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고품질 감귤 생산 '불량감귤 퇴출시켜야'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9-01 14:10:32      ·조회수 : 3,214     

고품질 감귤 생산 '불량감귤 퇴출시켜야'
적정량 웃도는 4만t 대상...1일부터 도민운동으로 승화
이슈제주 8/31 고창일 기자
“불량감귤을 솎아 냅시다.”

고품질 감귤 생산을 위한 마무리 작업인 불량감귤 열매솎기 운동이 본격화된다.

최근 농업기술원이 올 노지감귤 생산 예상량을 55~59만t으로 예상한 가운데 제주특별자치도는 적정 수급량 55만t을 웃돈다는 점을 감안, 불량 감귤을 올 상품용에서 퇴출시키기로 했다.

대상은 극대과를 비롯해 극소과, 상처과, 병해충과, 일소과 등.

추진목표는 최대 예상생산량 59t에서 적정 재배량을 뺀 4만t으로 7% 수준이다.

제주시에서 1만4000t, 서귀포시에서 2만6000t을 솎아내야 하는 도는 9월1일부터 이 운동에 불을 붙이기로 했다.

고두배 친환경농축산 국장은 이와 관련 “수입개방 등을 이겨내기 위해서는 고품질 농산물 생산만이 유일한 해결방법”이라며 “불량감귤을 솎아 낼수록 제주감귤의 브랜드 가치가 올라간다”고 도민들의 협조를 당부했다.

한편 도는 올 생산량 목표 55만t을 달성할 경우 도외상품 40만t 73%, 가공 12만5000t 23%, 도내소비 2만t 3%, 수출 5000% 1% 등으로 하는 노지감귤 수급계획을 세웠다.

열매솎기 100% 목표달성, 참여분위기를 고조시켜야

도는 홍보용현수막 설치를 비롯해 붐 조성을 위한 지역별 발대식 개최, 불량감귤 열매솎기 마을별 시범농장 선정 운영, 참여 독려 마을 앰프방송 실시 등으로 가닥을 잡았다.

9월 5일까지 시. 읍면동 청사, 자연부락 마을별, 농. 감협 본소 및 지소 사무실에 현수막을 내걸기로 했다.

또한 행정시와 농. 감협 주관으로 10일 이전에 지역별 발대식을 갖기로 했다.

범 도민 운동으로 승화시켜야

열매솎기 요령 교육 및 품질향상 지도강화, 농장 출근 실천운동 전개, 농업인 단체 솔선 참여 및 일손돕기 운동 전개, 감귤 작목반 솔선 참여 및 수눌음 운동 전개 등을 고려하고 있다.

여기에 일손돕기 지원 창구를 설치 운영키로 했다.

농업기술원 및 농. 감협에 농가에서 인력 도움을 요청할 경우 해당시 또는 읍면동으로 즉각 알려 유관기관 및 단체의 발길을 이끌기로 했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405 노지감귤 생산예상량 '혼선' 관리자 2006-09-13 2842
404 농가들 "감귤왁스코팅 규제 시기상조" 관리자 2006-09-13 3373
403 과일 중 하우스감귤 품질 꼴찌 관리자 2006-09-13 3291
402 노지감귤 왁스코팅 금지조례 시행 차질 우려 관리자 2006-09-13 2707
401 한·미 FTA 3차본협상 결산 관리자 2006-09-13 2484
400 농업분야를 희생양으로? 관리자 2006-09-13 2533
399 “감귤사랑 품에 안고 뛰어요” 관리자 2006-09-13 3174
398 美일부지역산 오렌지 긴급수입제한 관리자 2006-09-12 2620
397 멀고도 먼 감귤 당도 향상 관리자 2006-09-12 3348
396 캘리포니아산 과실류 긴급 수입금지 관리자 2006-09-12 2676
395 오렌지 수입 증가 예상, 감귤값 악영향 우려 관리자 2006-09-12 2896
394 한미FTA 협상 제주개최설...경찰 '어쩌나' 관리자 2006-09-12 2837
393 감귤 왁스코팅 '오락가락' 관리자 2006-09-12 2885
392 감귤유통 조례-규칙 ‘엇박자’ 관리자 2006-09-11 2524
391 ‘감귤은 국민과일’ 관리자 2006-09-11 2639
390 FTA 감귤사수 ‘예측불허’ 관리자 2006-09-11 2770
389 제주 감귤시험장 `부활' 관리자 2006-09-11 2988
388 한미FTA 4차 협상 제주 유력 후보지 관리자 2006-09-11 2691
387 감귤관세철폐 대상 제외 촉구 관리자 2006-09-11 2474
386 감귤탁주 ‘귤로만’ 대한민국우수특산품대상 선정 관리자 2006-09-11 2619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