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 우량품종 갱신사업 참여 저조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6-16 10:47:58      ·조회수 : 3,097     

감귤 우량품종 갱신사업 참여 저조
농가 “재식거리 너무 넓고 경영 부담” 기피
농민신문 6/16 강영식 기자


제주도가 FTA 기금 지방자율사업으로 추진 중인 감귤 우량품종 갱신사업에 농가들의 참여가 저조해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지난해부터 시행하는 감귤 우량품종 갱신사업은 노쇠한 감귤나무를 우량 품종으로 갱신함으로써 FTA(자유무역협정)에 대비한 고품질 감귤 생산기반 구축을 목적으로 품종 갱신 농가의 부담을 덜기 위해 묘목 대금과 재식비 등 1㏊당 사업비의 50%를 보조하는 사업이다.

그러나 도의 지난해 사업량은 45.63㏊로 목표인 198㏊의 25%에도 미치지 못했다. 그나마 올해는 지난해보다 사업 계획량이 더 줄어 35.13㏊에 불과한 실정. 이는 선정 기준이 되는 묘목 재식거리가 4m×1.5m로, 묘목 간격이 너무 넓어 농가들이 참여를 꺼리기 때문이다.

특히 수확을 포기하면서까지 기존 성목을 뽑아내고 10년 이상 키워야 할 묘목을 심는 데 대한 농가들의 부담이 만만치 않다는 것이다. 과수원 면적을 나눠 품종 갱신을 할 수 있는 대농에 비해 소농들은 사업 참여에 엄두도 못 내는 형편이다. 사업 신청을 했다가 포기한 농가들 사이에서는 “품종 갱신을 한다하더라도 수확할 때까지 손가락만 빨고 있어야 하느냐”는 불만이 터져 나오고 있다.

감귤 농가 오광식씨(39·남제주군 남원읍 한남리)는 “재식거리가 3m×50㎝ 정도가 충분한데도 도의 기준은 융통성이 아예 없다”며 “농가의 경제적 측면도 배려해 참여를 활성화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한 도는 과거 ‘밀식 재배 등으로 인한 공급 과잉’ 전철을 다시 밟지 않겠다는 강경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도의 관계자는 “올해 사업량이 줄어든 이유는 1년생에서 2년생 묘목으로 단가를 맞췄기 때문”이라며 “과수원 면적을 나눠서 묘목을 심는 등 농가들이 운영의 묘를 살리면 충분히 참여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465 감귤 열매솎기 부진 관리자 2006-09-26 2913
464 이슈&현장]감귤랜드 조성사업의 현주소 관리자 2006-09-26 3498
463 유통명령제 '현저한 수급불안' 입증 여부 관건 관리자 2006-09-26 2467
462 칠레산 오렌지 품질 “글쎄요(?)” 관리자 2006-09-26 2731
461 9월부터 시행해도 늦지 않다더니... 관리자 2006-09-26 2344
460 FTA 반대집회 불허통보 “집회 자유 보장하라” 관리자 2006-09-26 2586
459 제주도 경찰투입 감귤 미숙과 강제착색 집중 단속 관리자 2006-09-26 2908
458 제주감귤 ‘국민과일’ 위협 관리자 2006-09-22 2412
457 제주감귤농협 창립 46주년 기념식 관리자 2006-09-22 2590
456 추석 감귤 강제착색 출하 우려 관리자 2006-09-22 3276
455 제주감귤 새로운 성장 동력…완숙감귤 수확하기 관리자 2006-09-22 3045
454 노지감귤 왁스코팅 금지 시행 또다시 유보 관리자 2006-09-22 2452
453 "한미FTA 협상 제주개최, 이해해달라" 관리자 2006-09-22 3115
452 제주 '귤 먹인 한우' 상표등록 관리자 2006-09-22 3219
451 비상품 막아야 '제 값' 받아 관리자 2006-09-21 2723
450 일부 선과장‘배짱’ 관리자 2006-09-21 2983
449 [백록담]감귤 왁스코팅의 명분과 실리 관리자 2006-09-21 3006
448 감귤품질검사원 교육 받지 않으면 ‘큰 코’ 관리자 2006-09-21 2909
447 도, 감귤 '왁스코팅' 단속 방침 '철회' 관리자 2006-09-21 2570
446 감귤상인 40년만의 첫 약속 "속이지 않겠다!" 관리자 2006-09-21 2827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