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 부산물 건조시설 ‘무용지물’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9-11-03 10:20:20      ·조회수 : 3,329     

감귤 부산물 건조시설 ‘무용지물’
건조 제대로 안되고 처리비용 기준보다 높아
완공 1년 지났지만 아직 시운전도 성공못해


▲ 감귤 부산물 건조시설이 완공된지 1년이 지났지만 건조가 제대로 안되는데다 처리비용도 높아 아직도 가동을 못하고 있다.

 감귤 부산물을 건조, 재활용 방안을 찾기 위해 설치된 감귤 부산물 건조시설이 무용지물로 전락하고 있다.

 제대로된 건조가 이뤄지지 않고 처리비용 역시 기존 목표량을 충족시키지 못하면서 시설이 운용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지난해 3월부터 12월까지 서귀포시 남원읍 감귤가공공장에 사업비 50억원을 투입, 감귤 부산물 건조시설 사업을 추진했다.

 도는 건조시설을 통해 하루 200t 가량의 부산물을 건조, 부피를 1/10으로 줄이고 현재 비료와 해양투기로 처리되는 감귤 부산물 처리비용 역시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나 건조시설 시운전 결과, 사업 초기 제시됐던 결과(설비기준)가 나오지 않으면서 현재 가동이 중단된 상태다.

 당초 설비기준은 함수율(수분 함량 정도) 10%, t당 처리비 3만460원이었지만 지난 1월22일부터 2월1일까지 4차례에 걸친 시운전 결과, 평균 함수율은 23%로 균일한 건조가 이뤄지지 않았고 처리비용 역시 설비기준 비용보다 높게 나타나는 등 문제점이 발견됐다.

 게다가 문제점에 대한 뒤늦은 시설 보완으로 지난 3월23일 감귤 가공이 완료되면서 시운전용 감귤 부산물 시료가 확보되지 않아 설치된지 1년이 다되도록 제대로된 활용을 커녕, 시운전 성공조차 못한 실정이다.

 문제가 이어지면서 제주도개발공사는 지난 6월11일부터 29일까지 사업 타당성 검토 용역을 의뢰했으며 용역 결과, 현재 시설로는 당초 설비기준(함수율 10%, 처리비 t당 3만460원)을 충족하지 못하고 수분함량 75% 상태에서 건조를 실시하는 방안이 제시된 상황이다.

 그러나 이같은 문제가 부적절한 감독 및 계약 관리 등이 복합적으로 이뤄지면서 예상된 부실 운영이라는 지적도 이어지고 있다.

 제주도감사위원회는 지난 7월10일 공개한 제주도개발공사 감사결과를 통해 "감귤 부산물 건조시설이 지난 7월까지 적법하게 작성된 설계도가 없이 공사가 추진되는 등 설계서 작성 및 사업관리에도 부실함이 드러났다"며 "기술공모와 계약관리도 적절하게 추진되지 못해 사업기간만 연장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도 관계자는 "이번달 말까지 보완이 이뤄지고 발생하는 추가 비용도 시설 업체에서 부담하기로 했다"며 "사업 추진 과정에서 미흡한 부분 등을 보완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제민일보 2009년 11월 02일 김동은 기자 kdeun2000@hanmail.net

감귤 부산물 건조시설 ‘무용지물’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368 유통명령제 요청서 검토의견 농림부 제출 관리자 2006-09-06 3155
367 도, 도의회 '감귤현안' 모르쇠? 관리자 2006-09-05 3094
366 이달부터 2개월동안 감귤 1만 4000톤 솎기 관리자 2006-09-05 2504
365 지난해 감귤 생산액 8108억 관리자 2006-09-05 2490
364 한·미FTA 3차협상, 감귤 사수 ‘분수령’ 관리자 2006-09-05 2806
363 (제주)도.시.군 통합 추경예산안 4.2% 증가 관리자 2006-09-04 2690
362 한미FTA '先대책, 後협상' 한목소리 관리자 2006-09-04 3244
361 왁스코팅 찬·반 논쟁 뜨겁다 관리자 2006-09-04 3046
360 [데스크 칼럼] 감귤유통명령 왜 해야 하나 관리자 2006-09-04 2898
359 "비상품 발생 비율 높을 것 추정" 관리자 2006-09-04 3336
358 "8번과 규격 상향 수용불가" 관리자 2006-09-04 3866
357 왁스코팅 규제완화 주목 관리자 2006-09-04 2932
356 한·미FTA 3차협상, 감귤 사수 ‘분수령’ 관리자 2006-09-04 3095
355 감귤·도새기·광어’ 지리적표시 가능 관리자 2006-09-04 3416
354 감귤유통명령제 재도입 시동 관리자 2006-09-04 2549
353 “시장자율에 맡기는 게 바람직” 관리자 2006-09-04 5744
352 [kbs보도자료]감귤 총수입 2년연속 6천억 돌파 관리자 2006-09-01 2776
351 정부 경영회생사업...제주지역 홀대 관리자 2006-09-01 3301
350 도내 1차산업 조수입 크게 늘어 관리자 2006-09-01 2591
349 서귀포시 저급품감귤 유통행위 강력 단속 관리자 2006-09-01 2494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