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 우량품종 갱신사업 참여 저조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6-16 10:47:58      ·조회수 : 3,556     

감귤 우량품종 갱신사업 참여 저조
농가 “재식거리 너무 넓고 경영 부담” 기피
농민신문 6/16 강영식 기자


제주도가 FTA 기금 지방자율사업으로 추진 중인 감귤 우량품종 갱신사업에 농가들의 참여가 저조해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지난해부터 시행하는 감귤 우량품종 갱신사업은 노쇠한 감귤나무를 우량 품종으로 갱신함으로써 FTA(자유무역협정)에 대비한 고품질 감귤 생산기반 구축을 목적으로 품종 갱신 농가의 부담을 덜기 위해 묘목 대금과 재식비 등 1㏊당 사업비의 50%를 보조하는 사업이다.

그러나 도의 지난해 사업량은 45.63㏊로 목표인 198㏊의 25%에도 미치지 못했다. 그나마 올해는 지난해보다 사업 계획량이 더 줄어 35.13㏊에 불과한 실정. 이는 선정 기준이 되는 묘목 재식거리가 4m×1.5m로, 묘목 간격이 너무 넓어 농가들이 참여를 꺼리기 때문이다.

특히 수확을 포기하면서까지 기존 성목을 뽑아내고 10년 이상 키워야 할 묘목을 심는 데 대한 농가들의 부담이 만만치 않다는 것이다. 과수원 면적을 나눠 품종 갱신을 할 수 있는 대농에 비해 소농들은 사업 참여에 엄두도 못 내는 형편이다. 사업 신청을 했다가 포기한 농가들 사이에서는 “품종 갱신을 한다하더라도 수확할 때까지 손가락만 빨고 있어야 하느냐”는 불만이 터져 나오고 있다.

감귤 농가 오광식씨(39·남제주군 남원읍 한남리)는 “재식거리가 3m×50㎝ 정도가 충분한데도 도의 기준은 융통성이 아예 없다”며 “농가의 경제적 측면도 배려해 참여를 활성화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한 도는 과거 ‘밀식 재배 등으로 인한 공급 과잉’ 전철을 다시 밟지 않겠다는 강경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도의 관계자는 “올해 사업량이 줄어든 이유는 1년생에서 2년생 묘목으로 단가를 맞췄기 때문”이라며 “과수원 면적을 나눠서 묘목을 심는 등 농가들이 운영의 묘를 살리면 충분히 참여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409 "한미FTA 제주유치하면 '투쟁의 섬' 보게 될 것" 관리자 2006-09-14 3186
408 "감귤 반드시 협상제외품목에 포함돼야" 관리자 2006-09-14 2557
407 [감귤정책과] 오렌지 등 감귤류 한.미 FTA 협상품목 제외 건의문 제출 관리자 2006-09-13 2903
406 10월 과채·과일 출하량, 오이·호박 늘고 배·감귤 줄고 관리자 2006-09-13 3711
405 노지감귤 생산예상량 '혼선' 관리자 2006-09-13 3174
404 농가들 "감귤왁스코팅 규제 시기상조" 관리자 2006-09-13 3646
403 과일 중 하우스감귤 품질 꼴찌 관리자 2006-09-13 3789
402 노지감귤 왁스코팅 금지조례 시행 차질 우려 관리자 2006-09-13 2995
401 한·미 FTA 3차본협상 결산 관리자 2006-09-13 2845
400 농업분야를 희생양으로? 관리자 2006-09-13 2813
399 “감귤사랑 품에 안고 뛰어요” 관리자 2006-09-13 3478
398 美일부지역산 오렌지 긴급수입제한 관리자 2006-09-12 2987
397 멀고도 먼 감귤 당도 향상 관리자 2006-09-12 3699
396 캘리포니아산 과실류 긴급 수입금지 관리자 2006-09-12 3128
395 오렌지 수입 증가 예상, 감귤값 악영향 우려 관리자 2006-09-12 3277
394 한미FTA 협상 제주개최설...경찰 '어쩌나' 관리자 2006-09-12 3141
393 감귤 왁스코팅 '오락가락' 관리자 2006-09-12 3316
392 감귤유통 조례-규칙 ‘엇박자’ 관리자 2006-09-11 2888
391 ‘감귤은 국민과일’ 관리자 2006-09-11 3070
390 FTA 감귤사수 ‘예측불허’ 관리자 2006-09-11 3135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