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품 감귤 얌체 유통 ‘극성’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11-25 12:11:53 ·조회수 : 2,300
<p></p>
<font size="5"><b>비상품 감귤 얌체 유통 ‘극성’ </b></font>
<font size="4" color="blue">일부 상인 상자당 1000원 웃돈 제시 농가 유혹 </font>
<font size="3">제주일보 11/25 신정익 기자
눈앞의 조그마한 이익을 챙기려다 감귤농가가 공멸할 수 있습니다. 농가들이 먼저
비상품 감귤을 유통시키지 않겠다는 확고한 의지를 세워야 합니다.”
올해산 노지감귤 가격이 상승세를 타면서 3년 연속 가격호조가 예상되는 가운데 주
산지를 중심으로 비상품 감귤 유통이 극성을 부리는 것으로 나타나 대책마련이 시급
하다.
특히 이 같은 일부 몰지각한 상인과 농가들에 의한 비상품 감귤 유통이 근절되지 않
을 경우 다른지방 유사시장 등을 중심으로 비상품 감귤의 유통이 이뤄져 전체 감귤
의 이미지를 흐릴 뿐만 아니라 가격형성에도 악재로 작용할 우려를 낳고 있다.
24일 도내 농가와 농협 등에 따르면 서귀포시 지역을 중심으로 조생감귤 수확과 출
하가 본격 이뤄지는 가운데 일부 상인들이 농가와 감귤원을 방문해 비상품 감귤을
판매할 것을 종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실제 오모씨(51·서귀포시 남원읍)는 지난 22일 오후 감귤원에서 수확한 감귤을 정리
하던 중 상인이 찾아와 20㎏ 상자당 가공용 감귤 수매가보다 1000원을 더 주겠다며
팔아 줄 것을 요청했으나 거절했다고 밝혔다.
오씨는 이 같은 상인들이 공공연하게 감귤 주산지를 중심으로 비상품 구입에 나서
고 있어 유통명령제 시행 등으로 정착되고 있는 고품질 감귤 출하 분위기에 찬물을
끼얹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김모씨(46·서귀포시 중문동)도 며칠전부터 비상품 감귤을 팔아 줄 의향이 있느냐
는 상인들의 문의와 방문이 이어지고 있다며 당국의 철저한 지도·단속과 함께 농가
의 의식전환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문제는 일부 몰지각한 일부 중간상인들의 이 같은 유혹에 일부 농가들도 동조해 비
상품 감귤을 은밀히 팔아 넘기는 경우도 많지만 단속의 손길이 미치지 못하는데 있
다. 현행 단속규정상 비상품을 유통시킬 경우에는 과태료 처분 등을 할 수 있지만 농
가와 상인간 매매행위를 현장에서 적발하기는 사실상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 때문에 일부에서는 올해 노지감귤의 경우 대과비율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서 비상품 감귤 유통 차단이 가격지지에 가장 큰 관건으로 지적하고 있다.
이에 대해 제주도 관계자는 “비상품 유통을 차단하기 위해 취약지를 중심으로 야간
잠복단속 등을 실시하고 있다”면서 “비상품을 전문으로 수집하는 일부 상인들의 거
점을 파악해 집중적으로 감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font>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