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지역통계 체계화 시급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12-05 12:04:26      ·조회수 : 2,206     

<p></p>
<b><font size="5">지역통계 체계화 시급 </b></font>

<font size="4" color="blue">감귤·관광통계 정책반영 한계…예산·인력확충 절실</font>

<font size="3">제주일보 12/5 김태형 기자

각종 정책 결정을 위한 지역 맞춤형 통계 개발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나 지자체

의 인식 부족 등으로 겉돌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있다.

특히 현재 추진되고 있는 지역통계도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면서 관련기관 협의체

구성 등을 통한 체계적인 시스템 구축이 절실해지고 있다.

4일 제주특별자치도 등에 따르면 도내에서 자체적으로 개발된 지역 통계는 관광객

과 감귤 생산예상량, 경기동행지수 등으로 파악되고 있다.

하지만 관광객 통계인 경우 입도 관광객 추이를 파악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는데다

감귤 생산예상량 통계도 오차범위를 둘러싼 시비가 반복되는 등 신뢰성에 흠집을 드

러내고 있다.

또 경기동행지수 통계는 2개월 정도 늦게 나오면서 정책 반영에 한계를 드러내는가

하면 최근 추가 개발된 선행지수도 경제 전망치의 정확도 여부에는 의문이 제기되

고 있다.

이들 통계는 점차 보완되고 있지만 관련 분야가 지역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감안할

때 전문성 확보를 통해 정확성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 도의회 등에서 잇따르고 있

다.

더욱이 지자체 통계 업무도 턱없이 부족한 인력과 예산 등으로 주민등록인구 등 단

순 통계 조사에 치우치고 있는데다 일부 경제 단체·기관의 자체 통계는 표본수 미흡

등으로 보완이 요구되는 등 통계 인프라 확충이 절실해지고 있다.

이로볼때 최근 전북을 비롯한 일부 지자체들이 통계청 등 전문기관과 업무 약정을

체결해 지역통계 개발에 나서는 점을 감안, 특별자치도에 걸맞는 관련기관간 통계협

의기구 구성을 검토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이에대해 강문종 제주통계사무소장은 “전국적으로 지역통계 개발이 활성화되는 추

세”라며 “인력·예산 확보 등 지자체 의지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font>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725 감귤 과태료 체납행위 갈수록 지능화 관리자 2006-12-11 2403
724 비상품감귤 차단 항만 ‘봉쇄’ 관리자 2006-12-10 2141
723 감귤 수출시장 다변화 ‘활발’ 관리자 2006-12-10 2629
722 감귤수확철 '쯔쯔가무시병' 요주의 관리자 2006-12-07 2651
721 도농업기술원, 부산 부녀회원 제주농촌 체험행사 마련 관리자 2006-12-07 2973
720 이달의 새농민상에 강수만·서미숙씨 부부 관리자 2006-12-07 2283
719 “감귤 협상품목 제외 요청” 관리자 2006-12-07 2894
718 감귤류 협상 향방 ‘촉각’ 관리자 2006-12-07 2596
717 이달의 작목반에 효돈농협 과원감귤작목반 관리자 2006-12-07 2742
716 좀체 근절되지 않는 비상품감귤 유통 관리자 2006-12-07 2918
715 한·미 FTA 5차협상 개시 관리자 2006-12-07 2621
714 하우스 화재 감귤 2만㎏폐기 관리자 2006-12-07 2821
713 인터넷 비상품 감귤유통 사각지대 관리자 2006-12-05 2834
712 오늘 제주감귤 운명 '승부령' 관리자 2006-12-05 3350
711 불로초 감귤 출시 관리자 2006-12-05 3112
710 감귤값 상승 비상품 감귤 유통 성행 관리자 2006-12-05 2272
지역통계 체계화 시급 관리자 2006-12-05 2206
708 제주시, 농수축산 종합정보사이트 개통 관리자 2006-12-04 2577
707 "적발되는 곳만 적발된다" 관리자 2006-12-04 2372
706 감귤 기능성물질 산업화 논란 관리자 2006-12-04 2318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