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선과장 40% "고품질 출하 부적합"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7-03-14 10:28:57      ·조회수 : 3,231     


<b><font size=5>
선과장 40% "고품질 출하 부적합" </font><font size=3 dolor=blue>

면적 좁아 송.온풍방식 건조 곤란 품질 떨어져...</font><font size=3 color=red>

도, 680곳 운영실태 조사 </font><font size=3>

2007년 03월 13일 (화) 제민일보


도내 감귤선과장 40%가 고품질 감귤 생산을 위한 선과 기능 수행에 부적합한 곳으로 나타났다.

선과장 면적이 협소하다보니 선과기 규모도 축소되면서 충분한 선과과정을 거치는데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때문에 부패과 발생빈도가 높아지는 등 감귤품질 저하 문제 발생이 우려되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는 제주특별자치도가 지난 2월21일부터 3월6일까지 도내 감귤선과장 680곳을 대상으로 운영실태를 조사한 결과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도내 감귤선과장 가운데 40%에 이르는 270곳이 면적 264㎡ 이하로 선과 기능 수행에 부적합한 곳으로 조사됐다.

면적이 협소한 선과장엔 품질을 유지시키며 감귤을 건조시키는 송·온풍방식의 건조시설을 설치할 수 없기 때문이다.

결국 규모가 작고 짧은 시간에 감귤을 건조시키는 화염열풍기 도입이 불가피, 과피 손상 등에 따른 감귤 품질 저하 문제가 발생하는 것으로 지적됐다.

이에 따라 소규모 감귤선과장을 통·폐합하고 권역별로 확대 설치되고 있는 거점산지유통센터를 최대한 활용해야 할 것으로 제시됐다.

도 관계자는 “이번 선과장 운영실태조사를 현대화된 감귤 선과장 조성사업 기초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도내 감귤선과장은 2000년 916곳, 2002년 826곳, 2004년 734곳, 2006년 680곳으로 매년 줄어드는 것으로 조사됐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529 "감귤 민감품목 지정, 최대한 지킬 것" 관리자 2006-10-11 2455
528 가공용감귤수매가 놓고 생산자-개발공사 대립 관리자 2006-10-11 2477
527 국회의원들 유통명령제 무관심 관리자 2006-10-11 2503
526 오늘 가공용 수매가 결정 관리자 2006-10-10 2775
525 감귤골판지상자 첫 연합구매 관리자 2006-10-10 3402
524 [기고]"비상품 감귤출하 '소탐대실' 우려" 관리자 2006-10-10 2618
523 감귤 지리적표시제 ’미적미적’ 관리자 2006-10-10 3200
522 올해 가공용 감귤 가격 인상되나? 관리자 2006-10-10 2543
521 덜익은 감귤 도매시장 첫 상장 관리자 2006-10-10 2970
520 감귤로 이어온 8년 교류 막히나 관리자 2006-10-10 2828
519 제주도, 불량감귤 열매솎기 전체 51% 달성 관리자 2006-10-09 2913
518 벌써 ‘양심불량 감귤’더는 공멸이다 관리자 2006-10-09 2603
517 “3∼5년 등 다년으로 바꿔야” 관리자 2006-10-09 2632
516 감귤 착색단속 행정력 낭비 관리자 2006-10-09 3268
515 감귤 강제착색 현장 적발 관리자 2006-10-09 3067
514 "FTA 제주협상에서 감귤 논의될 것" 관리자 2006-10-09 3619
513 덜익은 비상품 감귤 첫 폐기 관리자 2006-10-09 3317
512 [사설]비상품 감귤 분류기준 강화돼야 관리자 2006-10-09 3524
511 감귤 열매솎기만으론 가격 지지 효과 의문 관리자 2006-10-09 2982
510 감귤 강제착색 현장 적발 관리자 2006-10-09 3286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