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유통명령제 하나로는 감귤 살릴 수 없다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5-16 09:54:20      ·조회수 : 2,763     

유통명령제 하나로는 감귤 살릴 수 없다
한라일보 5/16
감귤을 제주의 생명산업으로 계속 발전시켜 나갈 수 있는 정책수단을 찾는데 진지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감귤값 지지와 관련, 감귤유통명령제가 새로운 정책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지만 이것만으로는 부족하다.

 지난 2003년 첫 도입된 감귤유통명령제는 3년간 시행 결과, 감귤값 지지에 일정 부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무엇보다 비상품감귤의 유통을 차단하는데 효자 역할을 했다. 하지만 많은 비용을 투입해 가면서 감귤 농가들의 이익을 위해 도입된 제도임에도 미참여자가 적지 않다. 지난해 단속에 적발된 것만해도 총 4백건에 이른다. 농가와 상인단체 등의 자발적 참여가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참여자와 미참여자를 확실히 구분해 차별 대우를 할 때가 됐다. 유통명령제를 준수한 농가·상인은 적극 보호하는 대신, 무임승차 생각으로 시책에 반하는 미참여자는 가혹하게 여겨질 정도의 제재와 불이익을 줘야 한다.

 단속의 강화와 더불어 위반자에 부과하는 과태료를 대폭 상향 조정해야 한다는 의견도 이 때문에 제기되고 있다. 간벌을 비롯한 각종 생산조정 시책과 유통 개선시책도 마찬가지다.

 감귤 크기로 상품과 비상품을 구분하는 관례도 바꿔 크기 뿐만 아니라 품질에 의한 상품기준을 시급히 도입해야 한다. 공급자의 필요가 아닌 소비자의 눈높이에 맞춘 상품과 비상품을 가르는 기준을 새롭게 정립해야 하는 것이다.

 시간이 많지 않다. 문제가 무엇인지 알면서 제 때 개선하지 않는다면 그것은 행정기관과 생산자단체인 농·감협의 직무유기다. 긍정적인 제도는 보완 발전시켜 가면서 새로운 정책수단과 대안도 적극 발굴해야 한다. 정책기획 능력을 키워야 하는 것이다.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이라는 큰 파고가 언제 제주감귤을 휩쓸지 모를 위기 상황이다. 비상 상황에 걸맞는 제주감귤의 생존 방안을 진지하게 논의할 시점이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809 감귤이 세계 과일과 경쟁할 수 있는 힘은 간벌 관리자 2007-01-22 2859
808 상승세 감귤가격 변수는 저장물량 관리자 2007-01-22 2643
807 "감귤도 보고 마라톤도…" 관리자 2007-01-22 2748
806 감귤류 향방 여전히 ‘불투명’ 관리자 2007-01-22 2286
805 노지감귤값 최고가 행진 관리자 2007-01-22 3019
804 "한라봉 명성 되찾자" 기획정보과 2007-01-19 2854
803 노지감귤가격 강세 지속 기획정보과 2007-01-19 2517
802 감귤FTA협상품목 제외 난항 기획정보과 2007-01-19 2425
801 [기고]감귤, 맛으로 도전하자 기획정보과 2007-01-19 2551
800 기상이변에 품질 하락 ‘복병’ 등장 - 감귤값 상승 ‘발목’ 우려 관리자 2007-01-18 2358
799 [사설]감귤만은 끝까지 지켜내야 관리자 2007-01-17 2605
798 [열린마당]한라봉을 감귤최고의 브랜드로 만들자 관리자 2007-01-17 2723
797 농산물 민감품목 논의 본격화 관리자 2007-01-17 2468
796 감귤시험장 7월 출범...전문가 배치 절실 관리자 2007-01-17 3185
795 친환경 농업 비료라더니… 관리자 2007-01-17 3219
794 감귤류 FTA 협상 제외 촉구키로 관리자 2007-01-17 3631
793 [기획] 관광·감귤 등 주력산업 경쟁력 강화 급선무 관리자 2007-01-17 2835
792 특별자치도, 1/2 간벌 추진 총력전 관리자 2007-01-17 3146
791 올 감귤분야 488억원 투자 관리자 2007-01-17 2585
790 농업분야 쟁점…감귤 ‘분수령’ 관리자 2007-01-17 2641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