감귤박람회 6만명 넘실.. 축제 성황 속 마무리 1 기획정보과 2023-12-04 1174
2043 제주감귤농협 노지감귤 공선출하회, 우수 생산자조직상 받아 1 기획정보과 2023-12-04 929
2042 제주감귤⋅농촌융복합 인증제품 ‘서울 관문사’ 할인장터 인기 1 기획정보과 2023-12-04 1594
2041 “우리 잘나가요”…감귤시장 새바람 일으키는 국산 품종들 1 기획정보과 2023-12-01 1355
2040 겨울철 인기 간식 ‘감귤’ 작년보다 34.5% 비싸다 1 기획정보과 2023-11-27 1548
2039 ‘판매 불가’ 감귤, 도매시장은 예외?…폐기도 못 한다 1 기획정보과 2023-11-23 1827
2038 제주 택배감귤 파손‧부패 "이제 걱정 없어요" 1 기획정보과 2023-11-23 1546
2037 제주산 감귤 가격 호조세에 비상품 감귤 유통도 기승 1 기획정보과 2023-11-23 1404
2036 친환경자조금, 감귤로 가공품 다각화에 나선다 1 기획정보과 2023-11-22 1603
2035 제주대 '기후대응 IP기반 감귤 육종/디지털농업 포럼' 개최 1 기획정보과 2023-11-20 1360
2034 귤로장생, 감귤과즙... 이번엔 ‘렛츠런 파크 서울’ 출현 1 기획정보과 2023-11-20 1138
2033 서귀포시 공식 온라인 쇼핑몰 ‘서귀포in정’ 매출 82억 돌파 1 기획정보과 2023-11-17 1238
2032 최고가 '노지감귤', 사과·딸기 공백까지 더해 황금기 1 기획정보과 2023-11-17 1788
2031 2023 제주감귤박람회 개최 1 기획정보과 2023-11-17 1256
2030 올해산 노지감귤 가격 상승세 계속 이어가길 1 기획정보과 2023-11-16 1657
2029 제주도, 매년 반복 감귤 불법 유통 칼 빼든다 1 기획정보과 2023-11-16 1266
2028 제주 남원농협, 감귤 수확단 발대식 1 기획정보과 2023-11-16 1268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