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위기의 제주감귤, 간벌도 좋지만…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7-03-12 10:23:08      ·조회수 : 2,480     


<b><font size=5>
위기의 제주감귤, 간벌도 좋지만…</font>

입력날짜 : 2007. 03.12. 한라일보
<font size=3>
 서울에서 진행중인 한·미 FTA(자유무역협정) 8차협상이 막바지로 치닫고 있다. 이에 따라 제주감귤산업의 운명 또한 초미(焦眉)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협상장의 분위기는 다소 부정적이다. 쌀과 대등한 지위 확보는 물건너 갔다는게 일반적인 평가다. 현재 '민감품목'으로 분류되고 있지만, 이것마저 미국산 쇠고기의 수입 여부에 따라 결정될 공산이 커졌다. 제주특별자치도의 갖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들려오는 것은 암담한 소식 뿐이다.

 이런 가운데 도내 감귤원 간벌을 둘러싸고도 잡음(雜音)이 새어 나오고 있다. 실적 올리기에 급급한 나머지 '무리수'를 두고 있다는 것. 제주시 한경면의 사례는 그 대표적이다.

 보도에 따르면 한경면의 경우 간벌실적이 가장 좋은 마을에 대해 면장(面長) 재량사업비로 3천만원을 지원키로 했다고 한다. 마을별책임제 등을 총동원했지만 실적이 좋지 않은데 따른 고육지책이다. 감귤 주산지(主産地)도 아닌 지역에서 거액의 포상금까지 내세워 독려하는 것은 간벌실적이 읍·면·동장의 능력을 재는 잣대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오죽하면 이런 비상수단까지 강구했겠나 하는 생각도 들지만, 이는 결코 정도(正道)가 아니다. 질 좋은 감귤 및 적정생산을 위해 간벌은 필요하다. 그러나 간벌만이 능사(能事)는 아니다. 누울 자리를 보고 다리도 뻗으라 했다. 현지 실정을 도외시한 밀어부치기식 행정은 결국 이렇다할 성과는 커녕 주민 불신만 낳을 따름이다.

 제주감귤산업의 위기는 비단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대체작목 등의 사후대책도 없이 지난 수십년간 주먹구구로 흘러온 게 감귤농정의 현주소다. 감귤산업 발전책은 보다 장기적이고 체계화 되어야 한다. 구태(舊態) 행정을 되풀이하지 않은 것이야말로 '뉴제주운동'의 첫 걸음임을 알아야 할 것이다.
</font>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607 감귤 유통명령제 관리자 2006-10-30 2316
606 감귤 협상품목 제외 거듭 당부 관리자 2006-10-30 2124
605 고품질 감귤 출하 ‘공동협력’ 나선다 관리자 2006-10-30 2690
604 감귤 ‘협상품목 제외’ 최대 기로 관리자 2006-10-30 2173
603 고품질 타이펙감귤 수도권서 큰 인기 관리자 2006-10-26 2681
602 감귤류 협상 제외 ‘불투명’ 관리자 2006-10-26 2408
601 [사설]비상품 감귤유통 보고만 있을 건가 관리자 2006-10-26 2267
600 ”제주감귤 지킨다” 농민들 차량시위 관리자 2006-10-26 2000
599 [사설] FTA 美側 대표의 “감귤 제외” 발언 관리자 2006-10-25 1975
598 제주감귤 협상 테이블에 오르나? 관리자 2006-10-25 2189
597 감귤 실상 알리는 취지 달성 관리자 2006-10-25 2241
596 특별수송대책 마련 분주 관리자 2006-10-25 2853
595 감귤값 상승 ‘발목’잡는 부패과 관리자 2006-10-25 2333
594 [특별기고] 「윈ㆍ윈」의 FTA협상 결과를 기대하며 관리자 2006-10-24 2655
593 미숙감귤 강제 착색 농가에 50만원 과태료 관리자 2006-10-24 2267
592 한미FTA 저지 시위대, 경찰 1차 저지선 뚫어 관리자 2006-10-24 2820
591 비상품감귤 불법유통 '꼼짝마' 관리자 2006-10-24 2133
590 갈옷 입고 감귤주스로 인사 관리자 2006-10-24 2449
589 감귤 ‘최악의 고비’ 넘기나 관리자 2006-10-24 2879
588 한미FTA와 감귤산업 관리자 2006-10-24 3037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