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비상품 ‘한라봉’ 유통 단속 강화를”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5-15 10:24:36      ·조회수 : 2,832     

“비상품 ‘한라봉’ 유통 단속 강화를”
농민신문 5/15 강영식 기자
제주 관광지서 버젓이 판매… 도 홈페이지 항의글 ‘빈번’


감귤 조례에 의해 비상품 〈한라봉〉 단속이 올해 처음 실시되는 가운데 제주도 내 유명 관광지를 중심으로 비상품 〈한라봉〉이 버젓이 판매되며 여전히 유통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본격 관광철에 들어선 3일 서귀포시의 한 관광지 입구. 과일 노점상에게 다가가 〈한라봉〉 가격을 물었다. 대답은 시중가의 절반 수준인 3㎏ 한상자가 1만원. 주로 누가 사가느냐는 질문에 노점상은 “수학여행온 학생들이 선물용으로 많이 사간다”는 것. ‘맛있다’는 노점상의 말에 한 상자를 사서 먹어보니 신 맛이 강해 먹기가 힘들 정도의 비상품 〈한라봉〉이었다.

이처럼 직접 확인한 사례 외에도 농가와 산지 관계자 등에 따르면 유명 관광지 주변 노점상들이 관광객, 특히 수학여행 학생들을 대상으로 맛없는 비상품 〈한라봉〉을 선물용으로 판매해 이미지를 떨어뜨리는 것은 물론 잠재 소비자들에게 나쁜 영향을 주고 있다는 지적이다.

최근 제주도청 홈페이지 자유게시판에도 불만을 터뜨리는 학생들의 글이 여러 건 올라왔다. 한 학생은 ‘숙소 앞까지 차에 싣고 와 팔기에 〈한라봉〉을 샀는데 열어보니 상품 가치가 전혀 없었다’’며 불만을 털어놨다. 다른 학생은 ‘상자를 열어보니 감귤보다 작고 말라 비틀어진 〈한라봉〉이 들어 있어 사기당한 기분’이라고 적었다.

특히 〈한라봉〉은 생산량의 40~50%가 도 내에서 유통되는 실정이라 단속 강화가 시급한 실정이다. 그러나 올해 단속 실적은 5건이고 그나마 경고 수준에 그쳤다. 제주도청 관계자는 “도와 4개 시·군 공무원 62명이 단속 중”이라며 “홍보와 지도 방향으로 단속을 펼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한라봉〉 농가 김종우씨(48·서귀포시 효돈동)는 “비상품 〈한라봉〉 유통 단속을 강화해야 한다”며 “장기적으로 ‘〈한라봉〉은 맛있는 과일’이라는 이미지를 소비자에게 심어줘야 함께 잘 살 수 있다는 마음가짐이 아쉽다”고 강조했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529 "감귤 민감품목 지정, 최대한 지킬 것" 관리자 2006-10-11 2381
528 가공용감귤수매가 놓고 생산자-개발공사 대립 관리자 2006-10-11 2423
527 국회의원들 유통명령제 무관심 관리자 2006-10-11 2454
526 오늘 가공용 수매가 결정 관리자 2006-10-10 2708
525 감귤골판지상자 첫 연합구매 관리자 2006-10-10 3335
524 [기고]"비상품 감귤출하 '소탐대실' 우려" 관리자 2006-10-10 2565
523 감귤 지리적표시제 ’미적미적’ 관리자 2006-10-10 3121
522 올해 가공용 감귤 가격 인상되나? 관리자 2006-10-10 2495
521 덜익은 감귤 도매시장 첫 상장 관리자 2006-10-10 2888
520 감귤로 이어온 8년 교류 막히나 관리자 2006-10-10 2762
519 제주도, 불량감귤 열매솎기 전체 51% 달성 관리자 2006-10-09 2838
518 벌써 ‘양심불량 감귤’더는 공멸이다 관리자 2006-10-09 2537
517 “3∼5년 등 다년으로 바꿔야” 관리자 2006-10-09 2569
516 감귤 착색단속 행정력 낭비 관리자 2006-10-09 3197
515 감귤 강제착색 현장 적발 관리자 2006-10-09 2993
514 "FTA 제주협상에서 감귤 논의될 것" 관리자 2006-10-09 3548
513 덜익은 비상품 감귤 첫 폐기 관리자 2006-10-09 3246
512 [사설]비상품 감귤 분류기준 강화돼야 관리자 2006-10-09 3464
511 감귤 열매솎기만으론 가격 지지 효과 의문 관리자 2006-10-09 2912
510 감귤 강제착색 현장 적발 관리자 2006-10-09 3220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