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부패감귤 처리대책 시급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12-27 10:07:01      ·조회수 : 3,055     

<p></p>
<b><font size="5">부패감귤 처리대책 시급 </font></b>

<font size="3">제주일보 12/22 송경훈 기자

매년 저장 감귤 출하 시기만 되면 되풀이 되는 부패 감귤 처리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는 지적이다.

선과장에서 발생하는 부패과의 경우 사업장 폐기물로 분류돼 생활쓰레기를 처리하

는 읍·면지역 매립장을 통한 대량 폐기가 사실상 불가능해 하천이나 야산 등지에 버

려지면서 침출수에 의한 지하수 등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고 있다.

그런데 제주특별자치도 출범 이후에도 부패과 폐기를 위한 매립장 사용 기준이 여전

히 이원화돼 있어 많은 양의 부패과를 처리해야 하는 농가와 사업자들의 불만이 이

어지고 있다.

서귀포환경자원관리사업소가 운영하고 있는 색달동 매립장의 경우 부패과 처리가

이뤄지고 있지만 옛 서귀포시 동지역에서 발생하는 쓰레기만 처리할 수 있도록 돼

있어 읍·면 지역에서 발생하는 부패과 반입은 원천적으로 차단되고 있다.

처리 구역 이외의 지역에서 발생하는 쓰레기 등 폐기물이 반입될 경우 매입량 증가

에 따른 사용연한 단축과 침출수 처리용량 부족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이유

때문이다.

또 읍·면 지역 매립장 역시 이 같은 이유와 사업장 폐기물이라는 이유를 들어 대량

의 부패과 반입은 차단한 채 종량제 봉투를 사용한 소량의 반입만 허용하고 있어 사

실상 읍·면지역 부패과 처리는 여러 형태로 제한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 때문 제주특별자치도가 출범한 지 6개월이 됐지만 생명산업인 감귤의 재배와 출

하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부패감귤 처리에 대한 대책 마련에 행정이 미온적

으로 대처하고 있다는 비난도 이어지고 있다.

한 시민은 “유통명령제 도입 등 가격 안정도 중요하지만 감귤로 인해 발생할 수 있

는 오염 문제를 간과해서는 안된다”는 글을 제주도 홈페이지에 올려 단편적인 제주

도의 감귤 정책을 비판했다.

한편 서귀포시 읍·면지역에는 농·감협, 상인, 영농조합 등 218개소의 감귤선과장이

운영되고 있다.

</font>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649 감귤, 팔 걱정보다 따는게 더 걱정 관리자 2006-11-09 3492
648 감귤농협 , 고품질 감귤 품종 보급에 적극 나서 관리자 2006-11-09 3683
647 이번엔 "참맛귤 닭고기·독세기" 이주혁 2006-11-09 3643
646 감귤 우박피해농가 추가 지원 관리자 2006-11-09 2341
645 감귤류 품목별 개방여부 ‘촉각’ 관리자 2006-11-09 2378
644 감귤 크기따라 경락가 명암 관리자 2006-11-09 3633
643 서울 청계천서 감귤축제 열린다 관리자 2006-11-09 2986
642 “저급품 너무 많아 값 하락” 관리자 2006-11-09 3314
641 감귤값 하락 “다 이유 있다” 관리자 2006-11-06 2822
640 밑바닥 찍은 노지감귤, 언제 가격반등할까 관리자 2006-11-06 2601
639 불량감귤 운송회사 잇따라 경찰 조사 관리자 2006-11-06 2584
638 비상품 감귤 차단책 없나 관리자 2006-11-06 2468
637 "청정 햇감귤 맛 좋다" 관리자 2006-11-06 2519
636 불량감귤 유통 과태료체납액 징수체계‘허점’ 관리자 2006-11-04 3325
635 제주농협 ‘햇살바람’ 마케팅 시동 관리자 2006-11-04 3048
634 “신선도 뛰어나고 맛도 좋아” 햇감귤 무료시식회 성황 관리자 2006-11-04 2851
633 제주 감귤 제값받기 협력 다짐 관리자 2006-11-03 2895
632 제주 감귤나무의 눈물 관리자 2006-11-03 4786
631 감귤수확인력지원센터 운영 관리자 2006-11-03 3635
630 위기의 제주감귤 관리자 2006-11-03 2663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