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한·미,FTA 농산물 양허안 교환…감귤은?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8-16 10:18:31      ·조회수 : 3,595     

한·미,FTA 농산물 양허안 교환…감귤은?
정부 "대부분 농산물 민감품목 선정, 양허대상 제외"
한덕수 위원장 "국회 특위에 협상자료 열람하도록 하겠다"
제주의소리 8/15 이재홍 기자
다음달 6일 미국에서 열리는 한·미 FTA 제 3차 본협상을 앞두고 우리나라와 미국이 14일 농산물과 공산품·섬유분야의 관세인하 양허안을 일괄 교환했다. 이에 따라 제주의 생명산업인 감귤류가 어떤 형태로 미국측에 전달됐는지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이와 관련 한덕수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지원위원장은 "협상자료 공개수준을 높이겠다"고 말했다.
최영석 경제공사는 현지에서 가진 브리핑을 통해 "한미FTA협상에서 처음으로 양허안을 교환한 만큼 내용은 매우 보수적으로 작성됐다"고 말했다. 쌀을 비롯한 대부분의 농산물을 민감품목으로 정해 양허대상에서 제외한 것으로 전해졌다.
최 공사는 "한국과 미국이 일단은 맥시멈 레벨로 (양허안을) 제시한 후 그것을 베이스로 해서 협상이 진행되면서 양측의 오퍼를 깎게 된다"고 설명했다.
최 공사는 "한·미 양국이 3개월만에 양허안과 유보안을 교환할 정도로 한·미FTA협상은 속도를 내고 있는 만큼 올해안에 협상을 마무리 짓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3차 협상은 다음달 6일부터 9일까지 미국 시애틀에서 열린다.
최 공사의 발언으로 볼 때 이날 교환된 정부의 양허안에는 일단 감귤류는 민감품목으로 지정돼 양허대상에서 제외된 것으로 관측된다.

감귤이 우리나라 농산물분야 10대 민감품목에 포함돼 있다는 사실은 지난 4일 농림부 주최로 열린 `한미FTA 농업계 대토론회'에서 최세균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박사에 의해 이미 확인된 내용이다.
최 박사가 분석한 '피해분석' 민감도에 따르면 감귤은 부가가치 비중에서 33개 품목 중 29위로 낮지만 관세철폐에 따른 농업소득 감소로 이어지는 피해액 순위는 8위, 지역집중도는 1위, 호당 재배면적은 4위, 국내자급률은 1위를 차지, 민감도가 매우 높은 품목으로 분석되고 있다.
다만 피해액 산정 틀이 제주산 감귤이 폭락을 거듭하던 2002~2004년 소득을 기준으로 한데다 교차탄성치와 가격하락률을 사과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해 시장개방에 따른 피해액 산출이 축소됐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한편 한덕수 한·미FTA 체결지원위원회 위원장은 14일 KBS 라디오에 출연 "국회의 한·미FTA 특위가 협정문 초안이나 상품 양허안 등 거의 모든 자료를 정부 수준으로 열람할 수 있게 하는 등 협상관련 공개 수준을 이전보다 훨씬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한 위원장은 "지금까지는 협상이 끝날 때까지 국회에 정보공개를 하지 않고 (협상이) 타결된 후 동의를 요구했는데 앞으로는 (국회) 특위 의원들이 자료를 분석할 수 있도록 비밀취급인가 등을 받은 보좌관을 대동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529 "감귤 민감품목 지정, 최대한 지킬 것" 관리자 2006-10-11 2429
528 가공용감귤수매가 놓고 생산자-개발공사 대립 관리자 2006-10-11 2458
527 국회의원들 유통명령제 무관심 관리자 2006-10-11 2484
526 오늘 가공용 수매가 결정 관리자 2006-10-10 2739
525 감귤골판지상자 첫 연합구매 관리자 2006-10-10 3375
524 [기고]"비상품 감귤출하 '소탐대실' 우려" 관리자 2006-10-10 2597
523 감귤 지리적표시제 ’미적미적’ 관리자 2006-10-10 3168
522 올해 가공용 감귤 가격 인상되나? 관리자 2006-10-10 2519
521 덜익은 감귤 도매시장 첫 상장 관리자 2006-10-10 2934
520 감귤로 이어온 8년 교류 막히나 관리자 2006-10-10 2806
519 제주도, 불량감귤 열매솎기 전체 51% 달성 관리자 2006-10-09 2883
518 벌써 ‘양심불량 감귤’더는 공멸이다 관리자 2006-10-09 2579
517 “3∼5년 등 다년으로 바꿔야” 관리자 2006-10-09 2611
516 감귤 착색단속 행정력 낭비 관리자 2006-10-09 3234
515 감귤 강제착색 현장 적발 관리자 2006-10-09 3033
514 "FTA 제주협상에서 감귤 논의될 것" 관리자 2006-10-09 3585
513 덜익은 비상품 감귤 첫 폐기 관리자 2006-10-09 3287
512 [사설]비상품 감귤 분류기준 강화돼야 관리자 2006-10-09 3504
511 감귤 열매솎기만으론 가격 지지 효과 의문 관리자 2006-10-09 2948
510 감귤 강제착색 현장 적발 관리자 2006-10-09 3259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