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제주 감귤,당근北으로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7-01-24 09:44:25      ·조회수 : 2,890     

<b><font size=4 color=blue>
내달 2일…핵실험 파문후 대북지원 처음</font>
2007.01.23 <한라일보>
<font size=3>
북한 핵실험 강행 이후 불투명했던 제주산 감귤·당근 보내기 운동이 다음달 2일 재개된다.

 제주도는 북한 감귤보내기 운동을 올해도 계속 하기로 통일부와 최종협의를 거쳤고 다음달 2일 선박편으로 감귤 3백톤과 당근 4천톤 등 4천3백톤을 북한에 보내기로 했다.

 도는 당초 감귤 1천톤과 당근 4 천톤 등 5천톤을 북한에 보내기로 했다. 그러나 감귤을 북한으로 보내는 시점이 늦춰지면서 지난해산 노지감귤 처리가 거의 막바지에 이르고 있는데다 가격이 오르면서 물량을 확보하기가 어려워 물량이 축소됐다.

 도는 이에 소요되는 물류비 5억원을 통일부에서 남북협력기금으로 지원 받는다.

 도와 남북협력제주도민운동본부는 1998년 1백톤의 감귤을 북한에 보낸 것을 시작으로 지난해까지 감귤 3만6천2백28톤과 당근 1만3천t 등 4만9천2백28t(시가 1백61억원 상당)을 북한에 보냈다.

 도는 그동안 계속된 제주 감귤·당근 북한보내기운동이 남북간 화해와 협력 분위기를 유지하는데 일조한 것을 비롯해 이 사업이 '제주세계 평화의 섬'이미지를 확산시키는데도 크게 기여한 것으로 자체 평가하고 있다.

 도 관계자는 "북한에 제주감귤 및 당근을 보내는 것은 지난해 북핵실험 파문이후 처음으로 재개되는 대북지원사업으로 의미가 크다"며 "이 사업은 향후 북한이라는 감귤의 미래시장을 개척하는 효과도 가져올 것"이라고 말했다.</font></b>

강시영기자 sykang@hallailbo.co.kr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707 "적발되는 곳만 적발된다" 관리자 2006-12-04 2375
706 감귤 기능성물질 산업화 논란 관리자 2006-12-04 2352
705 도내 화물연대 파업…물류 대란은 없어 관리자 2006-12-04 2263
704 감귤아가씨 진 김지혜, 선 김유진, 미 문경의 관리자 2006-12-04 4304
703 감귤 협상품목 제외 ‘고비’ 관리자 2006-12-04 2201
702 감귤협의회 4년 연속 전국 1위 관리자 2006-12-04 2490
701 감귤관측조사의 이해 관리자 2006-12-04 3213
700 “한라봉 경쟁력 있다” 관리자 2006-12-04 2169
699 황금들녘 아름다운 감귤껍질........ 관리자 2006-12-04 2429
698 10월 산업생산 전년比 7.7% 감소 관리자 2006-12-04 2093
697 [기고] 제주감귤 홍보 한마당을 보며 관리자 2006-11-29 2720
696 감귤 100년 위기를 기회로](2)생과시장 현황 관리자 2006-11-29 3835
695 전환 필요한 감귤 위주의 농업정책 관리자 2006-11-29 2359
694 [마라톤참관기]빗속에도 멈추지 않는 감귤사랑 관리자 2006-11-29 3593
693 "탱글탱글 감귤맛에 달리기 피로도 말끔" 관리자 2006-11-29 3162
692 감귤 감산·월동채소 처리 대책 미흡 관리자 2006-11-29 2104
691 한미 FTA 5차 협상 감귤 분수령 관리자 2006-11-29 4677
690 올 노지감귤 생산량 최대 58만8000t 관리자 2006-11-29 3052
689 감귤 폐원 ‘부익부 빈익빈’ 관리자 2006-11-25 3723
688 때아닌 감귤나무 그루 수 '논란' 관리자 2006-11-25 2862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