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농경연 FTA 감귤 피해분석 “과소평가” 농가 반발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8-14 15:38:29      ·조회수 : 2,977     

농경연 FTA 감귤 피해분석 “과소평가” 농가 반발
농민신문 8/14 강영식 기자
“믿기 어렵죠. 감귤 피해액은 지나치게 과소평가됐습니다.”

한·미 FTA(자유무역협정)가 체결되면 감귤 생산액은 10년간 평균 700억원이 감소할 것이란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분석 결과에 대해 제주지역 감귤농가 등이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본지 8월7일자 4면 보도).

감귤류 관세가 즉시 철폐될 경우 10년간 평균 2,156억원의 생산 감소가 있을 것이란 제주대 연구팀의 종전 연구결과와 너무 큰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감귤농가들은 국책연구기관인 농경연이 발표한 피해액이 과소평가됐다는 반응을 보이며 “사과 등 다른 과일에 비해 감귤이 홀대받는다는 느낌을 떨쳐버릴 수 없다”고 했다.

감귤농가 현승훈씨(41·서귀포시 표선면 세화1리)는 “농경연 연구는 감귤값이 바닥세를 면치 못했던 2002~2004년의 조수입을 기준으로 삼았다는데, 최근 기준인 6,000억원대를 적용하는 게 설득력이 있다”며 “감귤산업 피해액을 일부러 축소하려는 것 아니냐”며 의심의 눈초리를 보냈다. 김성균씨(41·서귀포시 남원읍 신흥리)도 “기존 연구보다 터무니없이 적은 농경연의 피해액 산출 결과를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는 감귤농가는 아무도 없다”라고 했다.

김기훈 제주감귤농협 조합장은 피해액 산정은 수십만명의 생존이 걸린 중대한 문제라고 전제한뒤 “감귤 조수입은 6,000억원을 넘는데 감귤류 관세 철폐로 인해 감소되는 생산액이 수백억원대에 불과하다면 믿을 수 있겠느냐”며 강하게 비판했다.

한편 고성보 제주대 교수는 “사과에 적용한 피해 추정 기준(교차탄성치)을 동일하게 감귤에 적용할 경우 감귤 피해액은 농경연 발표치보다 313억~422억원 증가한다”고 주장했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645 감귤류 품목별 개방여부 ‘촉각’ 관리자 2006-11-09 2001
644 감귤 크기따라 경락가 명암 관리자 2006-11-09 3264
643 서울 청계천서 감귤축제 열린다 관리자 2006-11-09 2607
642 “저급품 너무 많아 값 하락” 관리자 2006-11-09 2848
641 감귤값 하락 “다 이유 있다” 관리자 2006-11-06 2450
640 밑바닥 찍은 노지감귤, 언제 가격반등할까 관리자 2006-11-06 2197
639 불량감귤 운송회사 잇따라 경찰 조사 관리자 2006-11-06 2138
638 비상품 감귤 차단책 없나 관리자 2006-11-06 2111
637 "청정 햇감귤 맛 좋다" 관리자 2006-11-06 2104
636 불량감귤 유통 과태료체납액 징수체계‘허점’ 관리자 2006-11-04 2795
635 제주농협 ‘햇살바람’ 마케팅 시동 관리자 2006-11-04 2575
634 “신선도 뛰어나고 맛도 좋아” 햇감귤 무료시식회 성황 관리자 2006-11-04 2359
633 제주 감귤 제값받기 협력 다짐 관리자 2006-11-03 2286
632 제주 감귤나무의 눈물 관리자 2006-11-03 4352
631 감귤수확인력지원센터 운영 관리자 2006-11-03 3175
630 위기의 제주감귤 관리자 2006-11-03 2239
629 [열린마당]제주감귤 위기극복 방안은 관리자 2006-11-03 2309
628 도, 비상품감귤 단속 '눈가리고 아웅' 관리자 2006-11-03 2935
627 비상품 감귤 판친다 관리자 2006-11-03 1970
626 비상품감귤 판매 취약지역 집중 단속 관리자 2006-11-03 2131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