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무더위 지속에 감귤 비상품 만드는 일소피해 발생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8-18 10:01:21      ·조회수 : 4,073     

무더위 지속에 감귤 비상품 만드는 일소피해 발생
일부 밭작물 급수 않으면 생육 지장
제민일보 8/17 김석주 기자
무더운 날씨가 이어지면서 감귤에 일소피해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또 산북 지역을 중심으로 응애가 발생하고 있어 방제가 요구되고 있다.
북부농업기술센터에 따르면 감귤은 한창 열매가 커지는 시기이면서 여름순이 한창 자라는 시기다. 10일 현재 감귤 크기는 가뭄의 영향으로 가로크기가 38.4㎜로 지난해 41.1㎜보다 2.7㎜가 작다. 세로크기도 36.5㎜로 지난해 같은기간 38.8㎜보다 2.3㎜가 적다.
반면 비가 오지 않음으로써 당도는 좋아지고 있어 올해산 감귤은 현재까지는 질이 좋은 감귤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무더위로 인해 감귤 표피가 누렇게 변하며 비상품 감귤로 만드는 일소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국지적인 소나기 외에 뚜렷하게 해갈될 정도로 비가 오지 않아 생장중인 콩과 밭벼는 수량감소가 우려되고 있다.
마늘 주산지인 서부지역은 주야를 가리지 않고 스프링클러 시설을 가동해 생육을 돕고 있다.
또 정식을 앞둔 양배추, 브로콜리 등 밭작물은 물주기를 해야 하는 등 농촌일손이 바빠지고 있다.
장마가 끝난 7월25일부터 8월14일 기간중 강우량은 69.8㎜로 예년 198.1㎜의 30%수준에 그치고 있다.
한편 지난 11일 전도에 내린 국지성 소나기(3∼42㎜)로 1차 한발은 해소돼 토양 유효수분은 대부분 지역에서 건조1단계 보다 높은 60% 이상을 보이고 있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789 2003년 이후 감귤 품질 만족도 ‘양호’ 관리자 2007-01-17 2716
788 선과장 발생 부패 감귤 매립장 반입 추진키로 관리자 2007-01-17 2609
787 제주산 농산물 북한보내기 추진 관리자 2007-01-17 2606
786 5월부터 감귤원 355㏊ 폐원·간벌 관리자 2007-01-17 2274
785 한미FTA, 감귤류 향방 촉각 집중 관리자 2007-01-10 2403
784 감귤유통 대형화‘시동’ 관리자 2007-01-10 2788
783 감귤 유통 조직 보완 시급 관리자 2007-01-08 2485
782 “몸에 좋은 감귤와인 맛보세요” 관리자 2007-01-08 3467
781 감귤도 개방대상 포함되나 ‘촉각’ 관리자 2007-01-08 3202
780 "감귤을 얼렸다고?"…냉동감귤 일본 수출 관리자 2007-01-05 3177
779 구멍뚫린 제주항 검문검색 관리자 2007-01-05 3886
778 외국산 과일류 '봇물' 관리자 2007-01-05 6117
777 고한철 감귤출하연합회 사무국장 관리자 2007-01-05 3554
776 올해 간벌 목표 760㏊ 잠정 확정 관리자 2007-01-05 3261
775 청정 제주 외래병해충 유입‘비상’ 관리자 2007-01-05 2676
774 가공용 감귤, 처리 대란오나? 관리자 2007-01-04 4881
773 [사설]제주명품 ‘한라봉’ 이대론 안 된다 관리자 2007-01-04 4084
772 [희망!제주2007]감귤100년 위기를 기회로/3부:유럽 시장을 가다 관리자 2007-01-04 6937
771 [희망!제주2007]감귤100년 위기를 기회로 관리자 2007-01-04 3897
770 삼다수·감귤 물류혁신 시동 관리자 2007-01-04 2777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