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소포장 출하'완전 정착'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7-01-25 09:57:38      ·조회수 : 2,492     


<b><font size=5>
소포장 출하 ‘완전 정착’ </font><font size=3 color=blue>
aT‘2006년산 노지감귤 유통실태’…<下>출하 현황은 </font>

2007년 01월 24일 (수) 신정익 기자

<font size=3>
농수산물유통공사(aT)가 지난달 조사한 ‘2006년산 노지감귤 유통실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소포장 출하가 완전 정착단계에 접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또 노지감귤의 출하처별 비율은 공영도매시장이 절반 이상을 차지한 가운데 유사도매시장과 직거래 등이 뒤를 이었다.

이번 조사에서 출하감귤의 포장단위는 10㎏가 전체의 90%를 차지, 2005년산에 이어 지속적으로 90%를 유지하면서 소비자들의 구매행태 변화에 맞춰 소포장 단위 출하가 정착되고 있음을 보여줬다.

출하단체별 출하상황을 보면 농·감협 등 생산자단체 48%, 상인단체 40%, 영농법인 12% 등으로 나타나 농.감협의 계통처리 비율이 전년 51%에서 소폭 감소한 반면 영농법인의 비중은 3%포인트 증가했다.

또 출하신고소별 물량 비중은 제주항이 36%를 차지해 가장 많았으며 서귀포항 34%, 성산항 19%, 한림항 10% 등의 순이었다. 2004년산과 2005년산은 서귀포항을 통한 출하가 가장 많았으나 2006년산의 경우 일부 운송회사 선박이 한림항에서 제주항으로 기항지를 옮긴데다 산남지역 물량을 제주시 지역 운송회사에서 맡았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이와 함께 출하처별 비율을 보면 전체 상품 출하량의 59%는 공영도매시장에서 처리되고 있으며 유사도매시장 22%, 직거래 15%, 농협공판장 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26%로 가장 많았으며 경기(17%), 부산·대구(8%), 광주(6%), 인천·대전(5%)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결과적으로 수도권의 점유비가 전체의 절반에 가까운 48%를 차지해 감귤소비의 주요 시장으로 확인됐다. </font>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607 감귤 유통명령제 관리자 2006-10-30 2306
606 감귤 협상품목 제외 거듭 당부 관리자 2006-10-30 2106
605 고품질 감귤 출하 ‘공동협력’ 나선다 관리자 2006-10-30 2672
604 감귤 ‘협상품목 제외’ 최대 기로 관리자 2006-10-30 2158
603 고품질 타이펙감귤 수도권서 큰 인기 관리자 2006-10-26 2667
602 감귤류 협상 제외 ‘불투명’ 관리자 2006-10-26 2391
601 [사설]비상품 감귤유통 보고만 있을 건가 관리자 2006-10-26 2238
600 ”제주감귤 지킨다” 농민들 차량시위 관리자 2006-10-26 1989
599 [사설] FTA 美側 대표의 “감귤 제외” 발언 관리자 2006-10-25 1952
598 제주감귤 협상 테이블에 오르나? 관리자 2006-10-25 2174
597 감귤 실상 알리는 취지 달성 관리자 2006-10-25 2221
596 특별수송대책 마련 분주 관리자 2006-10-25 2847
595 감귤값 상승 ‘발목’잡는 부패과 관리자 2006-10-25 2311
594 [특별기고] 「윈ㆍ윈」의 FTA협상 결과를 기대하며 관리자 2006-10-24 2639
593 미숙감귤 강제 착색 농가에 50만원 과태료 관리자 2006-10-24 2252
592 한미FTA 저지 시위대, 경찰 1차 저지선 뚫어 관리자 2006-10-24 2805
591 비상품감귤 불법유통 '꼼짝마' 관리자 2006-10-24 2119
590 갈옷 입고 감귤주스로 인사 관리자 2006-10-24 2434
589 감귤 ‘최악의 고비’ 넘기나 관리자 2006-10-24 2858
588 한미FTA와 감귤산업 관리자 2006-10-24 3017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