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오렌지 제주에 ‘직격탄’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10-11 10:27:38 ·조회수 : 2,947
<p></p>
<font size="5"><b>美 오렌지 제주에 ‘직격탄’</font></b>
<p></p>
<font size="4" color="857375">생산량·생산비·수출 등 압도적 격차
농가당 재배면적만도 제주의 34배나</font>
<font size="3">한라일보 10/11 강시영 기자
한미FTA 협상에서 오렌지 등 감귤류 협상은 거인 골리앗과 다윗의 싸움이 될 전망
이다.
이같은 예상은 미국산 오렌지 등 감귤류가 제주산에 비해 면적, 생산량, 농가당 재
배규모, 생산비, 유통구조, 수출 등 모든 방면에서 제주산 감귤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여서 시기의 문제일뿐 관세철폐가 기정사실화 될 경우 제주감귤은 직격탄을 맞
을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재배면적의 경우 오렌지 33만ha를 포함해 43만ha(1억2천9백만평)로 제주의 2만2
천ha에 비해 20배에 이른다.
농가당 재배면적은 24ha(7만2천평)로 제주지역 0.7ha에 비교할 때 무려 34배에
이르러 규모화면에서 상대가 되지 않는다. 반면 미국 감귤류 농가는 1만8천농가에
그쳐 제주 3만1천여 농가의 57% 수준에 불과해 도내 감귤농가들의 피해 체감도가
막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미국산 감귤류의 생산량은 오렌지 1천1백73만톤을 포함해 1천4백85만톤에 이르
러 60만톤을 밑도는 제주산에 비해 25배나 많은 것으로 밝혀졌다.
미국 감귤류의 유통구조는 대형 패킹하우스, 선키스트 판매조합 등을 통해 이미
대형·선진화돼 있다. 우리의 선과장에 비교되는 미국의 패킹하우스는 1개소당 2만
톤 처리능력을 갖추고 있어, 8백톤 처리능력에 그치는 도내 소규모 선과장과 극명하
게 대비되고 있다.
미국은 지난해 신선 오렌지 등 감귤류를 55만톤 수출했으며 이 가운데 한국시장
이 수출금액(8천3백만불)으로 전체 수출량의 23%를 차지했을 만큼 한국시장은 미국
산 오렌지의 주요 타깃이 되고 있다.
미국산 오렌지의 생산비는 제주산의 15%에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
다. 미국산 오렌지는 국내 도매시장에서 제주산 가격의 63%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
다.
제주도와 감귤대책위는 “제주감귤은 한미FTA협상 발효시 단일 품목으로는 가장
큰 피해가 예상된다”며 “감귤류는 한미FTA 협상품목에서 반드시 제외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font>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