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기사]뚱뚱한 사람에겐 귤보다 껍질이 '보약'!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7-01-22 11:02:23      ·조회수 : 2,775     

<b>귤은 뚱뚱한 사람에겐 '독'이 될 수 있다고? </b>

<b>스포츠서울닷컴 2007년 01월 20일 (토) 07:51:51 메디컬투데이 mdtoday.iamdoctor.com</b>


겨울에 가장 인기 있는 과일은 귤이다. 귤은 감기예방과 피로회복에 효과적이며 흔하게 구할 수 있어 서민들의 대표적인 과일이라 할 수 있다.

한방에서 보는 은 잎, 껍질, 씨를 모두 약재로 쓰고 꽃을 차의 재료로 이용할 만큼 하나도 버릴 것이 없는 과일이다.

특히 귤 껍질은 한방에서 중요한 약재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 귤껍질은 좋다는 걸 알면서도 농약오염의 불안감으로 인해 버리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잘만 관리해서 활용하면 훌륭한 보약이 된다.

◇ 뚱뚱한 이에게 귤은 ‘독’일수도

귤에는 구연산이라는 물질이 들어있어 스트레스와 피로회복에도 도움을 주며, 비타민이 풍부해서 눈에 좋으며 피부와 점막을 튼튼하게 한다.

동맥경화와 고혈압 예방에 효과가 있고, 잇몸이나 혈관을 튼튼하게 해 상처를 빨리 낫게 할 뿐 아니라 활발한 장운동도 도와 노폐물의 축적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최근에는 대장암 예방이나 유방암의 세포의 증식을 막아준다는 연구 보고도 있다.

하지만 뚱뚱한 사람에게 귤은 좋지 않을 수 있다. 대전대 대전 한방병원 소화기내과 이연월 교수는 귤은 겨울에 나는 과일로 찬 성질을 갖고 있어 소화가 잘 안되며 담을 생성할 수 있다고 충고한다.

한방에서 담이란 소화가 안될 때 생길 수 있는 노폐물을 말하며 소화기능이 약할 대 생긴다. 반면 몸이 마르고 화가 많은 사람에게 귤은 수분을 보충해 주고 갈증을 없애는데 효과적이다.

◇ 잘 익은 껍질 ‘진피’는 훌륭한 약제

귤껍질은 귤보다 더 훌륭한 약효를 갖고 있다.

동국대 일산한방병원 한방재활의학과 김호준 교수에 따르면 귤껍질은 귤과 반대로 맵고 쓴 맛에 따뜻한 성질이 있다.

귤 껍질 중 채 익지 않은 것을 청피(靑皮), 잘 익은 것을 진피(陳皮), 껍질 안쪽의 흰 부분만 제거한 나머지 부분을 귤홍(橘紅)이라 하여 각각의 부분을 다르게 활용할 정도로 쓰임새가 많다.

특히 진피는 기운을 소통시켜 주고, 몸에 쌓인 불필요한 수분을 제거하는 효능이 있다. 또 위장기능을 활발하게 해 소화를 촉진 시키고, 구역질, 구토, 딸꾹질을 막고 땀을 내 기침과 가래를 줄여 준다.

또, 물고기와 바닷게의 독을 풀고 비린내를 없애는데 효과적이며, 생선가시가 목에 걸렸을 때 씹으면 씻은 듯이 내려가게 한다.

또, 파란색으로 덜 익은 귤껍질인 청피는 기를 흩어버리는 성질이 강해 스트레스 과다로 인해 옆구리가 결리고 아픈 경우와 뱃속의 덩어리를 풀어주는데 좋다.

◇ 식초에 담갔다 맑은 물에 헹궈야 먹어야 안전

하지만 귤껍질은 그냥 먹기엔 농약재로 인해 위험하다. 한약재로 사용되는 귤껍질은 특수한 처리를 거친 것이지만 일반적인 귤은 껍질을 우려먹기엔 좋지 않다.

김호준 교수는 농약의 위험성을 줄이려면 흐르는 맑은 물에 여러 번 씻은 후 약간의 식초를 탄 물에 잠시 담가 두었다 헹궈 통풍이 잘되는 그늘에서 말려두었다가 사용할 것을 권한다.

한약재로 사용되는 귤껍질은 오래 보관한 것일수록 효과가 크다. 먹을 때는 차로 우려먹는 것이 좋다. 또, 입욕제로 활용하면 피로회복과 감기예방, 피부미용에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반면, 체내에 열을 일으키고, 땀을 내는 작용이 있으므로 허열이 많거나 기운이 약해 땀을 많이 흘리는 사람은 피하는 것이 좋다고 전한다.

또, 몸에 음기가 부족해 가래 없이 마른 기침을 자주하거나 기운이 약하고 너무 마른 사람에게는 맞지 않으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787 제주산 농산물 북한보내기 추진 관리자 2007-01-17 2252
786 5월부터 감귤원 355㏊ 폐원·간벌 관리자 2007-01-17 1939
785 한미FTA, 감귤류 향방 촉각 집중 관리자 2007-01-10 2058
784 감귤유통 대형화‘시동’ 관리자 2007-01-10 2453
783 감귤 유통 조직 보완 시급 관리자 2007-01-08 2131
782 “몸에 좋은 감귤와인 맛보세요” 관리자 2007-01-08 3179
781 감귤도 개방대상 포함되나 ‘촉각’ 관리자 2007-01-08 2834
780 "감귤을 얼렸다고?"…냉동감귤 일본 수출 관리자 2007-01-05 2909
779 구멍뚫린 제주항 검문검색 관리자 2007-01-05 3414
778 외국산 과일류 '봇물' 관리자 2007-01-05 5578
777 고한철 감귤출하연합회 사무국장 관리자 2007-01-05 3060
776 올해 간벌 목표 760㏊ 잠정 확정 관리자 2007-01-05 2703
775 청정 제주 외래병해충 유입‘비상’ 관리자 2007-01-05 2405
774 가공용 감귤, 처리 대란오나? 관리자 2007-01-04 4355
773 [사설]제주명품 ‘한라봉’ 이대론 안 된다 관리자 2007-01-04 3428
772 [희망!제주2007]감귤100년 위기를 기회로/3부:유럽 시장을 가다 관리자 2007-01-04 6449
771 [희망!제주2007]감귤100년 위기를 기회로 관리자 2007-01-04 3519
770 삼다수·감귤 물류혁신 시동 관리자 2007-01-04 2483
769 감귤가격`강보합세 전망 관리자 2007-01-04 2340
768 올 제주경제 '흐리다 서서히 갬' 관리자 2006-12-31 3039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