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농림부 직접보조사업 축소 재고돼야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8-31 09:56:40      ·조회수 : 3,322     

농림부 직접보조사업 축소 재고돼야
제주일보 8/31
정부의 농림사업 추진 방침이 농가에 대한 직접보조사업 즉, 무상지원사업 중심에서 융자지원으로 전환되고 있다고 한다. 직접보조사업을 대폭 축소하거나 아예 폐지하고 있다는 것으로 영농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도 바람직한 방향 설정이다.

하지만 농가들은 불만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융자받을 여건도 안 돼 영농의욕까지 생기지 않는다고 토로하고 있다니 문제다. 따라서 아무리 좋은 농림정책이라도 농가의 호응을 얻지 못한다면 실효성이 없다.

농림부의 방침이 재고돼야 하는 근본적이고도 현실적인 이유다.

보도에 따르면 농림부는 신규 농림사업계획 수립시 개별농가에 대한 직접보조사업 대신 필요한 예산은 융자형태로 지원한다는 방침아래 2007년도 농림사업 예산안을 편성해 기획예산처와 협의에 들어갔다고 한다.

농림부의 이 같은 방침은 그동안 무상지원에 따른 수혜농가들의 ‘도덕적 해이’와 ‘퍼주기식 예산지원’이라 비난을 차단하는 차원에서 2, 3년 전부터 본격화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도내 감귤·화훼 등 5000여 시설농가에 비상이 걸렸다.

신규사업은 물론 노후시설 교체시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크게 겪게 됐다. 예컨대 올해부터 시범 도입될 예정이었던 ‘시설원예 고효율 에너지절감 구축사업’은 전체 사업비 중 직접보조 비율이 50%나 된다는 이유로 자체 심사에서 빠졌다. 화훼 및 채소류 농가에 난방비 부담을 덜어줄 것으로 기대를 모았으나 무산된 것이다. 또 ‘비닐하우스 재래경감 대책사업’은 융자사업으로 전환됐다.

문제는 융자조건이 좋다 해도 담보능력이 없거나 초과한 농가는 자금 융자를 받을 수 없다는 점이다. 결국 이들에게 융자사업은 ‘그림의 떡’인 셈이다. 그렇지 않아도 농산물 개방 확대와 고유가 등으로 영농에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은행 빚의 원금과 이자를 갚기 어려운 농가들 또한 적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농림부는 이들에게 영농의욕을 고취시킬 수 있어야 한다.

융자사업이 농가에 별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다시금 직접보조사업을 검토하기 바란다.

여건이 성숙될 때까지를 전제로, 사업자를 엄정 심사하고 사후 관리를 엄격히 하면 종전에 문제가 됐던 ‘도덕적 해이’와 ‘퍼주기식 지원’이란 비난은 일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709 지역통계 체계화 시급 관리자 2006-12-05 2650
708 제주시, 농수축산 종합정보사이트 개통 관리자 2006-12-04 2860
707 "적발되는 곳만 적발된다" 관리자 2006-12-04 2707
706 감귤 기능성물질 산업화 논란 관리자 2006-12-04 2710
705 도내 화물연대 파업…물류 대란은 없어 관리자 2006-12-04 2649
704 감귤아가씨 진 김지혜, 선 김유진, 미 문경의 관리자 2006-12-04 4619
703 감귤 협상품목 제외 ‘고비’ 관리자 2006-12-04 2586
702 감귤협의회 4년 연속 전국 1위 관리자 2006-12-04 2885
701 감귤관측조사의 이해 관리자 2006-12-04 3600
700 “한라봉 경쟁력 있다” 관리자 2006-12-04 2493
699 황금들녘 아름다운 감귤껍질........ 관리자 2006-12-04 2708
698 10월 산업생산 전년比 7.7% 감소 관리자 2006-12-04 2461
697 [기고] 제주감귤 홍보 한마당을 보며 관리자 2006-11-29 3196
696 감귤 100년 위기를 기회로](2)생과시장 현황 관리자 2006-11-29 4382
695 전환 필요한 감귤 위주의 농업정책 관리자 2006-11-29 2655
694 [마라톤참관기]빗속에도 멈추지 않는 감귤사랑 관리자 2006-11-29 4546
693 "탱글탱글 감귤맛에 달리기 피로도 말끔" 관리자 2006-11-29 3763
692 감귤 감산·월동채소 처리 대책 미흡 관리자 2006-11-29 2445
691 한미 FTA 5차 협상 감귤 분수령 관리자 2006-11-29 5022
690 올 노지감귤 생산량 최대 58만8000t 관리자 2006-11-29 3730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