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왁스코팅 논란 "이제 그만"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8-09 09:54:56      ·조회수 : 2,717     

감귤왁스코팅 논란 "이제 그만"

제주타임즈 8/9 김용덕 기자
감귤왁스코팅에 대한 소모적 찬반 논란에 종지부를 찍고 고품질 감귤 생산을 위한 대책마련에 더 힘써야 한다는 지적이다.
제주감귤협의회는 최근 농협제주본부에서 열린 임시총회를 통해 ‘왁스코팅 감귤 출하금지’를 규정한 제주도감귤생산 및 유통에 관한 조례 시행을 유보하는 것에 합의, 이를 제주도와 제주도의회에 건의할 방침이다.
감귤협의회는 도 조례 제정시부터 논란이 많았고 선과기 구조문제, 시장여건상 왁스사용 전면 금지는 감귤의 상품성을 약화시키고 감귤농가의 소득과도 직결되는 사항이기 때문에 당장 시행은 어렵다는 입장을 정리, 시행 유보 및 개정방안을 건의할 계획이다.
고두배 제주자치도 친환경농축산국장은 “조례 제정 목적이 자연상태의 신선한 감귤 출하로 소비자의 신뢰를 회복하는 것에 있기 때문에 오히려 홍보를 강화, 시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선과기 구조개선 등의 문제로 지난 2004년 제정된 조례는 시행기간을 2년 유보, 2006년 7월 1일 시행토록 했으나 선과기 구조개선은 커녕 최근 이뤄지고 있는 왁스코팅 감귤 출하에 따른 어떠한 단속도 이뤄지지 않고 있다. 한마디로 직무유기다.
제주도는 특히 조례를 시행하려니 농가들의 반발이 예상되고 시행을 유보하려니 행정불신이 우려되는 등 사실상 눈치보기에 급급한 상태다.
제주자치도의회는 시행도 해보기 전에 조례를 유보하는 것은 있을 수 없다는 입장이다. 조례 제정 취지를 살려 시행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국농업경영인제주도연합회도 최근 성명을 통해 조례 시행을 강력 촉구했다.
반면 감귤협의회 강희철 위원장은 “조례 시행으로 단속에 들어가면 마찰이 불가피, 민원이 발생하고 물 세척을 하지 않은 감귤이 소비자에게 제공되면 이를 문제삼을 경우 어떻게 대처할 것이냐”면서 “시행 이전에 농가에게 피해를 줘서는 안되며 농가지도가 우선돼야 한다”고 말했다.
주변에선 이 같은 소모적 찬반논란에 종지부, 최근 한미FTA협상 대응책 마련과 고품질 감귤생산을 위한 노력에 중지를 모아야 한다는 지적이 팽배하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665 캘리포니아산 오렌지 수입 금지 관리자 2006-11-20 2705
664 서울시민들 제주감귤에 ‘흠뻑’ 관리자 2006-11-20 3043
663 노지감귤 가격 상승세 탄다 관리자 2006-11-17 2691
662 제주의 가을은 감귤의 계절 -귤따러 가볼까 관리자 2006-11-15 3233
661 감귤, 어디에 좋을까 관리자 2006-11-15 2324
660 주민자치프로그램 친환경 감귤원 무농약 농산물 인증 획득 관리자 2006-11-15 2337
659 감귤 완숙과 출하로 인한 효과는? 관리자 2006-11-15 3328
658 노지감귤 4번과 ‘로얄 사이즈’ 관리자 2006-11-15 3170
657 우정어린 감귤 일손돕기 관리자 2006-11-15 2402
656 비상품감귤 3.6t적발 관리자 2006-11-15 2813
655 감귤자조금 “무임승차”논란 관리자 2006-11-15 2384
654 <나의의견>‘소탐대실’`비상품`감귤출하 관리자 2006-11-15 2993
653 제주은행, 이번엔 관리자 2006-11-11 2772
652 감귤 대과비율 늘고 상품과 비율 감소할 듯 관리자 2006-11-11 2730
651 고품질 감귤품종 적극 보급 관리자 2006-11-11 3279
650 논란 속 가공용감귤 도외반출 허용 관리자 2006-11-11 2602
649 감귤, 팔 걱정보다 따는게 더 걱정 관리자 2006-11-09 3033
648 감귤농협 , 고품질 감귤 품종 보급에 적극 나서 관리자 2006-11-09 3242
647 이번엔 "참맛귤 닭고기·독세기" 이주혁 2006-11-09 3042
646 감귤 우박피해농가 추가 지원 관리자 2006-11-09 1929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