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기고>추락하는 것은 날개가…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7-20 10:12:31      ·조회수 : 2,778     

<기고>추락하는 것은 날개가…
7월 20일 제주일보
조정의 수필가

달포나 되었을까. 갑자기 서울에 가야 할 일이 생겨 한라봉 두 상자를 들고 비행기를 탔다. 내 딴에는 빈 손으로 가는 것 보다야 백 번 잘하는 일이라는 생각에서였다.

한 상자는 친구에게, 또 한 상자는 누이에게 줬다.

친구는 뭐 이런 비싼 걸 들고 왔느냐고 저녁을 거하게 샀다. 일을 마치고 한라봉 두 상자의 위력을 만끽하며 제주에 내려왔는데 누이로부터 질책성 전화가 걸려왔다.

“오빠 선물을 할 양이면 최고는 못되어도 성의는 있어야 되는 게 아니에요.” 목소리가 앙칼졌다. 어처구니가 없었다. 꼭 물리적으로 한 방 얻어맞은 기분이었다. 얼른 대꾸할 말이 떠오르지 않아 한참을 머뭇거려야 했다. 막내 누이라 조금은 응석이 섞인 그런 정도로 알았는 데 그게 아니었다.

문제는 서울의 동네 슈퍼마켓에서도 이 보다 질이 좋은 한라 봉을 쉽게 구할 수 있다는 것이다. 내가 준 한라봉의 질이 형편없더라고….

내가 상자 속에 든 한라봉의 질을 어떻게 알 것인가. 누이였으니 망정이지 남에게 선물한 것이었다면 내 체면은 어떻게 되었을까. 누이의 목소리가 앙칼진 연유를 알만했다.

부르는 대로 값을 주고 최고의 상품이라는 말을 믿고 서울까지 양손에 가볍지 않게 들고 가서 선물한 죄 밖에 없는데, 그 한라 봉으로 해서 내가 곤욕을 치르고 있는 것이다. 서울을 다녀온 며칠 후 신문에 ‘한라봉 만족도 갈수록 추락’이라는 기사가 난 걸 보았다.

큼지막하게 표제를 단 신문 기사가 나를 슬프게 했다. 신문을 보며 누이의 볼멘소리가 거저 나온 게 아니었구나 하는 생각에 고개가 끄떡여졌다. 꼭 풋감 씹은 기분이었다. 처음 누이로부터 한라봉 어쩌고 하는 말을 들을 때만 해도 설마 한 두 개 잘못 된 게 섞였겠지 하고 대수롭잖게 생각하고 있었다.

그런데 신문에 한라봉을 질타하는 글이 실릴 정도니, 누이의 당찬 목소리가 설마가 아님을 실감케 했다. 누이에게 변명의 여지가 없게 된 것이다. 누구를 탓해야 되는 것일까. 한라봉은 제주과일의 상징인 양 한껏 부풀어 있었는데, 이제 서서히 추락하고 있는 것이다.

정부에서는 한미 FTA를 서두르고 있다. 밀감이나 한라봉이 FTA의 파고를 견딜만한 재주가 있기나 한가. 설령 재주가 있다고 한들 지역 특산물이라고 해서 법의 보호를 받던 시대는 갔다. 눈앞에 닥친 거센 물결을 몸으로 부닥쳐야 하는 현실이 하루하루 다가오고 있는 것이다.

밀감도 한라봉도 적당히 미적거리는 사고로는 먹혀들지 않는다. 신문에 나 있는 ‘한라봉 만족도 갈수록 추락’이라는 기사가 강 건너 불이 아니다. 소설가 이문열은 추락하는 것은 날개가 있다고 했다. 한라봉에 애시 당초 날개가 있기나 했을까.

한라봉이 추락하는 모양새를 볼 양이면 아예 날개다운 날개도 없이 붕떴다가 추락하는 양상이다. 일부에서는 처음부터 한라봉은 거품으로 부풀어 있었다는 말도 서슴없이 한다. 아무튼 추락하는 것은 날개가 있다고 했다.

이제라도 더 추락하기 전에 한라봉에 날개를 달자. 한라봉에 날개를 다는 일은 생산자의 몫이다. 유통과정에서도 한 몫을 거들어야 한다. 그것만이 사는 길이다. 묘수는 없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385 FTA협상 대응 감귤특별대책위원회 5차회의 개최 관리자 2006-09-11 3558
384 유통명령제·열매솎기 감귤 제값받기 ‘총력’ 관리자 2006-09-11 2461
383 FTA 겨냥 우리농업 띄우기? 관리자 2006-09-08 3282
382 올 감귤 당도 높고 빛깔도 좋아 관리자 2006-09-08 2545
381 열매솎기 자율참여 확산 주력 관리자 2006-09-08 2403
380 FTA 3차협상 파행 위기 관리자 2006-09-08 3321
379 감귤 시스템 전면 개편 관리자 2006-09-08 2305
378 서귀포시, 불량감귤 열매솎기 발대식 성황리 개최 관리자 2006-09-08 2974
377 민주당 "감귤·쌀 농산물 개방 안된다" 관리자 2006-09-07 2887
376 "이런 감귤은 따야 합니다" 관리자 2006-09-07 3466
375 감귤에 투자해 최고급 감귤 값싸게 드세요~ 관리자 2006-09-07 3452
374 한·미 FTA 이후 벼랑에 선 제주감귤의 미래? 관리자 2006-09-07 3767
373 [사설] 왁스코팅, 道-議會 누구의 고집인가 관리자 2006-09-06 3760
372 감귤, 민감품목이 아닌 초민감품목만이 살길! 관리자 2006-09-06 2794
371 2006년산 감귤운송계약 일제히 경쟁입찰 공고 관리자 2006-09-06 2705
370 “한·미FTA는 죽음의 거래일 뿐” 관리자 2006-09-06 2744
369 "한미 FTA 협상 중단, 국민투표 실시를" 관리자 2006-09-06 2202
368 유통명령제 요청서 검토의견 농림부 제출 관리자 2006-09-06 3067
367 도, 도의회 '감귤현안' 모르쇠? 관리자 2006-09-05 2963
366 이달부터 2개월동안 감귤 1만 4000톤 솎기 관리자 2006-09-05 2400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