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산업 정책 선택·집중 필요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9-29 09:56:41      ·조회수 : 3,475     

감귤산업 정책 선택·집중 필요
김창명 난지농업연구소 과장 29일 열릴 한·중·일 국제심포지엄 앞두고 “품질향상 및 등급화·차별화 정책” 요약문 발표
제민일보 9/28 김경필 기자
한·미FTA 협상 등 시장개방에 따른 제주감귤산업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품질향상 및 등급화·차별화 정책을 선택, 집중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김창명 난지농업연구소 감귤과장은 29일 오후 1시30분부터 난지농업연구소에서 열릴 동북아 감귤산업 국제심포지엄에서 제주도가 추진하는 감귤정책의 선택과 집중 필요성을 제시할 계획이다.
김 과장은 심포지엄에 앞서 보도자료로 발표한 요약문을 통해 선택·집중이 필요한 감귤정책으로 품질향상 및 등급화·차별화를 통해 소비자의 기호와 신뢰를 회복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의견을 밝혔다.
김 과장은 이를 위해 산지거점유통센터를 통한 감귤출하물량이 도외 반출량의 50%인 20만t(계통출하량의 80%)은 돼야 한다고 말했다.
또 노지에서 생산되는 감귤중 35%는 12브릭스 이상의 고당도로 생산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 과장은 고당도 노지감귤 생산 방안으로 “무엇보다 다공질필름 멀칭재배를 5000㏊까지 확대시키는 것이 제주도의 급선무”라며 제시했다.
김 과장은 또 “고품질 품종 갱신, 방풍수 정리, 간벌 등 과원정비와 시비·토양관리 개선도 고당도 감귤생산을 위해 필요하다”고 말한후 “제주감귤산업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도민공감대 형성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심포지엄에서는 오까다 마사미찌씨와 펑수앙 중국 화중농업대학교수가 참석, 각각 일본과 중국의 감귤산업 현황과 발전방향을 발표할 계획이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665 캘리포니아산 오렌지 수입 금지 관리자 2006-11-20 2737
664 서울시민들 제주감귤에 ‘흠뻑’ 관리자 2006-11-20 3067
663 노지감귤 가격 상승세 탄다 관리자 2006-11-17 2723
662 제주의 가을은 감귤의 계절 -귤따러 가볼까 관리자 2006-11-15 3233
661 감귤, 어디에 좋을까 관리자 2006-11-15 2332
660 주민자치프로그램 친환경 감귤원 무농약 농산물 인증 획득 관리자 2006-11-15 2350
659 감귤 완숙과 출하로 인한 효과는? 관리자 2006-11-15 3361
658 노지감귤 4번과 ‘로얄 사이즈’ 관리자 2006-11-15 3183
657 우정어린 감귤 일손돕기 관리자 2006-11-15 2411
656 비상품감귤 3.6t적발 관리자 2006-11-15 2829
655 감귤자조금 “무임승차”논란 관리자 2006-11-15 2411
654 <나의의견>‘소탐대실’`비상품`감귤출하 관리자 2006-11-15 3014
653 제주은행, 이번엔 관리자 2006-11-11 2792
652 감귤 대과비율 늘고 상품과 비율 감소할 듯 관리자 2006-11-11 2739
651 고품질 감귤품종 적극 보급 관리자 2006-11-11 3296
650 논란 속 가공용감귤 도외반출 허용 관리자 2006-11-11 2610
649 감귤, 팔 걱정보다 따는게 더 걱정 관리자 2006-11-09 3052
648 감귤농협 , 고품질 감귤 품종 보급에 적극 나서 관리자 2006-11-09 3260
647 이번엔 "참맛귤 닭고기·독세기" 이주혁 2006-11-09 3059
646 감귤 우박피해농가 추가 지원 관리자 2006-11-09 1938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