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농업정책 ‘땜질식 처방’ 질타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12-16 09:58:48      ·조회수 : 2,392     

<p></p>
<b><font size="5">농업정책 ‘땜질식 처방’ 질타 </font></b>

<font size="4" color="blue">도정질문, 밭작물 처리난 등 지적 </font>

<font size="3">제주일보 12/16 김태형 기자

매년 악순환되는 밭작물 처리난과 겉도는 비상품감귤 단속, 취약한 친환경 농산물

판로망 등 미흡한 농정정책이 도의회 도정질문에서 도마 위에 올랐다.

15일 열린 제234회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제2차 정례회 3차 본회의 도정질문에서 안

동우 의원은 “채소류 등 밭작물에 대한 정책이 제대로 시행되는지 의문”이라고 추궁

했다.

안 의원은 “2000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간 당근, 양배추, 감자 등 밭작물 산지폐기 등

에 투입된 공적자금만 100억원에 이른다”며 “해마다 반복되는 땜질식 처방으로 문제

를 해결할 수 있느냐”고 경쟁력 확보대책 수립을 촉구했다.

또 오충진 의원은 “비상품 감귤이 상인들의 손을 거쳐 인터넷 경매사이트를 통해 판

매되면서 제주감귤의 이미지를 흐려놓고 있으며 가격을 하락시키는 결과를 초래하

고 있다”고 질타했다.

오 의원은 “하지만 이에대한 행정당국의 단속은 수수방관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농

·감협 등이 비상품감귤을 직접 수매하는 방식으로 전환하는 등의 방안 마련이 시급

하다”고 주문했다.

한기환 의원은 “친환경농산물인 경우 생산보다 판로 확보가 더 중요하고 도정 농정

정책도 이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며 “품목별 브랜드화와 함께 해외 수출길을 뚫어

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태환 지사는 “감귤은 금년까지 3년간 제값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본다”며 “내년

밭작물에 대한 도 전역 농업직불제가 적용될수 있도록 농림부와 협의하고 있으며 지

원 강화대책을 마련,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font>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367 도, 도의회 '감귤현안' 모르쇠? 관리자 2006-09-05 3061
366 이달부터 2개월동안 감귤 1만 4000톤 솎기 관리자 2006-09-05 2464
365 지난해 감귤 생산액 8108억 관리자 2006-09-05 2489
364 한·미FTA 3차협상, 감귤 사수 ‘분수령’ 관리자 2006-09-05 2755
363 (제주)도.시.군 통합 추경예산안 4.2% 증가 관리자 2006-09-04 2644
362 한미FTA '先대책, 後협상' 한목소리 관리자 2006-09-04 3206
361 왁스코팅 찬·반 논쟁 뜨겁다 관리자 2006-09-04 3005
360 [데스크 칼럼] 감귤유통명령 왜 해야 하나 관리자 2006-09-04 2865
359 "비상품 발생 비율 높을 것 추정" 관리자 2006-09-04 3304
358 "8번과 규격 상향 수용불가" 관리자 2006-09-04 3844
357 왁스코팅 규제완화 주목 관리자 2006-09-04 2890
356 한·미FTA 3차협상, 감귤 사수 ‘분수령’ 관리자 2006-09-04 3082
355 감귤·도새기·광어’ 지리적표시 가능 관리자 2006-09-04 3379
354 감귤유통명령제 재도입 시동 관리자 2006-09-04 2512
353 “시장자율에 맡기는 게 바람직” 관리자 2006-09-04 5701
352 [kbs보도자료]감귤 총수입 2년연속 6천억 돌파 관리자 2006-09-01 2742
351 정부 경영회생사업...제주지역 홀대 관리자 2006-09-01 3222
350 도내 1차산업 조수입 크게 늘어 관리자 2006-09-01 2542
349 서귀포시 저급품감귤 유통행위 강력 단속 관리자 2006-09-01 2476
348 고품질 감귤 생산 '불량감귤 퇴출시켜야' 관리자 2006-09-01 3271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