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업무 담당조직 불합리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10-12 09:48:11      ·조회수 : 2,793     

<p></p>
<b><font size="5">감귤업무 담당조직 불합리</font></b>
<p></p>
<font size="4" font color="857375">대부분 산남서 생산 불구 제주시-서귀포시 행정배치 동일</font>
<font size="3">한라일보 10/12 위영석 기자

 산남지역 감귤생산량이 전체의 68% 정도로 많은데도 감귤업무 담당조직의 보강

은 이루어지지 않아 불합리하다는 지적이다.

 11일 제주특별자치도에 따르면 2005년 말 기준으로 감귤주산지인 서귀포시의 감

귤재배면적은 1만4천1백30ha로 도내 전체면적 2만1천4백30ha의 66%정도를 차지하

고 있다. 생산량도 45만3천5톤으로 전체 생산량 66만1천9백92톤의 68%를 차지해 서

귀포시는 명실상부한 감귤주산지로서 역할을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지난 7월 제주특별자치도 출범과정에서 만들어진 행정시의 감귤업무 담당

조직은 이같은 현실을 반영하지 않아 불합리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실제 제주시와 서귀포시 모두에 똑같이 친환경감귤농정과와 1개 감귤담당이 똑같

이 설치됐고 인력도 5명이 배치되는 등 감귤주산지인 서귀포시의 특성이 전혀 반영

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서귀포시는 감귤 열매솎기 등 여러가지 감귤정책을 추진하는데 현장 인

력의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 서귀포시 관계자는 “특별자치도인 제주마저 인구 등의 형평성의 논리

에 따라 조직을 구성하면 안된다”면서 “추후 조직 재정비때 지역 특성을 반영한 행

정조직을 갖출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font>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529 "감귤 민감품목 지정, 최대한 지킬 것" 관리자 2006-10-11 2352
528 가공용감귤수매가 놓고 생산자-개발공사 대립 관리자 2006-10-11 2387
527 국회의원들 유통명령제 무관심 관리자 2006-10-11 2424
526 오늘 가공용 수매가 결정 관리자 2006-10-10 2674
525 감귤골판지상자 첫 연합구매 관리자 2006-10-10 3306
524 [기고]"비상품 감귤출하 '소탐대실' 우려" 관리자 2006-10-10 2530
523 감귤 지리적표시제 ’미적미적’ 관리자 2006-10-10 3092
522 올해 가공용 감귤 가격 인상되나? 관리자 2006-10-10 2464
521 덜익은 감귤 도매시장 첫 상장 관리자 2006-10-10 2861
520 감귤로 이어온 8년 교류 막히나 관리자 2006-10-10 2731
519 제주도, 불량감귤 열매솎기 전체 51% 달성 관리자 2006-10-09 2807
518 벌써 ‘양심불량 감귤’더는 공멸이다 관리자 2006-10-09 2507
517 “3∼5년 등 다년으로 바꿔야” 관리자 2006-10-09 2539
516 감귤 착색단속 행정력 낭비 관리자 2006-10-09 3159
515 감귤 강제착색 현장 적발 관리자 2006-10-09 2961
514 "FTA 제주협상에서 감귤 논의될 것" 관리자 2006-10-09 3514
513 덜익은 비상품 감귤 첫 폐기 관리자 2006-10-09 3216
512 [사설]비상품 감귤 분류기준 강화돼야 관리자 2006-10-09 3429
511 감귤 열매솎기만으론 가격 지지 효과 의문 관리자 2006-10-09 2881
510 감귤 강제착색 현장 적발 관리자 2006-10-09 3190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