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FTA 농산물 개방수준 촉각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6-23 09:52:54      ·조회수 : 2,597     

FTA 농산물 개방수준 촉각
내달 본협상서 감귤류 양허제외 강구해야
제주일보 6/23 김태형 기자
한·미 FTA(자유무역협정) 발효시 감귤산업은 물론 지역경제 전반에 막대한 타격이 우려되는 가운데 향후 양국간 협상에 있어 농산물 양허수준이 최대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22일 제주도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등에 따르면 다음달 예정된 한·미 FTA 2차 본협상부터 농산물에 대한 품목별 양허 협상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돼 대비책 마련에 비상이 걸렸다.

이번 농산물 협상에서는 전체 협상 대상품목 중 개방 정도 수위를 가늠할 양국간 양허 수준이 정해질지 여부에 최대 관심이 쏠리고 있다.

통상적인 FTA 협상 과정상 양국은 품목별로 양허 수준을 정하고 관세철폐 이행기간과 양허 제외 등의 양허 방식을 정하는 수순을 밟게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여기에서 양허 수준이 높으면 그만큼 관세 철폐 품목이 많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일례로 한·칠레 FTA에서 우리나라는 전체 농산물의 70%를 자유화했으며 한·싱가포르 FTA에서는 66.7%를 양허 수준으로 정한 바 있다.

이에 따라 한·칠레 FTA에서는 쌀·사과·배 등 21개 품목이 양허 대상에서 제외돼 보호받았으며 한·싱가포르 FTA에서도 쇠고기·돼지고기·닭고기 등이 양허 제외 품목으로 분류됐다.

정부는 한·미 FTA 협상에서 쌀 등 민감품목을 양허 대상에서 제외시킨다는 입장이어서 양국간 양허 수준 향방에 따라 위기에 처한 감귤 향방도 좌우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미국은 쇠고기와 함께 감귤류 등 주요 과실 품목을 양허 대상에 포함시켜 관세 인하나 철폐를 요구할 것으로 알려져 불안감도 커지고 있다.

이로볼때 한·미 FTA에 따른 감귤산업의 도미노 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최소한 민감품목과 함께 양허 제외 품목 지정을 동시에 요구하는 전략적 방안이 검토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669 농진청 ‘탑프루트 감귤’ 출하 관리자 2006-11-20 2489
668 노지감귤 가격, 품질·소비심리에 달렸다 관리자 2006-11-20 2710
667 [기고] 감귤출하량 공시를 제안한다 관리자 2006-11-20 2357
666 감귤값 회복세 파란불 관리자 2006-11-20 3688
665 캘리포니아산 오렌지 수입 금지 관리자 2006-11-20 3045
664 서울시민들 제주감귤에 ‘흠뻑’ 관리자 2006-11-20 3505
663 노지감귤 가격 상승세 탄다 관리자 2006-11-17 3032
662 제주의 가을은 감귤의 계절 -귤따러 가볼까 관리자 2006-11-15 3487
661 감귤, 어디에 좋을까 관리자 2006-11-15 2613
660 주민자치프로그램 친환경 감귤원 무농약 농산물 인증 획득 관리자 2006-11-15 2658
659 감귤 완숙과 출하로 인한 효과는? 관리자 2006-11-15 3910
658 노지감귤 4번과 ‘로얄 사이즈’ 관리자 2006-11-15 3578
657 우정어린 감귤 일손돕기 관리자 2006-11-15 2947
656 비상품감귤 3.6t적발 관리자 2006-11-15 3423
655 감귤자조금 “무임승차”논란 관리자 2006-11-15 2786
654 <나의의견>‘소탐대실’`비상품`감귤출하 관리자 2006-11-15 3550
653 제주은행, 이번엔 관리자 2006-11-11 3197
652 감귤 대과비율 늘고 상품과 비율 감소할 듯 관리자 2006-11-11 3177
651 고품질 감귤품종 적극 보급 관리자 2006-11-11 3752
650 논란 속 가공용감귤 도외반출 허용 관리자 2006-11-11 2986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