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중국산 감귤 제주産 위협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7-01-30 10:52:50      ·조회수 : 2,306     

<b><font size=5>

중국산 감귤 제주産 위협</font><font size=3 color=blue>

전세계 생산량의 49% 차지… 매년 증가세</font>
한라일보 : 2007. 01.30.<font size=3>

 중국의 감귤생산량이 세계 전체의 절반을 차지하는 등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어 앞으로 제주감귤산업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2005년 세계 온주감귤류(만다린·탠저린·클레멘틴 포함)의 재배면적은 1백93만㏊, 생산량은 2천3백만톤으로 계속 증가하는 추세다. 이 가운데 최대 생산국은 중국으로 세계 생산량의 49%를 차지하고 있다.

 제주감귤산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중국의 감귤 재배면적은 2005년말 현재 1백21만㏊로 2000년보다 33.7% 증가했다.

 또 감귤생산량은 1천1백39만5천톤으로 5년전 6백75만5천톤보다 68.7% 늘어났다. 이같은 생산량은 제주감귤 2005년 생산량 60만톤의 18.9배에 이른다.

 세계 온주감귤 수출량은 2000년보다 16% 증가한 2백90만톤으로 생산량의 13%를 차지, 교역물량이 많은 품목으로 부상하고 있다. 주요 수출국은 스페인, 중국, 터키, 모로코 등이며 스페인의 수출량이 세계의 49%를 점유하고 있다.

 중국의 감귤수출물량도 크게 늘어났다. 2004년 수출물량은 30만톤으로 2000년보다 57.6% 증가했다.

 지난해는 베트남에 11만톤, 말레이시아 7만톤, 필리핀과 러시아에 각각 4만톤을 수출했다.

 오렌지는 주요 생산국인 브라질과 미국이 6~9% 감소했으나 중국은 24% 증가했다. 2005년 중국의 생산량은 2000년의 두배 수준으로 늘어났다.

 세계 온주감귤류 및 오렌지의 무역규모와 비중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데다 관세율 하락과 수입량 증대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어 제주감귤산업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font>

고대용기자 dyko@hallailbo.co.kr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785 한미FTA, 감귤류 향방 촉각 집중 관리자 2007-01-10 2049
784 감귤유통 대형화‘시동’ 관리자 2007-01-10 2444
783 감귤 유통 조직 보완 시급 관리자 2007-01-08 2120
782 “몸에 좋은 감귤와인 맛보세요” 관리자 2007-01-08 3169
781 감귤도 개방대상 포함되나 ‘촉각’ 관리자 2007-01-08 2805
780 "감귤을 얼렸다고?"…냉동감귤 일본 수출 관리자 2007-01-05 2908
779 구멍뚫린 제주항 검문검색 관리자 2007-01-05 3397
778 외국산 과일류 '봇물' 관리자 2007-01-05 5562
777 고한철 감귤출하연합회 사무국장 관리자 2007-01-05 3057
776 올해 간벌 목표 760㏊ 잠정 확정 관리자 2007-01-05 2691
775 청정 제주 외래병해충 유입‘비상’ 관리자 2007-01-05 2395
774 가공용 감귤, 처리 대란오나? 관리자 2007-01-04 4354
773 [사설]제주명품 ‘한라봉’ 이대론 안 된다 관리자 2007-01-04 3413
772 [희망!제주2007]감귤100년 위기를 기회로/3부:유럽 시장을 가다 관리자 2007-01-04 6442
771 [희망!제주2007]감귤100년 위기를 기회로 관리자 2007-01-04 3506
770 삼다수·감귤 물류혁신 시동 관리자 2007-01-04 2478
769 감귤가격`강보합세 전망 관리자 2007-01-04 2336
768 올 제주경제 '흐리다 서서히 갬' 관리자 2006-12-31 3034
767 왁스코팅 금지 추진 “잘될까?” 관리자 2006-12-31 2887
766 올해산 노지감귤 출하자금 본격 유입 관리자 2006-12-31 2468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