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중국산 감귤 제주産 위협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7-01-30 10:52:50      ·조회수 : 2,350     

<b><font size=5>

중국산 감귤 제주産 위협</font><font size=3 color=blue>

전세계 생산량의 49% 차지… 매년 증가세</font>
한라일보 : 2007. 01.30.<font size=3>

 중국의 감귤생산량이 세계 전체의 절반을 차지하는 등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어 앞으로 제주감귤산업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2005년 세계 온주감귤류(만다린·탠저린·클레멘틴 포함)의 재배면적은 1백93만㏊, 생산량은 2천3백만톤으로 계속 증가하는 추세다. 이 가운데 최대 생산국은 중국으로 세계 생산량의 49%를 차지하고 있다.

 제주감귤산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중국의 감귤 재배면적은 2005년말 현재 1백21만㏊로 2000년보다 33.7% 증가했다.

 또 감귤생산량은 1천1백39만5천톤으로 5년전 6백75만5천톤보다 68.7% 늘어났다. 이같은 생산량은 제주감귤 2005년 생산량 60만톤의 18.9배에 이른다.

 세계 온주감귤 수출량은 2000년보다 16% 증가한 2백90만톤으로 생산량의 13%를 차지, 교역물량이 많은 품목으로 부상하고 있다. 주요 수출국은 스페인, 중국, 터키, 모로코 등이며 스페인의 수출량이 세계의 49%를 점유하고 있다.

 중국의 감귤수출물량도 크게 늘어났다. 2004년 수출물량은 30만톤으로 2000년보다 57.6% 증가했다.

 지난해는 베트남에 11만톤, 말레이시아 7만톤, 필리핀과 러시아에 각각 4만톤을 수출했다.

 오렌지는 주요 생산국인 브라질과 미국이 6~9% 감소했으나 중국은 24% 증가했다. 2005년 중국의 생산량은 2000년의 두배 수준으로 늘어났다.

 세계 온주감귤류 및 오렌지의 무역규모와 비중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데다 관세율 하락과 수입량 증대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어 제주감귤산업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font>

고대용기자 dyko@hallailbo.co.kr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667 [기고] 감귤출하량 공시를 제안한다 관리자 2006-11-20 2067
666 감귤값 회복세 파란불 관리자 2006-11-20 3394
665 캘리포니아산 오렌지 수입 금지 관리자 2006-11-20 2755
664 서울시민들 제주감귤에 ‘흠뻑’ 관리자 2006-11-20 3085
663 노지감귤 가격 상승세 탄다 관리자 2006-11-17 2739
662 제주의 가을은 감귤의 계절 -귤따러 가볼까 관리자 2006-11-15 3233
661 감귤, 어디에 좋을까 관리자 2006-11-15 2352
660 주민자치프로그램 친환경 감귤원 무농약 농산물 인증 획득 관리자 2006-11-15 2372
659 감귤 완숙과 출하로 인한 효과는? 관리자 2006-11-15 3382
658 노지감귤 4번과 ‘로얄 사이즈’ 관리자 2006-11-15 3206
657 우정어린 감귤 일손돕기 관리자 2006-11-15 2443
656 비상품감귤 3.6t적발 관리자 2006-11-15 2857
655 감귤자조금 “무임승차”논란 관리자 2006-11-15 2427
654 <나의의견>‘소탐대실’`비상품`감귤출하 관리자 2006-11-15 3033
653 제주은행, 이번엔 관리자 2006-11-11 2795
652 감귤 대과비율 늘고 상품과 비율 감소할 듯 관리자 2006-11-11 2761
651 고품질 감귤품종 적극 보급 관리자 2006-11-11 3323
650 논란 속 가공용감귤 도외반출 허용 관리자 2006-11-11 2629
649 감귤, 팔 걱정보다 따는게 더 걱정 관리자 2006-11-09 3063
648 감귤농협 , 고품질 감귤 품종 보급에 적극 나서 관리자 2006-11-09 3281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