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한·미FTA 체결로 수입오렌지 관세 철폐, 감귤생산액 연 790억 감소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8-07 09:59:41      ·조회수 : 3,237     

한·미FTA 체결로 수입오렌지 관세 철폐, 감귤생산액 연 790억 감소
"지역집중도 높아 민감품목 지정 안되면 가장 큰 타격"
제민일보 8/4 이태경 기자
한·미 FTA 체결로 수입오렌지에 대한 관세가 철폐될 경우 제주감귤의 생산액이 향후 10년간 매년 평균 790억원 가량 감소할 것으로 분석됐다.
또한 제주감귤이 다른 과일이나 밭작물보다 ‘지역집중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민감품목 등으로 선정되지 않을 경우 가장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전망됐다.
4일 오후 농림부에서 열린 ‘한·미 FTA 농업계 대토론회’에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최세균 연구위원은 “수입오렌지 관세가 철폐되면 감귤은 가격이 평균 10% 하락하고 생산액은 평균 790억원 감소할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최 위원은 관세를 일시에 철폐할 경우 10년간 평균 생산액 감소는 790억원이며, 관세를 5년 또는 10년에 걸쳐 폐지할 경우 각각 연간 550억원, 370억원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또한 국내의 과일류와 일반 밭작물을 대상으로 ‘시·군별 재배면적에서 각 품목 재배면적이 차지하는 비율(지역집중도)’을 조사한 결과 제주감귤의 지역집중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 위원은 “지역집중도가 높으면 시장개방으로 그만큼 피해가 클 수 있고, 특히 전업농이 큰 타격을 받게 된다”면서 “감귤은 민감품목 선정에 있어 특별한 고려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제주 감귤특별대책위가 제주대에 의뢰해 지난 6월 공개한 용역 중간결과에 따르면 FTA 발효 10년동안 관세가 완전 철폐될 경우 감귤산업 피해액은 1조9977억원에 이를 것으로 분석된 바 있다.<서울=이태경 기자>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589 감귤 ‘최악의 고비’ 넘기나 관리자 2006-10-24 3389
588 한미FTA와 감귤산업 관리자 2006-10-24 3460
587 "감귤 등 지역특작물 붕괴 어쩌나" 관리자 2006-10-24 2633
586 美 “제주감귤 민감성 고려” 관리자 2006-10-24 2475
585 "농업·농민 죽이는 한미FTA저지, 농협 노동자가 나서야" 관리자 2006-10-23 3232
584 제주FTA,정말 감귤 막을 수 있을까? 관리자 2006-10-23 2646
583 감귤육종연구소‘시험장’수준 축소 관리자 2006-10-23 3196
582 “한·미 FTA, 건너서는 안되는 강” 관리자 2006-10-23 2968
581 감귤 ‘관세철폐 예외’ 중대고비 관리자 2006-10-23 3383
580 “감귤 협상품목 제외돼야” 관리자 2006-10-23 2662
579 중문관광단지 아수라장 관리자 2006-10-23 2521
578 하원 마을개발자문위 불량감귤 출하방지 결의대회 관리자 2006-10-21 2855
577 감귤값 불안한 출발 대책 시급 관리자 2006-10-21 3120
576 감귤 FTA기금 배정 불이익 관리자 2006-10-21 2953
575 고품질 시스템 구축 ‘절대과제’ 관리자 2006-10-21 2358
574 ‘감귤 회생 특단 대책’추궁 관리자 2006-10-21 2675
573 감귤 초기가격 기대 못미쳐 관리자 2006-10-21 2787
572 어제 유통명령 발령…단속준비는 ‘미적미적’ 관리자 2006-10-21 3497
571 제주감귤초콜릿‘자연의 맛’호평 관리자 2006-10-21 3455
570 [사설] '감귤 유통 조절명령' 발령 환영 관리자 2006-10-19 2448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