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한겨레프리즘] 선키스트는 협동조합이다 / 김현대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0-11-15 08:58:41      ·조회수 : 3,219     

오렌지 껍질에 ‘Sunkist’(선키스트)라는 브랜드를 잉크로 새긴 것은 1907년이었다. 당시로서는 충격적인 아이디어였고, 엄청난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이후 선키스트는 고급 오렌지를 상징하는 대명사가 됐다.
“우리는 캘리포니아와 애리조나의 생산농가가 주인이고, 감귤 생산농가를 위해 사업을 벌이는 비영리 협동조합이다. 개개 생산농가들이 힘을 합쳐, 혼자서는 할 수 없는 일을 글로벌 경쟁시장에서 해낸다.” 선키스트의 누리집을 열면 이런 글이 나온다. 선키스트는 117년 역사를 자랑하는 협동조합이다.

선키스트 협동조합은 6000여 조합원이 생산한 감귤을 최대한 비싼 값으로 구입한다. 그것이 존립 목적이다. 통상의 주식회사처럼 싸게 사서 이익을 많이 남기려 하지 않는다. 배당을 요구하는 주주가 없기 때문이다. 대신, 생산농가는 조합과 맺은 엄격한 공동행동 약정을 지켜야 한다. 그러지 않으면 ‘퇴출’당한다.

농업의 수출기업화를 외치는 사람들은 네덜란드의 ‘그리너리’(Greenery)를 즐겨 예로 든다. 그러나 60여개 나라에서 수조원대 매출을 올리는 유럽 최대 청과물 도매회사인 그리너리는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주주들의 기업이 아니다. 2000여 농가가 주인이다.

1996년에 네덜란드의 9개 경매농협은 네덜란드원예협동조합(VTN)으로 합병했고, 그리너리라는 판매전담 자회사를 전액출자해 설립했다. 시장 개방과 유통기업의 대형화로 소규모 농협과 농가들이 어려움을 겪자 새로운 경영모델을 고안해낸 것이다. 전통적인 1인1표 평등주의를 일부 포기하고, 조합원 기여에 비례한 보상제를 도입했다. 그리너리는 글로벌 경쟁위기를 극복한 협동조합의 내부혁신 성공 사례이다. 수출 농기업의 벤치마킹 사례로 들먹이는 것은 협동조합의 진화에 무지몽매한 소치이다.

1970년대 이후 미국에서는 이른바 신세대(뉴 제너레이션) 협동조합이 쏟아지고 있다. 조합원의 출하물량에 비례해 출자규모와 의결권을 부여하고, 경영성과를 객관적으로 외부에서 평가할 수 있도록 출자증권의 시장거래까지 허용했다. 주식회사의 외양을 쏙 빼닮았지만, 생산농가나 소상공인이 주인이라는 대원칙은 굳게 지켰다. 글로벌 대기업과의 시장경쟁에 맞서는 ‘시장적 도구’로, 신세대 협동조합은 미국과 유럽에서 급속히 확대되고 있다. 버거킹은 영리기업과 협동조합이 결합한 독특한 구조이다. 프랜차이즈 가맹점들은 햄버거 재료를 값싸게 공급받기 위해 구매 전담 협동조합(RSI)을 따로 세웠다.

우리 일로 돌아와 보자. 대형 유통회사는 농산물 시장의 공룡이고, 농민들이 그들의 독과점에 맞설 수 있는 무기는 날이 무디다. 그래서 1170개 회원농협의 연합체인 농협중앙회부터 개혁하겠다고 한다. 농협중앙회에 재산을 출자한 농민들이 기대하는 것은 단순하다. 열심히 일해서 좋은 농산물 생산할 테니 판매(경제사업) 걱정을 하지 않도록 해달라는 것이다. 지금처럼 은행사업에 매달려 돈 많이 벌어달라는 것이 아니다.

농민이 생산과 판매까지 감당해야 한다는 발상은 대단히 위험하다. 판매 책임져주는 협동조합이 유명무실한 대한민국이기에 시장만능주의자들이 함부로그런 소리를 높이는 것이다. 선진국 어디에도 그런 나라는 없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2047 노지감귤 거래 단위 ‘관’ 농가는 손해 1 기획정보과 2023-12-07 1834
2046 베트남 MZ들, 제주 감귤 수확 '한창'…고령농가 일손돕기 '큰 힘' 1 기획정보과 2023-12-06 1456
2045 제철맞은 ‘국민 비타민’ 제주감귤 사랑해주세요 1 기획정보과 2023-12-06 1168
2044 2023 제주감귤박람회 6만명 넘실.. 축제 성황 속 마무리 1 기획정보과 2023-12-04 1174
2043 제주감귤농협 노지감귤 공선출하회, 우수 생산자조직상 받아 1 기획정보과 2023-12-04 929
2042 제주감귤⋅농촌융복합 인증제품 ‘서울 관문사’ 할인장터 인기 1 기획정보과 2023-12-04 1594
2041 “우리 잘나가요”…감귤시장 새바람 일으키는 국산 품종들 1 기획정보과 2023-12-01 1355
2040 겨울철 인기 간식 ‘감귤’ 작년보다 34.5% 비싸다 1 기획정보과 2023-11-27 1547
2039 ‘판매 불가’ 감귤, 도매시장은 예외?…폐기도 못 한다 1 기획정보과 2023-11-23 1827
2038 제주 택배감귤 파손‧부패 "이제 걱정 없어요" 1 기획정보과 2023-11-23 1546
2037 제주산 감귤 가격 호조세에 비상품 감귤 유통도 기승 1 기획정보과 2023-11-23 1404
2036 친환경자조금, 감귤로 가공품 다각화에 나선다 1 기획정보과 2023-11-22 1603
2035 제주대 '기후대응 IP기반 감귤 육종/디지털농업 포럼' 개최 1 기획정보과 2023-11-20 1360
2034 귤로장생, 감귤과즙... 이번엔 ‘렛츠런 파크 서울’ 출현 1 기획정보과 2023-11-20 1138
2033 서귀포시 공식 온라인 쇼핑몰 ‘서귀포in정’ 매출 82억 돌파 1 기획정보과 2023-11-17 1238
2032 최고가 '노지감귤', 사과·딸기 공백까지 더해 황금기 1 기획정보과 2023-11-17 1788
2031 2023 제주감귤박람회 개최 1 기획정보과 2023-11-17 1256
2030 올해산 노지감귤 가격 상승세 계속 이어가길 1 기획정보과 2023-11-16 1657
2029 제주도, 매년 반복 감귤 불법 유통 칼 빼든다 1 기획정보과 2023-11-16 1266
2028 제주 남원농협, 감귤 수확단 발대식 1 기획정보과 2023-11-16 1268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